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음악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중국 전통음악 교육체계 개선방안 연구

        소영위 계명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rough full analysis and research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Education’s current situation, curriculum system, teaching modes, and teaching cases in commo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system and reform of teaching modes of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it aims to establish a rationally and clearly structured curriculum system which can satisfy the aesthetic needs of students of different specialties; Second, it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urriculum settings, contents, management and teaching proces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put forward feasible pla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 is as follows: Firstly, explor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questionnaire surveys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non-music major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Second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cquire a full and multi-dimension understanding abou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show little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al culture in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the teaching contents are mainly about western musical system. As educators of university music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usion of traditional music and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constantly explore new ways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continually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rdly, after analyzing college students’ aesthetic value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musical culture,the experience degree and expectation of the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e of traditional music in schools, several main reasons are finally concluded: (1) the influences of Europe-centralism still exist; (2)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needs to be strengthened; (3) utilitarian is prominent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textbooks needs to be perfected; (5) traditional music education lacks of innovation impetus. Therefore, in terms of these problems, the specific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are as follows: (1) change people’s concept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2) establish college students’ cultural confidence and strengthen their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3) turn back to ultimate sourc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perfect traditional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reinforce the construction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 campus; (5) improve teachers’ appreciation abil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tensify cultur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art education. Finally, combining the teaching case “ A Beginners’ Guide to Chinese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ecific teaching problems. The teaching practice shows that hybrid course teaching can effectively improv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tensify interaction among teachers and students, encourage more college students to love study and be willing to learn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n achieve the goal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main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points: (1) it helps promote students’ initiative of learn traditional music, improve their learning experience, thus creates a good atmospher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2) it helps enhance students’ comprehension and command of knowledge,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consolidation; (3) it helps foster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ability, capacity of independent thinking and the ability of using learned knowledge to solve problems. Thus it can be seen that something about traditional musical culture are missing in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most non-music majors,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ly holds small share in optional courses, so they can not deeply understand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culture. So,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incorporate teaching practice. (1) University and college’s traditional music teaching should be based on modern educational system, further improve their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system, and innovate traditional music courses. (2) Innovate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s and reinforce teaching practice. (3) Innovate traditional music teaching forms and methods and carry out online music education on internet teaching platforms. Use more visual and picturesque ways to present traditional music and interpret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4)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amalgamation of multifold subjects. First, modern teaching methods should be reinforced, teaching concept be renewed, teaching materials and contents be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nd cross-professional course groups about traditional music, art, literature, drama and psychology be established to continually broaden students’ horizon. Second, combine relativ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s of psychology of music and dig deep into the positive influence of traditional music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 (5) Fuse together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aesthetic, and remodel Chinese traditional music’s modern aesthetic means of expression to deepen comprehension of the cultural connotation and trait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의 중국 전통음악 교육현황, 과정체계, 수업모델, 그리고 수업사례 등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과정체계의 구축과 수업모델의 개혁을 시도해 보고자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 되었다. 그 하나는 교육기능, 교육목적, 심미적 요구, 과정체계, 수업실시 등 방면에서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효율을 제고하고, 음악전공 학생들의 다양한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과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 대학교육에서 전통음악관련 과정개설, 과정내용, 관리, 그리고 강의와 수업과정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들을 찾아내어 실현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수업개혁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둘째, 개방형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중국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과 수용 실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조사 결과, 대학 음악수업에서 대학생들은 전통음악문화에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내용은 여전히 서양음악 위주였다. 대학에서 전통음악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전통음악과 대학 예술교육의 융합을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보고자 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심미적 가치관과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태도, 수업에서의 체험감, 기대치, 그리고 전통음악 강의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 일반대학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에서 다음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1) 음악교육에서 유럽 중심론의 영향이 여전히 남아있다. (2) 현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전통음악 교육분야에서 공리적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4) 효과적인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교재의 편찬이 부족하다. (5) 전통음악 교육 혁신의 원동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로서는 (1) 전통음악문화에 대한 관념의 전환이 필요하다. (2)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자신감과 문화적인 정체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교육 원래의 정신과 취지로 되돌아가야 한다. (4) 전통음악 교육체계를 완비하고 대학 캠퍼스에서 활발한 전통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5) 교수들의 전통문화 소양을 제고하고 예술교육에서 문화생태적인 관념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필자가 개설한 국악사랑 강좌를 전통음악 강좌의 사례로서 분석하였다. 동 강좌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강좌가 학생들의 강의실 수업참여도를 효과적으로 높여 주고, 교수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더 많은 대학생들이 전통음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주도적으로 중국 전통음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이로써 전통음악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동 강좌를 통하여 (1) 학생들의 전통음악 학습에 대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유발하고 음악수업에서의 체험감을 증대시켜 훌륭한 수업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2) 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지식전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3)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능력과 독립적인 사고능력, 그리고 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현재의 대학 음악교육에서는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교육과정이 결여 되어 있거나 미흡하여 대부분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이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인문정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1) 대학 전통음악 교육은 현대교육체계의 기초위에 대학 전통음악 교육과정 체계를 완비하고 전통음악 교육과정을 혁신해야 한다. (2) 전통음악 수업모델을 혁신하여 수업효율을 제고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강의형식과 방법을 혁신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강좌개설을 모색해야 한다. 즉 온라인 강좌를 통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형상화된 방식으로 전통음악을 보여주면서 중국 전통음악의 인문정신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4) 학제간 융합을 통하여 현대적인 교수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교육이념을 쇄신하고, 전통음악과 미술, 문학, 연극, 심리학 등의 학문분야의 교육자원을 통합하여 학생들의 시야를 넓혀주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과 심리학을 연계시킨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전통음악이 대학생들의 정서적 체험감 향상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밝혀 줄 수 있을 것이다. (5) 전통문화와 현대적인 심미관의 융합을 통하여 중국 전통음악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함으로써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함의와 문화적인 특징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노인들의 식품섭취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제5기 1차년도(2010)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김은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them to provide basic data for dietary improvement of the elderly. Data from a total of 1,172 elderly subjects (all over 65 years ol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Ⅴ-1)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resul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of food consumption frequency measure, 7 factors were extracted and each factor was named as 'fruits', 'foods for Korean style meal', 'alcohols', 'instant foods', 'carbohydrate snacks', 'vegetables'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respectively.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ood consumption frequency using cluster analysis. Cluster 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cluster 3 tended to be higher in overall food consumption frequency, whereas alcohol consumption frequency was lower than other clusters. Cluster 2 was characterized by generally low food consumption frequency but alcohol consump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Cluster 1 showed generally low food consumption frequency, however,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legumes and mixed grains' was higher than cluster 2. Overall,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 the female subjects had higher consumption frequencies of 'fruits (p<0.001)'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p<0.05)', and low 'alcohols (p<0.001)' consumption frequency. Although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the rural elderly was lower than the urban elderly, the rural elderly who ate out sometimes, and had meals with family, showed higher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the 'fruits'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In conclusi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was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town, 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family type, and eating out frequency.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ope with nutrition problems for each elderly segmentation. 본 연구는 전국규모의 표본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1,172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 패턴을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 식생활 지도와 건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품섭취 빈도변수를 이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의 요인이 선정되었으며, ‘과일류’, ‘한식류’, ‘주류’, ‘인스턴트 식품류’, ‘탄수화물 간식류’, ‘채소류’, ‘두류 및 잡곡류’로 명명하였다. 식품군별 섭취빈도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추출되었고, 모든 식품군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각 식품군 p<0.001). 군집 4는 전반적인 식품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군집 3은 식품섭취 빈도가 높은 경향이었지만, 주류의 섭취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군집 2는 식품섭취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지만 주류의 섭취빈도는 높게 나타났고, 군집 1은 대체적으로 식품류의 섭취빈도는 낮았지만 군집 2보다 두류 및 잡곡류의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식품섭취 빈도는 대체적으로 대상자의 연령이 낮고, 교육 수준과 경제적 수준이 높으며 다양한 세대와 어울려 거주하는 사람들이 높게 나타났고, 세부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여성이 과일류(p<0.001), 두류 및 잡곡류(p<0.05)의 섭취는 높고 주류(p<0.001) 섭취는 낮아 남성보다 건강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지역 대상자들에 비해 농촌지역 대상자들의 식품섭취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농촌지역 대상자들 중 외식을 가끔하는 사람들과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채소류(p<0.05), 두류 및 잡곡류(p<0.05) 섭취빈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건강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성별, 나이, 거주지역, 소득 수준, 교육 수준, 세대 등에 따라 노인들의 식품섭취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노인들의 식생활지도에 있어 이와 같은 세부집단별 영양문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겠다.

      • 대학생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전미경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도박행동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4년 8월 25일부터 9월 20일 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도박문제 척도, 도박행동 종류, 가족건강성, 우울, 불안, 음주, 흡연을 사용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건강성, 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은 다소 낮고 불안의 정도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학생 도박행동은 가족건강성,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가족건강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이 낮을수록 도박의 심각도가 높아지는 부적상관을 보이고 있다. 즉, 불안의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이 약할수록 대학생의 도박행동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총 48% 이었다. The following is the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design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gambling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ing a fundamental data to which help to prevent their gambling behavior in adva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the objects of 209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4- year universities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a questionnaire from August 25 to September 20, 2014. The research tools were as followings: family strengths, depression, anxiety, a drinking alcohol and the tobacco smok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for WIN.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students’ gambling behavior must were family strengths and anxiety. Specifically, the generally low students’ family strengths of was low more or less and combined with the increasing degree of anxiety marked a high tendency. The students’ gambling behavior was highly related with family strengths and anxiety, which was confirmed as a meaningful correlation whose order was basically anxiety and then family strengths. The lower the family strengths are, the higher the gambling intensity is, which clearly shows a non -negative correlation. That is, the higher the anxiety is and the weaker and lower the family strengths are, showed that the higher the gambl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is higher, which turns out the total to be 48% explanation power.

      • 지속가능한 환경보전계획을 위한 주민환경의식 연구

        박재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급속한 경제성장을 통하여 물질적 풍요를 얻게 되었으나,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 등 환경적으로 많은 부하를 초래하게 되면서, 1990년대부터는 경제발전과 환경보전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환경보전계획 수립원칙 중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구현 원칙과 지역특성 반영 원칙 측면에서 대구광역시 지속가능한 환경보전계획 수립시에 지역의 환경상황에 부합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환경정책과 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SR 지표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자치구별 환경부담, 환경상태, 환경관리 수준을 평가한 결과, 현재 대구광역시는 인구, 주택, 교통, 토지이용, 환경산업 부문에서 환경부담이 크고, 수질과 대기질 현황은 양호한 수준이나 소음도현황은 환경기준을 초과하였다. 둘째 PSR 지표를 이용한 자치구별 환경상황은 서구와 북구는 대기질 상태가 나쁘고, 중구와 남구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많고 재활용률이 낮으며, 일반지역과 도로지역 야간에 소음도가 높다. 셋째 대구시민의 환경의식 설문조사결과, 대구시민의 시민환경의식 수준은 높으나, 환경문제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환경개선을 위해 자연생태, 하천수질, 대기질 등 모든 환경분야가 중요하고, 개선주체는 일반시민과 지방자치단체이다. 환경정책과 홍보를 위해 학교교육, 지자체의 지원,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 넷째 인구특성에 따른 대구시민 환경의식조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에 관심이 많고, 환경상황에 부정적이며, 환경보전의식이 높다. 40대와 고학력자가 환경의식이 높고, 고등학교 졸업자가 환경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지역특성에 따른 대구시민 환경의식 조사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서구는 환경관심은 높으나 환경상황에 부정적 태도를 보였고, 수성구는 환경상황에 긍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동구와 달성군은 환경문제에 대해 가장 불만족을 나타냈다. 거주기간과 거주유형은 환경상황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여섯째 자치구별 환경개선의 우선 분야는 중구는 대중교통체계 강화, 동구는 소음진동, 서구는 쓰레기 분리배출과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교육, 수성구와 달서구는 자연생태이다. 가장 중요한 환경개선 주체는 수성구와 달성군은 일반시민, 중구와 동구는 지방자치단체이다. 종합하면, 지속가능한 환경보전계획 수립시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환경현황을 평가하고 시민의 환경의식 조사가 필요하다. 인구, 주택, 교통, 환경시설 등 환경부담이 큰 지역이거나 지역민의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이 높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환경새건 지원과 노력을 해야한다. Although Korea gained much through rapid economic growth from the 1960s onward, the heavy burde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brought about a new paradigm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as geared toward achieving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1990.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ning in Dae-gu, from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flection of local features. After evaluating Dae-gu's environmental pressur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tandard of environmental management with the use of PSR the indicator, it is currently estimated that environmental pressure in Dae-gu is enormous in terms of population, housing, transportation, land use, and environmental sector. Although the present conditions of water and air quality is relatively normal, the present conditions of noise quality exceed environmental standards. In addition, environmental pressure in Dae-gu is worsening the air quality. Seo-gu and Buk-gu generate a lot of municipal solid waste and recycling rates are low, while Jung-gu and Nam-gu experience a high degree of noise during the night. A survey of Dae-Gu citizen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howed thei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high but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to environmental problems. To formulate environmental policy and to promote school education,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mass media is important. Dae-gu citize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Women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preserving the environment. People over 40 and the highly educated people had a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s did. The survey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s depending on where people live. People in Seo-Gu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interest and were negative about the environmental situation. Dong-Gu and Dalseong County had the most complaints about the environment. People also differed in their priorities for improvement. Jung-Gu focused on the public traffic system, while Dong-Gu was concerned with noise. Seo-Gu wanted garbage separated from other waste and food waste education. In conclusion, a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regional conditions and a survey of public awareness of the issues precede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focused on the regions which have greater environmental stress caused by larger populations and housing, heavy traffic, and more facilities. It is in these areas in which we find the residents are more conscious of environmental issues.

      • 간호사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이지수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staffing strategies. 211 married nurses with preschoolers, working in 10 hospitals in Gyeong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0 to March 30, 2012.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arry out this survey to measure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SPSS/Win 19.0 program and the values were calculat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arenting stress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3.13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ocial support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3.62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turnov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was 3.45 on a five-point scale. 2. The average parenting stress level of the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children (F=6.95, p=.001). 3. The average turnov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ge (F=2.70, p=.047) and the number of children (F=3.74, p=.025). 4.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ver intention (r=.41, p<.001). The social support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ver intention (r=-.36, p<.001). This study indicates that if parenting stress de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should decrease, and if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should decrea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effective nursing staffing strategies for decreasing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are needed and the specific staff management policy for the nurses who have large number of children was recommended.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북 지역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규모의 10개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한명 이상의 취학 전 자녀가 있는 기혼 간호사 211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0일부터 3월 30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13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3.62점, 이직의도는 3.4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는 자녀수(F=6.95, p=.001)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F=2.70, p=.047)과 자녀수(F=3.74, p=.025)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1, p<.001)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3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면 간호사의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효과적인 간호 인사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며 자녀수가 많은 간호사를 배려하여 이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간호인력 정책에 대한 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

        김계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anger expression, and self-esteem of mothers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300 mothers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2th to 20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program versio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ger-in, anger-out, anger control, and self-esteem were 2.50, 1.62, 1.85, 2.43, and 2.67, respectively. 2.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ger control of ange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d child's grad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d child's grade.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anger expression,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ner's support is important for mothers in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rents program to support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2일부터 3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의철과 박영신 (2001), 강희경 (2003)의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 Spielberger (1988)가 개발하였고 전겸구 등(2000)이 번안한 분노표현 척도, Rosenberg (1965)가 개발하였고 전병재 (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2.50점(5점 만점), 분노억제 1.62점(4점 만점), 분노표출 1.85점(4점 만점), 분노통제 2.43점(4점 만점), 자아존중감은 2.67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는 배우자의 협조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통제는 월평균소득, 배우자 협조정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연령, 월평균소득, 배우자 협조정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양육스트레스와 분노억제(r=.42, p<.001),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표출(r=.41, p<.001), 분노통제와 자아존중감(r=.37,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통제(r=-.19, p=.001),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r=-.38, p<.001), 분노억제와 자아존중감(r=-.42, p<.001), 분노표출과 자아존중감(r=-.37,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배우자의 협조정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배우자의 적극적인 양육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모를 위한 자녀양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모 모두에게 제공되어질 필요가 있다.

      • 처벌의 억제효과가 경찰일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태경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경찰관들의 각종 일탈행동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책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해 시민들과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하는 법집행기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물수수나 공권력 남용 등과 같은 각종 일탈행위들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여 법집행기관으로서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경찰일탈 정책을 평가하고 그 효율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경찰일탈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현재 경찰조직 내에서 부패를 비롯한 각종 일탈행동들을 통제하는 대표적인 제도는 윤리교육, 직무적성검사, 내부고발제도와 감찰 및 징계제도로 요약된다. 그러나 감찰과 징계를 제외한 나머지 제도들은 형식적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어 실질적으로 경찰일탈 억제에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다. 다시 말해 경찰일탈에 대한 견제책은 감찰과 징계로 대별되는 처벌위주의 정책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찰에 대한 처벌정책이 실제로 경찰관의 일탈행동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억제이론과 확대된 억제이론을 도입하여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주요한 독립변수는 공식적 제재와 비공식적 제재이다. 공식적 제재로는 처벌의 확실성, 엄격성, 신속성을, 비공식적 제재로는 수치심과 당혹감, 애착손실, 관여손실, 충동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동료의식, 청탁, 재량권, 감독부재를 내용으로 하는 경찰조직․문화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추가하였다. 성별이나 계급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통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일탈가능성으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서울, 경기, 대구 등 전국 7개 지역의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588부의 설문조사자료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억제이론과 확대된 억제이론에 근거하여 제시되었던 대부분의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공식적 제재 중에서는 처벌의 확실성과 엄격성이, 비공식적 제재에서는 수치심과 당혹감, 애착손실, 관여손실을 내용으로 하는 손실인지가 경찰관들의 일탈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적 요인 중에서는 동료유대가 일탈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유사하게 검증되어 경찰관들의 일탈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식적 제재와 비공식적 제재, 경찰의 조직․문화적 요인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경찰일탈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을 높여야 한다. 적발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감찰부서의 확대개편과 인력보강, 감찰인력의 전문성 제고, 내부고발제도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둘째, 엄격한 징계제도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여야 한다. 현재 경찰조직의 징계수준은 다른 조직에 비하여 높은 편이나 소청이나 행정소송 등으로 구제받는 경우가 많아 실제 처벌이 엄격한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사후구제를 제한하는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윤리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비공식적 제재인 손실인지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예외 없이 중요한 억제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일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찰관의 윤리의식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 윤리의식이 강한 경찰관들은 수치심․죄책감을 더 많이 인지할 것이며 결국에는 일탈행동을 범할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넷째, 장기적으로는 조직문화 정화에 힘써야 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동료의식이 강하고 청탁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경찰관일수록 재량권남용과 같은 일탈행위를 범할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가족주의, 빗나간 동료애, 청탁관행 등 조직내 하위문화가 개선된다면 경찰관의 일탈행위는 상당히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ise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deviant behavior among police officers. The police, in order to protect the public and maintain order, are a law enforcement agency closest to citizens. Despite their intrinsic purpose, the police have engaged in all sorts of deviant behaviors including accepting bribes and abusing public power. Consequently they have failed to earn public trust as a law enforcement agency. Thus,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current countermeasures against police deviance, examine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ir efficacy, and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olice deviance. Prominent programs to control deviant behavior including corruption within the current police organization include ethics education, vocational aptitude test, whistleblowing, inspection and censorship, and disciplinary actions. Those systems, however, remain merely perfunctory measures that make few contributions to the actual deterrence of police deviance. All current measures of controlling police deviance are punishment-oriented policies represented by inspection and discipline. Thus,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deterring effectiveness of such punishment policies. Based on Deterrence Theory and Extending Deterrence Theory,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examination of police deviance. The primary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formal and informal deterrence. Formal deterrence refers to certainty, severity, and celerity of punishment, whereas informal deterrence refers to shame, embarrassment, attachment cost, commitment cost, and impulsivity. Additionally, other independent variables ar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police, including fellowship, solicitation, discretion, and absence of supervision. Control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police offic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nd police officer rank and etc. Finall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likelihood of committing deviant behavior in the three proposed scenario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a survey of 588 police officers in seven regions across the nation including, Seoul, Gyeonggi-do, Daegu, and etc.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results supporting most of the proposed hypotheses derived from Deterrence Theory and Extending Deterrence Theory. Among formal deterrence variables, certainty and severity of punishme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sibility of police deviance. For informal deterrence variables, the shame, embarrassment, attachment, and commitment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ant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actors, fellowship affected the possibility of deviance. These findings, consistent in all the three proposed scenarios, imply that all of the deterrence factors, both formal and informal, as well as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revent police devi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police deviance.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are expanding the inspection department, adding more manpower, increasing the professionalism of inspection personnel, and encouraging whistleblowing. Secondly, strict disciplinary action should be consistently applied. Although the police organization currently enforces its disciplinary decisions on a more consistent basis than other organizations, many guilty officers are ultimately shielded from punishment through leniency requests or administrative suit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availability of such relief after disciplinary decisions are made. Thirdly, ethics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nformal deterrence factors were an important control factor in all the scenarios. Therefore, the promotion of ethical consciousness is necessary to prevent police deviance. Those who are well-armed with a strong ethical consciousness that recognizes shame and guilt, will be less likely to commit deviant behaviors. Finally, the police should work on the purification of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long ter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ose who have strong fellowship and who are influenced by solicitation culture are more likely to be at risk of committing deviant behaviors including abuse of discretion. Thus, deviant behaviors within the organization should decrease considerably upon the improvement of subcultures such as familism, wrong fellowship, and customary solicitation.

      • 중국 대학생의 기업가적 학습과 기업가적 성향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과 성취 동기의 매개 및 조절 효과

        호서정 계명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China vigorously promotes mas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has gradually become the core driving force for social development. In this wave, college students have unique advantages and are the backbone of Chinese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in response to the policy. Therefore,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of college students is the best way to cultivate potential entrepreneurs. Influencing factor studies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ocus mainly on static factors such as person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tudies on dynamic influence factors are lacking.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 future-oriented variable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ased on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Also, it confirm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ween entrepreneurial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propens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a factor that moderat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on entrepreneurial propensit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in universities to promote the entrepreneurship propens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for entrepreneurial learning to promote entrepreneurial propensity, it is required for parents to le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y raising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at home. Finally, the government is recommended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socially, it calls for cooperation in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foundation for nurturing entrepreneurs. 중국은 대규모 기업가 정신과 혁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가 정신이 점차 사회 발전의 핵심 원동력이 되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은 잠재적인 기업가로서 중국 혁신 및 기업가 정신의 핵심 대상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혁신과 기업가정신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은 미래의 창업가를 양성하는 지름길이다. 기존의 대학생 창업 성향 영향 요인에 관한 문헌 연구는 주로 개인의 배경과 대학생 특성 등 정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동적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적 행동의 미래 지향적 변수인 기업가적 성향에 기업가적 학습이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 및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가적 자기 효능감이 기업가적 학습과 기업가적 성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으며 성취동기는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기업가 성향을 촉진하기 위해 대학에서 대학생들 대상의 기업가 정신에 대한 학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기업가적 학습이 기업가적 propensity를 촉진하기 위해 대학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기업가 정신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대학생들이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여건의 조성도 요구된다. 정부는 기업가적 교육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사회적으로도 기업가 양성을 위한 환경 기반 구축에 협력해야 함을 요구한다.

      • 중국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 연구

        강영실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적격하고 우수한 음악교사 양성은 사범대학 음악교육의 목표로서 음악교사에 대한 높은 자질 요구는 결국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이다.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의 필수 과목은 ‘피아노’ 이며, 피아노는 초·중교 음악수업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육 수단이다. 따라서 사범대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의 개혁에서 피아노 교육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에 본 논문에서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를 시작으로, 본 논문은 사범대학 피아노 교과과정 개혁의 필요성, 피아노 교과과정의 현황, 교과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세 가지 부분을 연구하고 서술하였다. 먼저 호남사범대학(湖南师范大学), 수도사범대학(首都师范大学),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동북사범대학(东北师范大学) 등 네 곳의 사범대학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사범대학 피아노 교육의 기본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서부사범대학(西部师范大学), 상해사범대학(上海师范大学) 등 세 곳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100명의 학생에게, 피아노 교과과정, 수업내용과 방식 등 세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현 상황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본론으로,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모든 교과과정은 ‘반드시 학생을 근본으로 삼는다.’를 교육 이념으로, 피아노 교육은 학생 중심 수업으로 학생들의 개성과 발전이 존중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피아노의 기본 연주와 이론적 기초지식 교육뿐 아니라 학생의 심미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 연주의 미적 감각을 끌어내며 피아노 연주능력도 높여야 한다. 피아노 교과과정을 최적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실기 지도의 다양화다. 개인 레슨, 그룹 레슨, 단체 실기수업 등 세 가지 유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수업형식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실기 지도 유형에서 교사가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학생들의 다차원적, 다방면의 지식을 끌어내도록 한다. 둘째는 피아노실기 교과목의 다양화이다. 피아노는 서양음악사, 중국근대음악사, 반주수업, 사상정치 등 다른 과목과 연계하여 작품의 내재된 의미 및 연주 기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술실천수업, 피아노 교육 실천수업, 초·중교 음악교재 노래와 피아노 반주 등 실천과목을 개설하여 사범대학생의 무대 표현력, 수업능력, 초·중교 과정 적응능력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는 피아노 교육방법의 다양화로서 상황교육법,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법 등 혁신적인 교육법과 전통 교육법을 접목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새로운 교과과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피아노 교재의 다양화와 피아노 교육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개혁은 한 번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하지만 지속적인 개혁을 통해 국가와 사회가 원하는 훌륭한 초·중교 교사를 잘 육성해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goal of the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training student as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 Piano class is the compulsory course for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t is also one of the most basic educational means of music clas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piano class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reform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thesis is intended on the study for the better plan of piano curriculum for music education. Starting with studying previous researches, this thesis provides the researche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the necessity of piano curriculum refor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present status of piano curriculum in China and its restructuring pla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Honam College of Education, Sudo College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and Northeast College of Education are analyzed. Also, the questionnaires on the piano curriculum,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in classes are surveyed to th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ree colleges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Western College of Education, and Shanghai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restructuring plan of piano curriculum in music education major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is presented. All courses should take “student-centered” as the educational concept with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y and interest. In addition, teachers should not only teach basic piano technique and music theory, but also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aesthetic ability, so as to give the aesthetic sense in piano performance, which will make students improve their piano performance. The essence of this research is to optimize the piano curriculum. Firstly, diversify piano lessons. It is suggested to combine the 1 on 1 private lesson, group lesson and class lesson effectively. The teachers should choose these three types of lessons flexibly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acquir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knowledge. Secondly, diversify piano curriculum. The piano is closely related with western music history, modern Chinese music history, and piano accompaniment. The students can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meaning 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musical works. Meanwhile, it is suggested to set up new practical courses, such as practical course in art, practical course in piano education, singing with piano accompaniment of music teaching material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stage performance, teaching ability, middle school curriculums adaptability. Thirdly, diversify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can combine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situational teaching method and imagination-led teaching metho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o improve teaching effect. Finally, in order to make these curriculum work on smoothly, it is suggested to enrich the piano teaching materials and to establish the database of piano education materials. The reform of piano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can’t be accomplished by one attempt. However, through continuous reformation, it is hoped that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ill be fostered for the country and our society.

      •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시스템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을 중심으로

        정다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Online community can be regarded as connection line between those who have relationship in general. the number of website bases on online community is increasing internationally as attention towards the communities is on the rise. This research is to refine online community concept systematically and to identify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sites in order to analyze influence that immersion into and satisfactory upon sites have towards continuous utilization. Having set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n they were verified empirically. Current actual user group of a certain online community site was designated as subject and range of user age was from 18 to 40. the range occupied most of users in total. A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user in the range. Summary of the result is following. First, stabilization in terms of system quality did not affect immersion and satisfactory upon sites. However, a higer content with security had a positive influence towards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sites. Second, information providing-ability and its timeliness appeared to have no influence to the utilization, but content and reliability had. The wanted information highly depends on amount rather than its quality that user does not pay attention over information providing, therefore information providing-ability did not have a regardful influence. Third, emotional bond did not have a regardful influence since the emotional bond is not being stressed at online community sites where variety is important. For many cases, interaction influences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sites according to preexistence documentary researches. However, it was verified that suitable interaction for users was not being achieved since this research focuses on information-centered communities and social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ies. Pleasure had a regardful influence over immersion and satisfactory upon sites. To generalize research,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those surveyed in coming times. Regarding online community sites as a main flow, systematic and multidirectional approach towards researches is needed. 온라인 커뮤니티는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간에 존재하는 연결선으로 볼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는 웹 사이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특성요인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과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연령대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주 이용연령대인 18세에서 40세까지로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품질 중 안정성은 몰입과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안성의 만족이 높을수록 커뮤니티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 품질 중 정보제공성과 적시성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은 몰입과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제공성은 찾고자 하는 정보가 질보다는 양에 의존되는 경향이 있어 사람들이 정보를 찾을 때 정보제공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티 특성 중 정서적유대는 카페와 같은 결속력이 있는 집단에서 벗어나 다양성이 강조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상 정서적유대 보다는 다양성이 강조되어 정서적유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성은 기존 문헌연구들에서는 상호작용성이 사이트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연구의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는 정보중심의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 즉, 관계지향적 네트워크 중심의 커뮤니티가 혼재되어 있어서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맞는 상호작용을 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즐거움은 몰입과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조사대상자를 다양하게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하나의 커다란 주 흐름으로 보고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접근 방식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