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앨런 맥컬럼의 저자성 : 《석고 대용물》(1982) 연작을 중심으로 분석

        이소현(Lee, Sohyeon)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4 No.-

        본 논문은 앨런 맥컬럼(Allan McCollum, 1944- )의 주장에 입각해서 《석고 대용물 Plaster Surrogates》(1982) 연작을 분석한 연구이다. 작품의 외형적 특성에 국한된 기존해석에서 벗어나 작가의 제작의도에 충실하여 작품을 해석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저자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1967년 본격적으로 미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앨런 맥컬럼은 당시 미술계의 주류를 벗어나 사회적인 체계 내에서 회화의 위치와 역할이 무엇인지 고심했다. 그는 ‘기호화된 회화’를 제작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냈다. 그러나 아쉽게도 해당 작품은 작가의 의도와 다르게 복제품과 원본성에 대한 비평, 그리고 미니멀리즘과의 연계성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만이 진정한 해석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언급을 통해 드러나는 맥컬럼의 작가성을 분석하는 데 목표가 있기에 그의 주장에 철저하게 입각하여 작품을 해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 Ⅱ장에서 맥 컬럼 작품의 주된 특징인 ‘대량생산’과 ‘반복’에 내재된 작가의 진정한 의도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용물 중앙의 검은 단면이 모더니즘의 환원이 아닌 감상자의 자유로운 상상을 위해 작가의 표현이 최대한 배제된 공간이었음을 증명한다. 또한 미세한 차이를 두고 제작된 수 백 개의 대용물들의 반복에 대해서는 관람자의 상상력과 무의식 욕망을 일으키기 위해 작가가 선택한 방법이었으며, 궁극적으로 맥컬럼의 ‘반복’이 최초 제작 의도로 타자의 감상을 이끌고자 했던 장치였음을 밝힌다. 작가의 주장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맥컬럼이 작가와 타자, 그리고 작품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고려했음을 파악했으며, 본 연구자는 이러한 맥컬럼의 저자성을 장 폴 사르트르(Jean Paul Sartre)의 ‘저자와 독자의 공생 이론’을 통해 그 타당성을 찾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laster Surrogates (1982) based on artist’s assertiveness to reveal the nature of Allan McCollum as an author. Allan McCollum decided to be a modern contemporary artist in 1967 and tried to stick to the most basic elements of Art; artist, art work, and art viewer. McCollum was interested in what humans need when looking at a painting. He also tried to figure out how objects have meaning, where meaning comes from, where it is located, whether it is in the viewer’s mind, or in the community at large? McCollum attempted to reflect all these thoughts in his work Plaster Surrogates. The idea behind that work is to create a sign similar to a standardized painting. McCollum represented all the visual images that viewers can imagine through the sign and the way a painting sits in a system of objects. However, most criticisms of his work Plaster Surrogates misunderstand his purpose. The painting received criticisms regarding the copy and origin. The black center of Surrogate could also not avoid comparisons with Minimalism.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uthor’s intention and criticism. Although following the argument of the author limits good critiqu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nt of the artist as an author. For this purpose, McCollum‘s interviews published in art media and journals were reviewed and the direct descriptions of the artist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evidence in this paper. Through the review, it can be identified that McCollum’s attitude is very unique, unlike Post-Modernism, which explains the features of ‘Death of Author.’ He explained his work in the articles and encouraged contemporary artists to regain the originality of the idea and the expression of freedom. He also challenged the norms set by the art world including critics and collectors. Moreover, he drove the viewer to think ‘what the true picture is.’ The result of analyzing Plaster Surrogates based on McCollum’s claim was that he intended to interact with the viewer and held the traditional author’s ground. In light of this, the nature of Allan McCollum as an author can be described through Jean-Paul Sartre"s theory, which was introduced 20 years earlier than Roland Barthes’.

      • KCI등재

        정창섭의 ≪묵고≫(1991-1999)

        이소현(Lee, Sohyeon)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본 연구는 단색화의 발족시기와 단색화의 주요 특징인 반복적 패턴을 분석한 논문이다. 한국의 1세대 비평가들에 의해 구축된 단색화 담론은 2000년 이후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되고 있다. 단색화를 조명하는 시각 차이에도 불구하고 반복적 패턴과 그 발족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단색화의 두 가지 특성이 한국 현대 산업화 과정의 미술 영역에서 지니는 위상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일반화된 단색화 담론과 시각을 달리하여 반복적 패턴이 제작되는 과정을 산업화에 따른 개인의 소외와 수공업과 전통의 상실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단색화라는 명칭 아래 묶인 모든 작품에 일괄적인 해석을 시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에 1세대 단색화가인 정창섭을 사례로 분석을 시도했으며, 벤야민의 여러 저서를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단색화는 산업화시기에 발족하여 한국현대회화로 자리매김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정창섭 역시 현대화에 따라 변화되는 여러 문화적 추이를 작품에 담아냈다. 일례로 고향의 창호지 문을 형상화한 한지 시리즈는 고향에 대한 기억을 담은 것이다. 이는 급속히 팽창되는 도심 속에서 사라져가는 전통적 생활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더불어 닥종이를 섬유질로 되돌리는 과정은 현대화에 따른 수작업의 상실을 내포하고 있다. 이처럼 정창섭의 여러 작품에는 현대화된 삶속에서 개인이 겪는 다양한 변화의 흔적이 담겨있다. 필자는 이 같은 양상을 한국의 현대화 과정에 따른 변화가 작품에 반영된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밝히기 위해 벤야민의 흔적 개념을 통해 정창섭의 작품을 분석했다. Since 2000, Dansaekhwa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eyond the conventional discourse. Despite the differences in viewpoints that illuminate Dansaekhwa, this paper considers that various analyses have not yet examined the repetitive patterns, which characterizes Dansaekhwa paintings. This paper looks into the repetitive patterns in a different way from previous discussions on Dansaekhwa. It argues that those patterns address the individual alienation, handicraft, and tradition, which have depriv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t intends to analyze Chung Chang-Sup’s work, which exemplify the first generation Dansaekhwa painting. Dansaekhwa has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in Korea. Chung’s Hanji series suggest the memories of his hometown and lingering nostalgia for the traditional lifestyle deprived by rapid urbanization.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rocess of making Hanji to fiber, which implies the loss of manual labor due to industrialization. In this way, Chung’s work contains traces of various changes of individuals in modernized life. This paper examines this change as a reflection of the change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Korea and analyzes his works by drawing on Walter Benjamin’s theory of tra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 - 잠재성장모형의 응용 -

        이소현(Sohyeon Lee),임업(Up Lim) 한국지역학회 2021 지역연구 Vol.37 No.1

        연구는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차별적 소득 궤적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하고, 이를 인구·사회학적 요인(결혼, 교육수준)과 지역적 요인(대도시 거주)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2~21차(2009~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차함수형 궤적으로 추정한 근로빈곤층과 근로비빈곤층의 소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2009년에서 2016년까지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근로비빈곤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면서 격차가 완화되었지만, 이후 근로빈곤층의 소득이 정체되면서 다시 격차가 심화되었다. 소득 궤적(시작점의 소득 수준과 증가율)에 결혼, 교육수준, 대도시 거주가 미친 영향은 집단 간 차이를 보였는데, 이 요인들은 근로빈곤층의 궤적을 더욱 잘 설명하고 있다. 결과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근로빈곤층의 소득변화율과 대도시 거주 여부의 정(+)적 연관성으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것이 근로빈곤층에 경제적 프리미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근로빈곤층의 도시 프리미엄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income trajectories of the working poor and the non-working poor and explains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marriage, education) and regional (living in large cities) factors on inter-group differences. We use Seoul Survey data collected between 2009-2018 and the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It was found that the trajectory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2016, the income gap widened as the income of the working poor stagnated. The three variables included in this model better explained the income trajectory of the working poor compared to the working non-poor. In particular, the change in income growth rate was positively related to whether they live in large citie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living in a large city would act as an economic premium for the working poor.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urban premiums for the working poor.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특성의 비교

        김수미(Kim Sumi),이소현(Lee Sohyeon),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이 연구는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을 탐색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국어교사 30명, 예비 국어교사 30명에게 Python을 기반으로 개발한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 글을 평가하게 한 후, 평가 시간 및 정답 수를 중심으로두 집단의 쓰기 평가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쓰기 평가의 특성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점수 추정 연습 과정에서 예비 국어교사가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를 더 빨리 수행하였다. 컴퓨터 환경에 대한 익숙함의 차이가 평가 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등급 추정 연습 과정에서는 현직 국어교사가 예비 국어교사보다 맞힌 정답의 수가 더 많았으며, 두 집단 모두 학생 글 수준에 따른 정답률 분포 차이는 크지 않았다. 횟수 누적에 따른 평가 특성에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평가 경험 등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이후 평가자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 그리고 예비 국어교사 양성 과정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ding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a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developed based on Python was applied to 30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30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ssess student writing, and the difference of writing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assessment time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formed writing assessment faster than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course of score estimation practic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score estimation, In the course of grade estimation practic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at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hit more than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higher,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the student writing level was not large in both groups. Lastly, In the assess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professionalism of the rat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cess.

      • 강연 시 질의응답과 설문조사를 위한 모바일 웹 플랫폼

        박전안(JeonAn Park),이현호(HyeonHo Lee),이소현(SoHyeon Lee),노명운(MyeongUn No),전영빈(YoungBin Jeon),유철중(CheolJung Yoo)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9 No.6

        이전의 강연환경은 발표자가 청중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발표자와 청중 모두에게 효율적이지 못했다. 기존 연구는 모바일 웹을 이용하여 발표자와 청중의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해결 방법 측면에서 여전히 비효율성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강연 시 질의응답과 설문조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하는 모바일 웹 플랫폼을 제안함으로써 강연환경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The previous environment of lectures was not efficient to both speaker and audience because it was the way that speakers deliver information to audience unilaterally. Existing researches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helping communication between speakers and audience using mobile Web. However they still have a problem of inefficiency. This paper is aiming at enhancing efficiency of lecturing by proposing a mobile Web platform that processes and analyzes data from Q&A and a survey in le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