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의 종말’ 시대의 미술사

        김진아(Jina Kim)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3 No.-

        근대적 형식 또는 개념으로서의 ‘미술’ 또는 ‘미적인 것’의 종말이 미술사에 의미하는 바와 문제는 무엇인가. 미술사 학제의 핵심을 이루는 ‘역사’의 의미는 어떻게 조명되어 오고 있는가. 본고는 특히 아서 단토와 한스 벨팅이 제기했던 미술(사) 종말론의 문제를 점검하며, ‘근대’와 ‘역사’의 시기로부터 ‘탈근대’ 또는 ‘탈역사’라 일컬어지고 있는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미술’과 ‘역사’라는 범주가 어떻게 변화하며 미술사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오고 있는지 논의한다. 근대와 함께 탄생한 미술사는 미술에 대한 낭만적, 심미적 감상을 벗어나 보다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제시하며 미술의 ‘역사적’ 발달을 추적하고 해석하는 학제로서 기반을 다져왔다. 특히 리글, 뵐플린 등에 의해 확립된 양식사와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은 미술사의 양대 산맥을 형성해왔다. 그런데 단토와 벨팅은 형식 대 도상, 내적인 것 대외적인 것 등 얼핏 대조적인 접근으로 간주되는 이 두 방법론 모두 합목적론적인 단일한 미술사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워홀의 <브릴로 박스>나 미디어아트를 논거로 제시하며, 동시대 미술이 더 이상 전통적인 아름다움이나 특정한 시각적 특질에 기대서는 개념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형식으로 진행해오고 있음을 지적하는 한편, 모방 담론이나 양식(형식) 등에 주목하는 거대 서사로서의 미술사 서술을 폐기한다. 단토와 벨팅의 논고가 다소 극적인 수사를 구사하고 있지만, 서구 근대 부르주아에 의해 이루어진 ‘미술’ 개념에 입각한 보편적 ‘역사(History)’의 구성, 즉 합목적론적이고 선적인 전개의 연속으로 구성된 미술사를 해체한다는 점에서는 의미 있는 시도이다. 특히 반미학, 비미학, 역사비판 등에 대해 주목해온 동시대 미술을 다루는 미술사에서 역사주의에 입각한 서술 방식은 더더욱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잔존해있는 역사주의적 시각과 이로 야기되는 문제를 진단하며 더욱 의미 있는 미술사 서술을 위한 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선 ‘역사’를 구성해왔던 진보론적인 시간 개념의 해체에 주목한다면, 여러 층위의 시간, 예를 들어 작품이 만들어진 과거의 시간과 우리가 바라보는 현재의 시간 등 작품이 형성하는 복합적인 시간성 속에서 미술을 사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편적이고 진보론적인 역사가 이룩해온 서구 중심의 미술사 형성에 대항하는 인식적 지평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단지 비서구 미술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연구의 확장을 의미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세계 곳곳에서 같은 시간이되 다른 시간, 즉 다른 역사(또는 기억)와 문화적 충돌의 층위가 다양한 공간에서, 어떻게 근현대미술에 대해 서술할 수 있을지 그리고 ‘서양미술사’의 프레임을 넘어선 ‘글로벌미술사’와의 관계를 각각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출발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What is the meaning of the end of “art” or “the aesthetic” as a modernist concept or phenomenon? What is the meaning of “history” in Art History?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categories of art and history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modern era to the contemporary or post-historical one, particularly examining the issues of “the end of art and art history” that Arthur Danto and Hans Belting raised. Around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Art History bega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o examine art works and trace the development of art by devising more scientific methodologies and maintaining a distance from mere romantic and biographical appreciations performed in earlier ages. In particular, Riegl and Wolfflin’s formalist methodologies focusing on styles and Panofsky’s “iconology” emerged as two major approaches toward Art History. Danto and Belting regarded these two approaches-form versus content and the internal versus the external-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Both approaches actually consist in the same narrative of the universal and unified history of art. Although Danto’s and Belting’s claims sound somewhat dramatic, theirs are meaningful reflections regarding the Western bourgeois construction of art and taste and the formulation of a universal and theological history of art. The art historical narratives grounded in historicism are, indeed, no more valid in dealing with contemporary art, which asserts the anti-aesthetic or non-aesthetic as well as the deconstruction of history. Therefore, by diagnosing the remaining historicism in art historical analyses, we are able to pursue new and more meaningful ways of writing about art. If we abandon the concept of time as progressive and the basis for the notion of history, we can configure works according to complex temporality, not only in the past but also in the present. We will also need to expand the perceptual horizon in view of the universal history of art that was developed mostly from Western perspectives. However, not only would an extension of the historical study of non-Western art be required but also recognition of the various temporalities or heterochoronic conditions that are not in step with the West’s modernity or postmodernity in art. In other words, it implies the quest to go beyond the frame of the Western or Non-western in art.

      • KCI등재

        전쟁, 이미지 그리고 역사

        김은지(Eunji Kim)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3 No.-

        전쟁은 이미지로 기록 되는가, 아니면 전쟁은 이미지를 통해 설명되는가? 세계 1차대전은 전례에 없던 인명살상(殺傷)률을 기록하는 무력의 갈등상태로 간주된다. 이러한 역사적 참상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참호전이며, 여기엔 다시금 화학무기(독가스)와 기관총 등 새로운 무기를 생산하게 한 참호에 의한 전쟁전략이 그 원인 이었음이 강조된다. 100여 년이 지난 현재, 역사적 과거의 이러한 참혹한 참상들은 사진 이미지들에 의해 보다 직접적으로 설명되어 진다. 여기엔 사진이라는 매체가 지닌 특성 중, 현실을 그대로 기록하 듯 재현한 것처럼 보이는 사실적 현상이 자리한다. 그래서 그 어떤 시각적 결과물 보다 현실성을 더 반영한 것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사진은 현실을 재현하지 않는다. 기록하지도 않는다. 다만,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일어났던 사건과 상황에 대한 유추와 재구성을 도모하게 할 뿐이다. 이것은 사진 만이 아니라, 시각화된 모든 상태 즉 이미지화 된 모든 존재가 지니는 특성이다. 본 연구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이미지의 존재적 특성에 대한 재고찰에 있다. 본 연구는 가시화 된 모든 상태에 있는 대상물들을 이미지로 정의 내리는 미술사적 방법론의 한 과정에서 영글어진 결과물이다. 이미지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또한 이미지는 그 자체가 아니고서는 설명해 낼 수 없는 사실적 요소로, 실질적인 시각적 증명을 이루어 낸다. 이것은 이미지의 기능에 속한다. 이에 의해 이미지는 과거의 사건 즉 전쟁과 같은 상황을 기록하거나 단순히 상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 아니라,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게 하며 이를 통해 참사 혹은 전쟁을 설명하며 그 의미를 시대사적으로 해석하게 하는 대상물로 고찰하게 한다. 위의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인 ‘역사학’과 이미지를 연구하는 ‘미술사’와의 학술적 연구의 접점관계를 조명한다. 이미지 즉 시각적 자료는 역사학을 위한 연구대상물 자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는 역사연구를 위한 주요한 시각자료로 간주되며, 조사연구를 위해 다양한 의미부여를 받는다. 이는 19세기 현대 역사학의 출현 이 후의 결과이다. 그림과 조각, 기념물, 건축물 그리고 사진과 필름 등의 다양한 시각적 자료들은 과거를 연구하는 역사학에서 의미 있는 연구 자료 및 출처로서 지난 시간 속에서 일어난 인간사의 사건과 정황들을 요약하고 개념화 해내는 역사연구와 조사 방법에 중요한 의미로 간주된다. 이미지가 역사학적 정보력을 지니는 주요한 자료인 사실에 착안하여, 역사학과의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는 근본적인 배경에 이미지의 직접적인 전달력과 대체될 수 없는 그 힘에 대한 고찰을 이루는 본 연구는, 이미지를 통한 정보지식 전달의 가능성에 대한 제시가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이미지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고찰인 동시에, 국제적으로 학제간의 융합을 도모하는 “이미지 학(Image, Knowledge, Gestaltung ? Bildwissenschaft)" 연구에 대한 의미부여 일 것이다. Is war documented by images or is war explained and reconstructed by images? The First World War is considered an armed conflict which brought casualties and destruction to a hitherto unknown level. Trench warfare in conjunction with the newly invented machine gun and the first time use of chemical agents 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is terrible devastation. Our perception and notion of this war is widely influenced by photographs which were made in large numbers by all participating war parties. The terrible devastation is more directly mediated by photography than by any other visual materia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it seems to represent reality as a factual phenomenon. Therefore, it seems that images by photos are reflecting the reality more than other media and intended for representation. But photographic images are no reproduction of reality nor do they document reality. However, images allow analogies and reconstructions of situations and provide substantial information of past times.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only for photographs but also for all visualized material. Images are not replaceable and exchangeable. The core of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into reconsidering and reth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Images of past events or situations do not reproduce or document scenes, but help visually to reconstruct past times. Thereby wars or disaster can be interpreted and explained and at the same time imag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objects for contemporary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crossroads in Historical Studies and Art History. Images are not objects themselves of Historical Studies, nevertheless, images are regarded as important visual materials for historical research since the emergence of modern historical research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large variety of visual material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monuments, architectures and also photos and films constitute irreplaceable sources for historical research. Due to the significance of visual materials as historical information this article discloses the power of images, their inherent immediacy and irreplaceability. This essay tries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ies of medi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images. The aspect of yet latent and undetected possibilities of images allows a gaining of international importance to Bildwissenschaft (Image Knowledge Gestaltung; Visual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pic in art history.

      • KCI등재

        접경연구와 미술사: 17세기 네덜란드의 시각문화 사례연구

        손수연(Sohn, Soo Y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도되고 있는 접경 연구의 근황과 전개를 살펴보고, 미술사학에서 접경 연구의 사례들을 살펴보며 미술사와 접경연구와의 공유지점을 논의한다. 현재까지 인문학에서의 수행되어온 접경 연구는 문화이론이나 철학의 담론 중심의 이론적 연구로 제시되었을뿐 실제적인 역사적 자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실제 사례분석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엠블럼집에 반영된 네덜란드 접경 공간의 사례를 다루면서, 구체적으로 시각문화에 접경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미술사의 개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17세기 네덜란드 사회는 다른 어떤 사회보다 다문화사회였고, 서로 다른 민족과 종교, 언어, 생활양식이 서로 교차하는 공간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접경의 의미는 단순히 중심에 대한 대립항 또는 국가의 국경선으로 제한되는 경향을 보였고, 미술사학계에서도 상이한 문화가 충돌하여 대립하는 현상에만 초점을 맞추어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대립관계에 더 주목해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의 시도들을 살펴보면 문화간의 상호 대립에만 치중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조우하고 교류하여 서로 융합하고 공존하는 공간으로 접경을 파악한다. 접경을 선이 아닌 공간, 각양각색의 문화와 가치가 경쟁하는 사회적 무대로서 제시하며,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인종, 종족, 종교, 언어, 생활양식등 다양한 정체성의 교차지대, 즉 ‘내적 접경’에 주목하는 추세이다. 네덜란드 관용정책으로 인해 형성된 네덜란드공화국은 여러 민족과 종교와 언어, 생활양식이 서로 교차하는 곳이었다는 점에서 내적 접경의 공간으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이들이 초기의 반목과 갈등을 극복하며 네덜란드 공화국을 설립하고 네덜란드 황금시대를 이루어냈다는 사실은 서로 공존하고 융합하여 창조하는 접경공간의 긍정적인 기능을 증명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border studies focusing on their application to art history, and probes the research area where art history and border studies intersect. Border studies carried out in the humanities so far have been mostly theoretical explorations tethered to cultural theories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resulting in a dearth of case analyses based on actual historical data. Furthermore, previous border studies tended to view border as a boundary and sought the implications of border in the confrontations with the center. The focus of art history scholars, therefore, were centered on conflicts between different cultures. However, recent research attempts to define border as a space where various cultures and values meet, interact, mingle, and coexist. Border is presented not as a demarcating line, but as a space or crossroads for diverse entities of different race, ethnicity, and religion. It might be seen as “inner border” that exists within a society.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border has been represented in visual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individual works of art history. It specifically analyzes the case of the seventeenth-century Dutch society which built an exemplar of border space upon the so-called Dutch tolerance.

      • KCI등재

        나치시대의 미술사와 박물관

        송혜영 서양미술사학회 2008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29 No.-

        본 논문은 나치시대의 미술사와 박물관이 어떤 성향으로 전개되고 어떤 정책을 추진해나갔는지를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조명한다. 즉, ‘민족’과 ‘인종’이 가장 중요한 핵심어로 등장하는 나치시대 미술사의 학문적 성향, 나치시대의 박물관이 주요 정책으로 내세운 민중교육운동의 대표적 예인《독일미술대전》과《퇴폐미술전》, 유럽의 모든 걸작을 소유하고자 했던 나치의 문화재약탈과 히틀러의 최종목표였던 ‘린츠박물관’을 고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ich tendencies art history and museums in the Nazi period were unfolded in and which policies they promoted. Nazi ideology results in racism to advocate Aryan superiority through suggesting anti-Semitism and anti-Bolshevism. Like reflecting this fact, art history in the Nazi period represented as the key words of 'nation' and 'race' was developed in the tendency to harmonize with Nazi ideology from a viewpoints of nationalism out of the objectivity of pure study, and, mainly, concentrated on German art from the Middle Ages to the Baroque period. Therefore, A great number of scholars in art history had to leave Germany, and, as a result, the center of art history to have originated from the German area was extended to Courtauld Institute in London and American famous universities as the English area. The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position currently itself as the classic of modern art was regarded as decadent art by the Nazis, and relevant works in all museums and galleries were confiscated. Especially, the works of Die Bruecke were severely suppressed through 'decadent art' exhibition, but, on the contrary, German expressionism happened to well known to the international world of artists on this opportunity in the late 1930's. In addition, the New York painting circles positively accepted the modern art the Nazis suppressed, so to get the chance to lead postwar modernism. Even though the nazis established museums and art galleries with the justification of popular educational movements on purpose to enlighten the mass of people, they actually intended to propagate Nazi ideology as 'Great exhibition of German art' and 'decadent art' exhibition. Nazi Germany, that started a war, tried to possess the whole great works of the occupying nation, and, especially, Hitler promoted to establish Linz museum on a international scale. But, despite of Hitler's ambitious plan, leaning to German art, the large limits of Linz museum are found in the collection lists to have denied the experimental art of contemporary. After Nazi defeat, the universities and the museums in Germany had to make all efforts to recover self-regulation, and all the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Europe, to return to the condition prior to a war. The Nazi period in which the ideology ruled everything left an instruction that only freedom is an absolute condition of all scholarship and arts in the e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미술사 vs. 시각문화연구

        강미정(Kang Mi-Jung) 서양미술사학회 201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5 No.-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explanation of what the New Art History and Visual Culture Studies are by illuminating the theoretical positions of each area’s representatives - T.J. Clark’s social history of art and Keith Moxey’s post-structuralist art history. Even though Moxey pursued a social history of art like Clark, but since his theory of art history was so different from the Clark’s, he changed his course to ‘art history as cultural politic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t historians’ theories lies in their conceptions of art and history. According to Moxey, Clark’s social history of art is not innovative enough because he takes the existence of a traditional canon for granted. Moxey thinks Clark’s position could subscribes to a reflection theory of culture if he doesn’t have an appreciation of the role of language in the construction of history. Unlike Clark, Moxey prefers to treat non-canonical works and focuses on the representation itself rather than the reality to which it refers. I think it is because Moxey and his colleagues has accepted post-structuralist view of history and language that they could explore Visual Culture Studies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y of art history. In short, although Clark and Moxey are all New Art Historians, when Moxey abandoned his position as a social historian of art and common-sensical concept of history, he could expand the range of the discipline and make it change to Visual Cul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