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Kim) 개체군 특성

        소담 ( Sodam Kim ),이동형 ( Donghyoung Lee ),윤석민 ( Seokmin Yun ),김휘민 ( Hwi-min Kim ),문애라 ( Ae-ra Moon ),김상용 ( Sang Yong Kim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특산식물(Endemic plants)은 어느 제한된 지역에만 생육하는 식물로 지리적으로 격리되고 전파나 이동 능력이 약한 식물을 말한다. 과거에는 광범위하게 분포하던 종이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아지게 된 잔존고유종(Relic endemics) 또는 새로운 국지적 종분화에 의해 형성된 신고유종(Neoendemics)이기 때문에 개체군의 크기는 축소되거나 소집단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환경적인 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인해 특정 미소서식지(microhabitat)에만 적응해서 살아가고 있으며, 현재 개체군 증식을 위한 환경 조건이 규명되지 않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종이 대다수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세계에서 한반도에만 분포하는 유일 식물로 우리나라 고유 자연환경에 적응 진화해온 귀중한 유전자원으로 우리나라의 생물 주권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대상이다. 보전전문가 네트워크 기관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에서는 위협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세계 희귀·멸종위기생물을 목록화(Red Data Book)하여 전 지구적 수준에서 생물 다양성의 감소와 멸종위협에 직면한 종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오고 있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분포범위와 개체군의 수와 개체군 내 개체 수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명확하지 않은 정보는 멸종 위협을 과대평가하거나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음에도 과소평가 될 수 있으므로 멸종위협종에 대한 분포현황 및 변화, 개체군 구조와 동태 등을 포함한 정량적인 데이터 정보의 확보는 보전 식물학적으로 필요 불가결하나 매우 불충분한 실정이다.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 Kim)는 초롱꽃과(Campanulaceae) 잔대속(Adenophora) 여러해살이풀로 1994년 울릉도에서 처음 채집되어 Lee et al.(1997)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된 오직 한반도 울릉도에서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발표 당시 울릉도 북면 천부리의 석포동 해안절벽에 10여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현재 2003년 태풍 매미의 피해로 인한 복구 과정 중 콘크리트 옹벽 설치로 최초 발견 자생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후 Nam and Kim(2017)에 의해 최초 보고 자생지를 중심으로 석포동 해안절벽과 태하령 등 2010년부터 2015년 총 4회에 걸친 개체군 조사가 이뤄졌으며, IUCN Red list 범주(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2003; 2012) ‘Critically Endangered (CR)’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울릉도 특산식물인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선모시대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in situ Conservation)과 관리방안 추론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파악을 위해 문헌·표본 DB 및 연구자의 기존 정보 등을 참고하여 개체군 분포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울릉도 2 지역(나리분지~형제봉 구간, 태하령 일대)에서 선모시대의 출현 개체 줄기 좌표, 해발고 등을 GPS (Oregon 750t, Garmin) 2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기록한 출현 개체 줄기는 개화 개체와 미성숙 개체로 구분하여 현장에서 전수 조사하였다. 출현면적은 기록한 선모시대 출현 개체 줄기 수를 기반으로 QGIS 프로그램(QGIS Desktop ver. 3.16.8)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밀도는 출현 개체 줄기 수 대출현면적 비로 구하였으며, 개화율(%)은 개화 개체 수 대 출현 개체 줄기 수비로 산출하였다. 확보된 선모시대의 종발생정보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GeoCAT (Geospatial Conservation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 EOO) 및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 AOO)을 산출하여 지리적 분포범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ver 3.1의 평가 기준 B를 적용하여 선모시대 보전지위를 평가하였다.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 조사 결과 출현 면적 1,078.48㎡ 내 출현한 선모시대 개체 줄기 수는 총 808본으로 확인되었으며, 밀도는 0.7492/㎡로 산정되었다. 특히, 태하령 일대에서 1,035.62㎡ 내에 795본이 출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체군 전체에 대한 개화율(개화 개체 수 / 출현 개체 줄기 수)은 0.8456으로 출현 개체 줄기의 대부분이 개화한 것으로 나타나 생식 생장(reproductive growth)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확인한 종발생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출현범위(EOO)는 8㎢, 점유면적 8㎢로 나타났다. 개체군 쇠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으나 태풍과 해안도로 건설 등으로 석포동 일대의 훼손으로 최초 서식지가 파괴되었으며, 현재 주로 해안가 일대에 자생하고 있어 자연재해와 개발 등으로 인한 개체 수 및 서식지의 극심한 변동이 예상된다. 따라서 CR B1ab(ⅲ,ⅳ)+2ab(ⅲ,ⅳ) 범주에 해당한다. 울릉도 대표적인 특산식물인 선모시대는 일부 자생지가 보호 구역 내에 있으나 종에 대한 보호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보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속적이고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체군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가압 순산소 연소 연계 CO₂ 석탄 가스화 공정 해석

        소담(Sodam Park),홍종섭(Jongsup Hong),정재용(Jaeyoung Jeong),박경일(Kyoung il Park),박병철(Byeong cheol Park),김동원(Dong won Kim),이규화(Kyu hwa Lee),이은도(Uendo Lee) 한국열환경공학회 2020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0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연소와 가스화를 위한 복수의 유동층 반응기로 구성된 가압 순산소 연소 기반 복합발전 시스템에 대한 공정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공정은 가압 순산소 연소로 생성된 고온 연소가스 일부를 가스화제로, 가스화기에서 발생되는 미반응 촤를 연소기 연료로 사용하는 복합공정으로, 두 반응기 사이의 열 및 물질 전달이 매우 중요한 시스템이다. 연소기에서 발생된 배가스 내 고온의 CO₂와 H₂O는 가스화기로 공급되어 각각 Boudouard 반응, 스팀 가스화 반응을 통해 CO와 H₂의 수율에 영향을 준다. 이때 연소 가스는 가스화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가스화제로 이용되므로 가스화기 온도 및 반응물 제어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합성가스의 품질을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공정해석 툴을 활용해 운전인자에 따른 합성가스 생성특성을 파악하고 최적 운전조건 도출을 위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스화 운전 제어를 위해 연소가스와 함께 산소를 가스화제로 사용하여 합성가스의 조성 및 발열량을 분석하였으며 연소기로 공급되는 미반응 촤의 순환량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 운전조건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 분석

        이소담(Lee, So Dam),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김정운, 박정열(2008)이 개발한 직장인 대상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은 유사한 반면, 전반적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유형, 근무시간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 전체 혹은 일부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결혼여부, 월급여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근무기관이 공립단설유치원인 경우에 일과 삶의 균형이 낮았으며, 근무시간이 길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낮았고, 경력이 적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기 위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and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ir personal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2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search tool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Work-Life Balance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was below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cores of ‘work-life harmony’, ‘work-leisure harmony’, and ‘work-growth harmony’ were similar, whereas the score of ‘overall work-life rating’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total score of work-life balance and the scores of all subordinate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kindergartens and hours of duty. In addition, the total score of work-life balance and/or the scores of some subordinate fact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and education le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ir marital statuses and salaries. In other words, teachers working at an independent public kindergart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work-life balance than teachers working at other types of kindergartens; teachers who had longer working hours showed lower work-life balance; teachers who had short teaching career or high education level showed a tendency of higher work-life balance than ot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continuous attention to kindergarten teachers’ work-life balance is essential, and practical support to increase their work-life balance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경향 및 관계

        이소담(Lee, So Dam),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전반적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8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김정운, 박정열(2008)이 개발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와 Shockley 등(2016)이 개발한 ‘주관적 경력성공 척도(Subjective Career Success Inventory: SCSI)’를 보육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은 보통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교사의 경력, 결혼여부, 월급여에 따라 일-삶의 균형 전체 혹은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사의 경력, 교육정도, 결혼여부, 기관유형, 근무시간, 월급여에 따라 주관적 경력성공 전체 혹은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이 잘 이루어질수록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게 인지하며, 그 역도 성립하여 양자 간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verall aspect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s. The subjects were 208 childcare teachers, and the research tools were modified versions of the ‘Work-Life Balance’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8) and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Inventory’ developed by Shockley et al.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balance was close to averag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total and/or some subordinate factors of their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marital statuses, and monthly salaries. Second, the mean score of childcare teachers’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above aver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total and/or subordinate factors of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s, educational levels, marital statuses, types of childcare, hours of duty, and monthly salaries.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better balance is achieved between their work and life, the higher career success they perceive, and vice versa.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paying continuous attention to childcare teachers’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of providing useful way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twos.

      • KCI등재

        Effects of Usual Source of Care by Patients with Diabetes on Use of Medical Service and Medical Expenses

        이소담,신의철,임재영,이상규,김지만,Lee, So Dam,Shin, Euichul,Lim, Jae-Young,Lee, Sang Gyu,Kim, Ji Man Korea Society of Hospital Management 2017 병원경영학회지 Vol.22 No.3

        목적: 상용치료원(usual source of care)은 아프거나 건강문제에 대한 조언이 필요할 때 주로 방문하는 특정 개인의원, 보건소, 혹은 기타 장소로, 상용치료원 보유는 예방서비스를 제공을 더 받게 되며, 보건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고, 입원율을 감소시키며 의료급여자의 의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당뇨병을 보유하고 있는 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상용치료원 보유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이용 횟수 및 의료비의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제7차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상용치료원 보유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횟수와 의료비를 비교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용치료원 유형에 따른 의료이용 횟수와 의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Tobit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Tobit 분석결과,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보유하지 않은 경우보다 외래의료비는 증가했으나 입원의료비는 감소하였다.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보유하지 않은 경우보다 외래이용횟수와 입원횟수가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함의: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상용치료원을 당뇨병 환자들이 보유하게 되면, 외래 예방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장기적으로 입원의료비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s: Diabetes is a metabolic disorder that requires continuous care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as it can impose a critical burden on families and society due to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terminal renal failure, non-traumatic lower extremity amputation, and adult blindness. The usual sources of care are "specified private clinics, public health centers, or other facilities to visit when ill or when health-related advice is needed". These usual sources of care offer preventative services, have a high overall satisfaction rate in terms of public health care, and decrease the inpatient rates and medical costs of medical aid recipi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iabetic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based on their possession of a usual source of care, and the effects of this possession on the frequency of their medical service usage and its costs. Methodology: Based on data from the 7th Korea Health Panel, a Tobi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t factors that can affect th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 usage and its costs for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a usual source of care. Findings: The medical costs of diabetic patients with a usual source of care decreased in terms of inpatient, and the outpatient visits and inpatient costs of the group with a usual source of care in the form of a mainly-visiting doctor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group with a mainly-visiting medical institution only. Practical Implications: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can increase the treatment continuity, leading to reduced inpatient, and having a mainly-visiting doctor as the usual source of care further increases the treatment continuity. Based on these results, a new policy is needed to increase and strengthen diabetic patients? possession of a usual source of care.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불안: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역할*

        이소담(Lee, Sodam),신나나(Shin, Nana)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대학생 자녀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불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82명(남: 142명, 여: 1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 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관관계와 구조모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불안에 미 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여, 대학생 자녀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불안을 더 경험하 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만족을 통해 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대학생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만족은 낮았고, 그 결 과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였다. 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유능성과 관계성을 통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 을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이 시기 통제가 아닌 자율성 증진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자율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에게 실제적인 양육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nxie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direct and indirect paths from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anxiety were examined. A total of 282 undergraduate students (142 males, 140 female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rect paths from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anxiety. Undergraduate stud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experienced more anxiety. Second, an indirect path passing through autonom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at is, individuals who perceived hig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of autonomy needs, and as a result, experienced more anxiety.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continue to play an influential role during undergraduate years and that they need to provide the support necessary to fulfill needs for autonom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an autonomy enhancement program and in providing practical parenting guidelines for parents of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령자의 자살위험 예측요인 분석

        이대웅 ( Dae Woong Lee ),문상호 ( Sang Ho Moon ),이효주 ( Hyo Joo Lee ),이소담 ( So Dam Lee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고령자의 자살위험 예측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의사결정나무모형과 로짓모형, 신경망분석을 활용하여 고령자 자살위험 예측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패턴에 대한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개개인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상황과 특성들에 적합한 개별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결정나무 모형 결과, 고령자의 자살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우울증 정도이며, 다음으로 중요한 예측변수는 주거환경 만족도로 도출되었다. 또한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은 고령자가 여가생활에 불만족할 경우 자살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가장 자살위험이 높은 집단은 우울증세를 앓고 있으며, 주거환경과 여가생활만족도가 낮으며 자녀와의 관 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집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로짓분석 결과, 우울증, 성별,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가 고령자 자살위험의 유의미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경망 분석 결과 1개의 은닉층과 3개의 은닉마디가 도출되었다. 각 모형 간 비교결과, 의사결정나무모형의 오분류율이 로 짓분석과 신경망분석 오분류율보다 낮아,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고령자 자살위험 영향요인 도출 및 예측에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ROC인덱스 값은 로짓분석과 신경망 분석이 의사결정나무분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여 향후 관련 정책설계 및 대응방안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analysis to predict the suicidal risk among the elderly by methods of Data Mining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Especially, the research tried to discover the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risks and the interaction pattern among the factors by Decision Tree Analysis, Logit Analysis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Furthermore, the research aimed to suggest the reason for developing customized solutions to respond properly to the various situation and features of each individuals. As a result of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degree of depression affects the suicidal risk of elderl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the housing environment is a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llowing the degree of depression. Also, when the elderly who suffer from the depression with low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housing environment is not satisfied with the leisure, the risk of suicide increase. Moreover, the group retaining highest risk of suicide is featured by following factors: high degree of depression, low degree of housing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low satisfaction of the relation with children. Nex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gistic Analysis, depression, gender,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spous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leisure satisfaction affect the elderly suicidal risk significantly. Lastly, as a resul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one hidden layer and three hidden nodes were identified. The Decision Tree Analysis was identified as a better model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suicidal risk, because it shows lower misclassification rate compared to the Logistic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However, Logistic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have better ROC indices compared to the ROC index of Decision Tre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policy design and solution building in the future by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to prevent the suicide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