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반도 중립화 통일모형에 관한 연구=

        이성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한반도 통일모델에 관하여 형태적, 형질적 측면에서 중립화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분단 80년을 바라보고 있는 현재 미래 세대에게 분단된 국가가 아닌 통일된 강한 국가를 물려주어야 한다는 사명과 분단 상태에서 한반도 국가발전전략 수립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의식에서 통일의 형질로써 한반도 중립화의 타당성과 통일의 형태로써 연합·연방제의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통일 관련 분야의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중립화 통일의 적합성, 가능성, 실현성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높은 합의도가 도출된 통일모형의 현실적 설계에 주안점을 두었다. 통일은 이론적인 측면, 실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한반도 통일 논의에서 다뤄진 이론적 통일 유형에는 합의형, 유도형, 자멸형, 충돌형 통일 유형을 들 수 있는데 합의형에 속하는 부들러와 유길준이 제시한 중립화 통일 유형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중립화 통일론의 입장은 내적 조건에 따라 남과 북 양측에 공평하고 평등한 조건이 조율되어 남북이 상호 합의할 수 있는 기본적 환경에서 통일이 이루어져야 함을 전제로 삼는다. 기존의 통일모형들은 상호 합의를 원만하게 유도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지정학적으로 적합성이 충분한 중립화라는 공통과제를 풀어가는 통일방식에 의해 내적 조건을 충족시켜 동등한 합의에 따른 통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과 미·중·일·러의 4대 강국의 전략적 역학관계 속에서 중립화 통일의 적합성과 가능성, 실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의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정치는 여전히 국제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주요 4강, 미국과 일본, 러시아, 중국의 영향 관계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반도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강대국 간 세력 경쟁으로 인한 안보 위협이 큰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강대국과 국경이 인접해 있는 경우 세력 경쟁으로부터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중립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반도 중립화 통일의 조건은 외적 세력의 균형, 남북 간 정치적 합의, 북핵 문제에 대한 합의 등이다. 무엇보다 한반도의 통일은 우리 민족 내부의 문제인 동시에 한반도를 둘러싼 4강의 안보와 직결되는 국제적인 문제이므로 주변 4강의 협조와 동의를 얻어야만 통일에 이를 수 있다. 4강이 저마다의 이해관계로 한반도 내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일에 이를 수 있는 외적인 조건으로는 한반도의 분단을 통해 유지되고 있는 주변 4강의 세력균형이 한반도 통일 이후에도 지속해서 유지될 수 있어야 하므로 중립화가 요구되는 것이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주변의 국제 환경과 남한의 경제적 변화는 한반도가 중립화 통일에 이를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한반도의 중립화 통일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전문가 집단의 델파이 조사 결과, 한반도 중립화 통일모형은 적합성 영역에서 방위비를 절감하여 경제발전을 가속할 것이며 지정학적 완충지대를 형성하여 아시아-태평양 평화 유지에 유리하고 글로벌 경제시장 확대의 측면에서 적합한 방안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한반도 중립화 통일의 가능성 영역에서는 남북 간 이질성 극복을 위한 유소년기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대북정책의 일관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북정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민·관·군 등의 참여로 대북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할 민간 주도형 통일기관을 설립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중립화 통일의 실현성 영역에서는 한반도가 중립화 통일을 달성했을 때 국제사회의 평화 주도국 역할 수행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자국적 군사력 보유가 요구되며 외세의존적 의식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국제사회가 한반도 중립화 통일을 보장하고 지지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주변 4강에 대한 외교 전략을 통해 중립화 통일의 당위성을 설득해야 하며 북핵 문제는 그 과정에서 협상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종합해 보면 한반도 중립화 통일에 있어서 국제사회의 보장을 받기 위해서는 국제사회 평화주도국 역할 수행과 강력한 군사력 보유가 필요하다. 현재의 한반도가 가지고 있는 지정학적 특수성과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과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통일모형은 한반도의 비핵화, 연합-연방제 형태적 통일과 비핵화를 통해 평화를 주도하는 스위스와 같은 영세중립화라는 형질적 통일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반도 중립화 통일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어 한반도 중립화 통일의 구체적인 방향과 추진 전략이 수립됨으로써 민족의 숙원이자 과제인 평화통일의 길이 열리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neutralization from the morphological and characteristic aspects of unification respect to the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model. It looked into the validity of neutral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characteristics of unification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union and federal system as a form of unification based on the sense of mission that we should pass on a strong and unified nation, not a divided nation, to future generations, and the awareness tha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es limitation in shaping a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that remained divided for 80 years. Specificall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uitability, possibility, and feasibility of neutralized un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a Delphi survey of 30 experts in the fields related to nation’s unification. Through that, the focus was placed on realistic design of the unification model on which the highest degree of agreement was reached. Unification can be manifested in various types whe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re considered. The theoretical types of unification, which have been dealt with so far in discussions on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consensual, guided, self-destructive, and conflict-type unification. The type of neutralized unification presented by Budler and Yu Gil-jun, which falls under the category of consensual type, is also considered as important. The position of neutralized unification theory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under a basic environment where fair and equal conditions for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arranged according to internal conditions, which the two Koreas can mutually agree upon. As the existing unification models reveal the limitations that they cannot induce mutual agreement smoothly, unification should be achieved based on equal agreement by satisfying the internal conditions through a unification method that deals with common task of neutralization assuring sufficient geopolitical suitabilit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possibility, and feasibility of neutralized unification within the context of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trategic dynamics of the 4 major powers, i.e.,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The current international politic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re unfolding with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4 major powers, i.e., the United States, Japan, Russia, and China, which still wield massive influence on international politics. From the standpoint of geopolitics, the situation of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most clearly by the serious threats to its security due to power competition among the powerful countries. Therefore, when the border adjoins several powerful countries, the need for neutralization is raised as a way to block the threat from the power competition. The conditions for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the balance of external forces, politic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agreement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tc. Above all,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only an internal issue facing the Korean race, but also an international issu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ecurity of the 4 powerful countr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ence, unification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cooperation and consent of the 4 powerful countr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hile the 4 powerful countr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re in sharp conflict with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ir respective interests, the external condition for achievement of unification is the neutralization which is required because the balance of power among the 4 powerful countries, which has been maintained through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needs to be preserved eve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economic changes in South Korea are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neutralized unific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to strengthen the feasibility of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results of a Delphi survey of expert group, the neutralized unification model for the Korean Peninsula would lead to curtailment in defense expenditures to speed up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uitability area and would facilitate formation of geopolitical buffer zone advantageous for maintenance of peace in Asia-Pacific region, and was considered a suitable measure from the perspective of expansion of global economic market. Additionally, in the area of possibility of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ed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childhood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long with the need for consistency in policy towards the North Korea. That highlights the need to establish a policy towards the North Korea with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government, and military, etc. in order to ensure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towards the North Korea, and the need to establish a private-led unification agency that can carry out such policy. Finally, in the area of feasibility of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was expected that the unified Korea would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most conspicuously, as compared to other roles, in promoting peace in international community when Korean Peninsula achieved neutralized unification. For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strong national military power and break away from the mindset of depending on foreign powers. Furtherm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vince the 4 powerful countr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iplomatic strategies with regard to the legitimacy of neutralized unification, and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r negotiation in such processes. In summary, it is necessary to take on the role of a peace lead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build strong military power in order to secure guarantee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e current geopolitical uniquenes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Japan, the most appropriate and ideal unification model would be the morphological unification involving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nion-federal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 unification based on permanent neutralization, which is epitomized by Switzerland, allowing the unified Korea to play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peace through denuclear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uture discussions on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stimulated, and based on that, specific course and implementation strategy could be established for neutralize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by paving way to peaceful unification, which is the long-cherished wish and challenge of Korean race.

      • 장용학 소설에 나타난 '존재구원'에 관한 연구

        이성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장용학은 “우리의 기도는 인간의 구원에 있다”고 언급하면서 자신의 문학세계에 대한, 그 목적성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전후시대에 소외된 인간의 가치를 탐구하고 차별된 관념으로 인간의 존재구원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은 존재구원의 연원과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그것의 표현양상들을 살펴보았으며, 장용학 소설에서 지향하는 존재구원의 의의를 밝히고 있다. 존재구원의 연원은 시대적 상황과 문학사적 분위기, 인간에 대한 작가의 탐구의식 등으로 확인된다. 1950년대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죽음을 목격하면서 가치상실에 따른 허무주의와 비극적 감성에 빠져들던 시기였다. 때마침 들어오게 된 실존주의 문학은 정신적으로 혼란스럽고 황폐해진 인간의 존재에 대해 진지한 물음과 답을 찾아 나서게 해 주었다. 또한, 구세대 문인들에 대한 비판과 함께 넘쳐난 휴머니즘의 의욕은 존재구원에 대한 창작의 계기가 되었다. 작품 속에서 존재구원의 표현양상은 다섯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바로 현실비판이다. 그의 소설은 불합리한 세계와 그 속에서 실존적 자각을 이루는 인물간의 갈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는 세계와 인간의 대립을 통해서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며 ‘인간의 구제’를 갈망한다. 둘째, 제도 속에 갇힌 자유 찾기이다. 그는 인간이 자유를 위해 만들어낸 제도가 도리어 자유를 죽이고 마취시킨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이 만들어내는 제도를 통해 인간성을 상실하는 제도적 현실을 비판하면서 진정한 자유 찾기에 나서고 있다. 셋째, 새로운 인간형으로서 ‘비인(非人)’을 제시한다. 비인은 필연적으로 ‘전신(轉身)’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는 인간관계나 인식과 가치체계와의 단절을 의미한다. 비인은 사회를 통해 부여받는 인간성을 파기해야 하며, 의식과 무의식 속에 잠재된 타자의 흔적도 지워버려야만 완성이 된다. 넷째, ‘의미있는 죽음’에 대한 기대로 나타난다. 그는 전쟁으로 ‘부적절한 죽음’을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의미있는 죽음’을 모색한다. “현대 자체가 실패작”이라는 작가의 관점은 죽음을 불사하면서까지 존재구원을 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의미있는 죽음’은 존재구원을 위한 방법으로, 유토피아로 향하는 시도이자 기대로 나타난다. 다섯째, 초월적 세계로의 유토피아이다. 유토피아는 현실에 대한 희망을 상실할 때,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갈망에서 출발한다. 장용학의 유토피아 만들기는 현실세계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과 부정으로 시작하여 이상향 창조라는 초월의 담론을 제시한다. 즉, 유토피아의 건설은 존재구원을 위한 궁극적 목표가 된다. 그의 유토피아는 부조리한 현실을 벗어나려는 비극적 위안에서 비롯된 낭만적 세계로 이해될 수 있다. 장용학은 역사적 현실과 체험에 비춰 부조리한 현실과 이성적 사고의 불합리성에 대해 고발하면서 존재구원을 지향한다. 그는 잠겨있는 세계를 풀 수 있는 열쇠로 존재구원을 제시한다. 또한, 불합리한 이데올로기와의 단절을 통해, 인간의 가치회복과 구원을 위한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존재구원에 대한 열망은 작가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유추하는 데에도 의미를 가진다. 그는 세상과 단절된 삶을 살았지만 자신만의 문학적 세계를 포기하지 않았다. 이는 존재구원을 향한 글쓰기가 장용학의 가치를 회복해주는 한 방편이 되었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그의 끊임없는 탐구의식에도 불구하고 존재구원을 향한 기대는 ‘낭만적 아이러니’라는 한계를 드러낸다. ‘낭만적 아이러니’의 발생은 유토피아가 상상력에 의해 파악되고 구성된 세계이며, 현실 밖에 존재한다는 데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욕구의 문학성과 충족의 유한성” 사이의 갈등은 “동경이 동경으로 끝날 것이라는 실망”을 주기 때문에, ‘낭만적 아이러니’라는 한계를 드러낸다. 장용학 소설의 지향점은 인간의 자유와 회복을 위한 존재구원에 그 목적이 있다. 그는 존재구원을 지향함으로써 닫힌 세계를 열고, 현실에 저항하는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면서 초월적 세계로서의 유토피아를 꿈꾸었으나, “낭만적 아이러니”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통해 소외된 인간의 가치와 본질에 주력한 작가임에 틀림없다. Jang Yong-hak articulates his purpose for the literary world as he mentions that our prayers lie in the salvation of humanity. He explores values of isolated human beings after the Korean War and gropes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s with differentiated ideas.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aspects expressing and meanings of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focused on in Jang Yong-hak’s works. The origin of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is comprehensible through the situation of the time, literary atmosphere in its history and writer’s awareness exploring human beings. The 1950s was the time of nihilism and tragic sensitivity with loss of values after many people’s deaths and witnessing of the deaths because of confrontation of ideologies. A timely appearance of existentialism in literature helped to find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human being spiritually confused and devastated. In addition, the desires for humanism flooded with criticisms on the old generations’ literature became the motive of writing on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There are five types of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expressed in his works. The first aspect is a criticism on the reality. His novel consists of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in the illogical world and realising existence of the human in the world. He longs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as he criticizes the absurd reality through confrontation of the world and human being. The second aspect is discovering freedom in a system. He perceives that the system the human being created for their freedom kills and paralyses human beings. He also criticises that human beings lose their humanity through the system they created and seeks for a real freedom. For the third aspect, he presents a beast as a new type of human beings. Beasts have to go th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position inevitably, which means severance between relationship and perception and the system of value. Beasts have to destroy humanity that delivered by the society and remove the trace of potential others in their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ourthly,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is expressed as an expectation on meaningful deaths. The novelist seeks for a meaningful death in order to overcome the reality that people had to experience inappropriate deaths because of the war. Writer’s perspective that the modern time itself is a failure shows his will towards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even by sacrificing people’s deaths. A meaningful death is the way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which is a trial and expectation for a utopia. The fifth aspect is a utopia as a transcendental world. A utopia starts from the desire that one wants to escape from and loses hope for the reality. Jang Yong-hak’s establishing a utopia is derived from a full criticism and denial on the real world and presents a transcendental discussion of creating a utopia. In other words, building a utopia is an ultimate goal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His utopia can be understood as a romantic world originated from tragic comfort in order to escape from the absurd reality. Jang young-hak pursues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as he claims illogicality of a reasonable thinking and absurd reality by reflecting it on the historical reality and experience. He presents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as the key which opens the locked world. In addition, through severance of absurd ideologies, he produces a new ideology for the salvation and recovery of the values of the human being. Such desires for the salvation of human being are meaningful in analogizing writer’s view of life and world. Although he lived a life isolated from the world, he did not surrender his literary world. This can be understood that writing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is a way to recover his value. However, despite his endless experiential awareness, expectations towards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reveal its limitation of romantic irony. Romantic irony stems from the idea that a utopia is a world comprehended and composed by imagination and exists outside of the reality. Such conflict between desired literature and limitation of satisfaction indicates the romantic irony because it gives a disappointment that longing will end up with longing. Yong-hak’s novels focus on the salvation of the human being for human beings’ freedom and recovery. He dreamed about opening the locked world as he pursued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and establishment of a utopia as a transcendental world as he produced an ideology that resists to the reality but he could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romantic iron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he mainly focused on the value of the human being through the deep self examination on human beings.

      •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론

        이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맹자와 순자의 人性論과 敎育論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이성순 지도교수 정기섭 교육은 인간의 지적·정의적·신체적 발달과 성장을 통하여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한국교육은 산업화와 정보화, 첨단과학기술에 기초한 지식사회, 국제화 사회를 거치면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한국교육은 교육목적의 차원에서 보면, 교육의 본질적 목적인 인격의 완성이나 인간다움보다, 효용성과 실용성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으로 흘러온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수단적 가치가 팽배해 있는 한국교육의 현실을 자각하고 교육적 대안을 고민하기 위해, 유교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인 맹자의 性善說과 순자의 性惡說을 교육학적으로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적 특징에서, 人性의 구조와 본질 그리고 인성론이 근원적으로 가지는 교육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人性의 구조에서는 맹자의 性善說과 순자의 性惡說을 善端論과 欲望論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맹자는 인간이 인격완성을 위한 가능성으로서 善端을 지니고 있으며, 善의 실마리가 성숙하여 완전한 도덕적 인간에 이를 수 있기를 바랐다. 선단론을 기초로 성선설로 나아가는 논리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순자의 本性論은 욕망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욕망은 惡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욕망론과 성악론이 통하는 점이 있음을 주장한다. 인성의 본질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心과 연결되어 있음을 구명하고, 맹자의 경우 道德心의 차원에서, 순자는 欲求心의 측면에서 인성의 본질을 검토하였다. 맹자의 인간 본성론의 내용으로는 仁義禮智의 四德이 있으며 四德은 四端之心의 실천을 통해 드러나며, 순자의 경우, 性의 핵심적 요소는 욕구이며, ‘감각적 본능, 생리적 욕망, 심리적 반응’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인성론이 근원적으로 가지는 교육적 특성에서는 善端의 확충과 욕구를 조절할 수 있는 禮義의 요청에 대해 논의하였다. 맹자는 善端擴充을 통한 인격완성을 위해 存心과 寡欲을 강조하였으며, 순자의 경우, 인간본성은 惡하므로, 인성의 변화를 위해서는 人爲가 쌓여야 하며, 人爲의 기준은 禮가 됨을 살펴보았다. 둘째, 맹자와 순자의 수양론적 교육론에서는 교육목적과 인간상, 교육내용의 실천성, 교육방법의 수양론적 특징에 대해 구명하였다. 교육목적과 인간상에서는 仁義를 체득하고 禮義와 敎化를 통한 聖人의 탄생을 살펴보았다. 맹자는 인간본성에 내재하는 仁義의 道 즉 마음속에 선천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의식을 구현을 통하여, 순자는 禮를 습득하고 실천하여 모든 행동이 禮에 어긋남이 없도록 함으로써 인격을 수양하고, 공동체의 善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聖人의 모습을 주장한다. 교육내용의 실천성에서는 五倫과 道德 실천, 禮法과 積習 수양을 검토하였다. 맹자의 경우, 교육은 4단의 확충을 통해 仁義의 도덕성을 갖추는 것이다. 그리고 仁義의 道를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법으로 五倫이 있다. 순자에게서 교육내용은 禮의 道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은 이러한 禮의 길을 익히고 실천하게 하는 일이다. 교육방법으로 不動心과 浩然之氣, 知言의 수양방법과 認知心과 虛·壹·靜의 수양방법을 살펴보았다. 맹자는 인간 본래의 선한 마음을 유지하고 확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不動心을 강조하였다. 不動心을 갖기 위한 방법으로는 養氣와 知言이 있다. 순자는 道를 인지하기 위해 認知心과 虛·壹·靜 공부가 필요하고, 배움은 실천으로 옮겼을 때 그 효력이 발생함을 주장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론이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었다. ‘인성교육의 재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 ‘교육적 인간상의 반성’, ‘교육방법의 수양론적 특성 제고’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인성교육의 재고에서는 ‘인간존중의 정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사상가의 인성론에는 인간 존중의 정신이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인간이 다른 동물과는 차원이 다른 소중한 존재라는 의견의 일치를 보인다. 또한 맹자는 四端의 마음을 확충시켜나가는 것을 인성교육 핵심내용으로 하고, 순자는 인성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을 禮에 기반하여, 인간 존중의 교육을 겨냥하였다.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에서는 ‘공동체의식의 함양 교육’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맹자와 순자는 모두 교육의 목표인 이상적 인간상을 구심으로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질 것을 강조한다. 교육받는 사람의 궁극 목표는 개인의 인격완성과 사회적 善의 실현을 통해 평화로운 사회 구현에 두었다. 교육적 인간상의 반성에서는 ‘교육받은 사람이 가져야할 자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맹자와 순자는 교육의 최종 목표인 이상적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들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인 聖人은 교육적 차원에서 볼 때, 지식의 전달을 넘어 인격교육의 차원을 고려하였다. 교육방법의 수양론적 특성 제고에서는 ‘지행일치의 교육’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맹자와 순자는 모두 각각의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명확히 알고,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 인간존중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의 강화, 공동체의식함양을 위한 학교교육과정의 운영의 내실화, 실천중심의 교육을 유도할 수 있는 입시제도의 개선, 평생학문을 위한 국가적․사회적 분위기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골다공증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추간반 병변에서 여러 척추유합술의 임상결과 비교

        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영동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에서 carbon cage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골유합술(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과 척추경나사못고정술(transpedicular screw fixation)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적관찰한 골다공증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추간반 질환 환자 총67명, 92분절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수술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 연구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퇴행성 요추부 추간반 질환 수술에 대해 여러 척추유합술중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고 각 수술의 구체적 적용기준을 알고자 하였다. 2.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영동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에서 척추유합수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적 관찰한 골다공증을 동반한 퇴행성 요추부 추간반 질환 환자 총67명, 92분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환자를 수술방법에 따라 Group 1은 carbon cage를 이용한 PLIF를 시행한 환자군(33명, 40분절), Group 2는 PLIF와 척추경나사못고정술이 동반 시술된 환자군(34명, 52분절)으로 분류하였다. 두 환자군 간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임상적 결과는 "Prolo economic and functional rating scale", 척추골 유합 판단은 "Brantigan 과 Steffee의 골유합 분류법"을 이용하였고 척추 분절간 불안정성은 "Posner's method"를 이용하여 판단하였다. 이외 수술전후 추간반 높이, 척추체 침강여부, 수술시간 및 출혈량, 수술 후 합병증 등으로 두 환자군의 수술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3. 결과 Group 1과 Group 2의 척추골 유합률은 각각 92.5%, 100%로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p=0.079), 임상적 결과는 각각 89.9%, 94.1%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두 환자군 간의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94). 수술 후 척추체 침강은 Group 1에서 70.7%를 보여 Group 2의 29.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척추체 침강률을 보였고(p<0.001) 수술전후 추간반 높이의 증가도 Group 1보다 Group 2에서 컸으나(p<0.001) 수술 후 임상적 결과와 통계적으로 관련은 없었다. 수술시간과 출혈량은 Group 2가 Group 1보다 컸으나(p=0.007) 두 환자군의 평균 합병증 발생률은 7.5%로서 두 환자군 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4. 결론 본 연구에서 Carbon cage를 이용한 PLIF와 척추경나사못고정술이 높은 척추골 유합률과 기능적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때 두 수술 모두 골다공증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추간반 질환 환자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적용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PLIF는 척추 분절간 불안정성이 없는 골다공증 환자에게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척추경나사못고정술은 척추 분절간 불안정성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 할 수 있다. 단 척추경나사못고정술의 동반 시술은 수술시간, 수술중 출혈 등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환자의 요추부 질환의 생체 역학적 원인 및 전신적 상태를 고려하여 신중히 적용함으로써 수술 후 이환율을 최소화해야 한다.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provide a comparison of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 betwee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PLIF) in which impacted carbon cages were used and PLI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using various pedicle screws for the degenerative lumbar disc disease with osteoporosis. 1. Objectives To determine which approach provided the most effectiv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 for the degenerative lumbar disc diseases with osteoporosis. 2. Method In a retrospective study, the authors evaluated more than 1 year follow up results of 67 patients (92 segments) with osteoporosis in whom surgery was performed between 1997 and 1999. One group performed with only PLIF operation using carbon cage(Group 1) was 33 patients(40 segments) and the other group with PLI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Group 2) was 34 patients(52 segments). Clinical outcome was assessed using "Prolo economic and functional rating scale", fusion rate was assessed using "The classification of fusion results according to Brantigan & Steffee". Segmental instability using "Posner's method", disc height, settling after operation, morbidity related operation and other traditional surgical factors were also investigated for comparison. 3. Results Both fusion rates of two groups were high, 92.5% and 100% respectively(P=0.079) and clinical outcomes were also satisfactory, 89.9% and 94.1% respectively(P=0.594) rated as more than good results. But fusion rate and clinical outcome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mong other surgical factors, post-op. settling rate of group 2(23.1%) was lower than group 1(72.5%,p<0.001), operation time of group 1 was shorter than group 2 (p=0.007). Increase of disc height after PLI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was greater than group 1(p<0.001) but not related with clinical outcome statistically.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7.5% and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4. Conclusion Both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carbon cages and PLI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could be adopted as effective and safe fusion technique for osteoporotic degenerative lumbar disc disease judging from the results of high radiological fusion rate and good clinical outcome. Not shown statistical difference, PLIF with carbon cage is recommended for the osteoporotic degenerative disc disease without segmental instability and PLIF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technique can be performed on osteoporotic spine regardless of existence of segmental instability.

      • FLOATING DOCK에서 제작된 케이슨의 운반 및 진수에 관한 연구

        이성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만의 안벽 축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케이슨의 대형화추세이다. FLOATING DOCK(F/D)에서 제작된 케이슨의 운반 및 진수시 F/D의 침몰 또는 케이슨의 전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슨 운송 및 진수시 케이슨과 F/D의 안정성을 확보를 위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안전성 있는 운송 및 진수가 가능한 환경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슨 운송시 F/D의 안정성과 케이슨의 안정성을 비교하여 운송가능 환경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케이슨의 정적 안정성 해석 결과 케이슨 자체 부양시 항만설계기준에 만족하였다. 케이슨의 운송, 부양, 거치 해석 결과 운송시 한계파고는 1.72m 산정되었다. 부양시 한계파고는 1.29m로 산정되었고, 거치시 한계파고는 1.39m로 산정되었다. F/D침수 해석 결과 GM값이 항만설계기준을 만족하였다. It is trend large size Tuesday of caisson that is used much by inner wall article by article of harbor. Conveyance of caisson and when launch F/D's sinking or entire island accident of caisson that is manufactured in FLOATING DOCK (F/D) is happened frequently. Therefore, caisson transport and stability of caisson and F/D when launch research for security urgently need . Also, transport and launching that have safety need presentation of available environmental standard. Compare F/D's stability and stability of caisson at caisson transport in this research and presented transport possibility environment. As a result, satisfied in harbor and bay design standard when supported silence stability analysis wave of caisson and caisson itself. Limiting wave height calculated 1.72m at transport of caisson, support, deferment analysis result transport. When support, calculated by limiting wave height 1.29m, and calculated by limiting wave height 1.39m when defered. F/D inundation analysis incidental and GM value satisfied harbor and bay design stand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