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시대의 판화에 대한 연구 : 本人의 作品中心으로

        이석환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제작한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판화역사상 새로운 인쇄의 방법을 제시하는 등 다른 나라에 앞선 판화예술의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부의 판화가들에 의해 그 기법과 매체적 성격을 끊임없이 연구되고 개발되어가고 있다. 현대 우리의 실생활은 디지털의 뉴 미디어 시대에서 복제, 변형, 이미지의 창출 등이 누구나가 손쉽고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판화예술의 의미는 한때 기법과 장인정신 등을 통해 이루어져 왔던 단계에서 새로운 디지털의 기술을 받아들이며 그 분야가 점차 확장되어지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일부이긴 하지만 판화가 최첨단의 정보의 기술을 받아들이고 발전을 거듭하게 되면 기존의 판화예술의 개념이 사라지지 않겠느냐는 걱정과 우려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디지털의 기술의 발명은 판화 예술의 제작 기술 전체를 변화되게 하였고, 고유 판화적 특성에서 나오는 발상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으며 나아가 개념 자체에까지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여러 변화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예술적 가치나 의미는 조금도 변질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에 따른 판화의 예술적 가치나 의미에 적지 않은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에 대해 심각해 질 필요가 없다. 예술 작품은 언제나 그 시대의 방식에서 충실해 왔기 때문이다. 앞으로 판화예술의 모습은 그 시대상과 성격을 반영하며 대중들에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In the past, Korean artists showed extraordinary talents in printmaking by having created the woodcut plate 'Mugujungkwang-daranikyung' as well as the metal letter print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mankind. As of present, several printmakers are continually researching and developing different printmaking techniques as well as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printmaking medium. Within the rapid change in the scene, that anybody can easily duplicate, modify and create different images, the art genre of printmaking is going through an expansion: Traditionally trained printmakers are also accepting and implementing digital technologies for newer visions. Although very few, there are also worries and speculations on the extinc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s of printmaking. However, I do think that even if the art scenery including printmaking accepts newly invented digital technologies and goes through a change in its concepts, there would be no serious change 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printmaking art in general. It is true that there are more or less worries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printmaking in the digital age. However we do not have to take this matter too seriously. Artworks have been compatible and loyal to the measures and styles of each era. Printmaking will not be an exception.

      • 한.일 관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신고전현실주의를 중심으로

        이석환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신고전현실주의학자인 랜달 스웰러(R. L. Schweller)의 이익균형론을 반영하여 자신의 국가 이익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익에 따라 균형을 추구한다는 주장을 적용하였다. 관련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하는데 있어 특정 상황만의 국가관계 중심으로 분석한 이론을 한·일간의 관계 연구로 하기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많고, 국가들간의 연구범위를 축소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연구의 배경적 설명을 위해 국제관계의 선호 및 비선호적 관계 속에서 동맹 및 전략적 협력관계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연구의 중요성으로 현재의 주변국 상황과 관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랜달 스웰러(R. L. Schweller) 이익균형론에서 주장한 국가 특성은 한·일 양측이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정하고 연구의 편승전략에서 적용된 국내정치라는 매개변수를 연구의 핵심변수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일 관계상의 과거사, 영토분쟁의 특수성을 설명하기에는 제한사항이 있어 분석변수를 수정하였다. 특히 국내정치의 분석요소를 DIME+SC 분야로 구분함으로써 한·일 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미국과 중국의 G2경쟁이 무역과 군사력 중심으로 가시화되고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 이후 국제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현상이 변화를 제시하면서 포스트 코로나바이러스-19(Post COVID-19)에서 나타난 사회구조체계는 서로를 감시하고 추적 관리되고 국가의 역할이 증가되어 정책 지도자와 지도층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반면 사회 구성원(국민, 사회단체, 기타 지지세력)들에 의한 감시와 지지를 받아야만 추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더욱 확장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북아 주역 전략변화를 꾀하던 주변국들도 예기치 못한 변수로 인해 계획된 전략 달성에 차질을 빚게 되면서 서로 “협력”이라는 균형유지 도구를 통해 상호 감시할 수 있는 체제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연구에 대한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한·일 관계를 다루기 전에 우리의 환경적 부분을 살펴보면 한국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정전국가로 한민족인 북한과 대치하여 서로 노려보며 지내온지 벌써 70년의 세월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사이 우리는 타국에 의존한다는 인식 보다는 스스로 나라의 국력을 높이겠다는는 신념으로 주변국들의 자본과 기술을 끌어들여 경제적 기틀을 다지는데 국가총력을 다하였으며, 그 결과 지금은 전세계 군사력 6위, 경제력 10위의 군사ㆍ경제, 사회ㆍ문화적 대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변국들의 전략 변화와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으로 이제는 한방향에 의한 일방적 안보 정책보다는 주변국과의 안보협력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생존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한·일 관계에 대한 흐름은 과거사와 국토분쟁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들이 많이 있지만 지정학적으로는 경계, 문화, 군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공유하고 있는 딜레마적 관계이다. 그러나 현재 일본과의 안보협력 분야를 2020년 7월에 공개한 일본의 ‘2020년 방위백서’를 통해 살펴보면 한국은 호주, 인도, 아세안에 이어 네 번째로 전년과 동일하게 기술되었으며, 2018년 두 번째였던 것을 고려할 때 한국과의 안보협력 중요도는 낮아지고 있다. 2019년에 기재되었던 ‘한국과 폭넓은 분야에서 방위협력 추진과 연대기반 확립 노력’이라는 기술 내용도 삭제됨으로써 일본은 한국과의 안보 협력 관계에 점점 더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랜기간 한ㆍ일 관계는 영토분쟁 및 정치적 갈등으로 대립된 관계를 지속해 왔으며, 내부적으로 다양한 협력관계로 인해 관계 재 구축에 대한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사실 일제 침략기를 제외하더라도 우리와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문제는 “일제 침략 이전?, “광복 이후?, 국교 정상화 이후?” 어느 때를 기준으로 해도 좋았던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단지 “서로 필요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필요한 관계적 변화로 현재까지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 지금도 한ㆍ일 관계의 악화된 모습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때 좀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 기인되었을 뿐 역사적 사명으로 드러난 모습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미국과 중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우리는 각국을 통해 얻는 이익에 따라 대응하는 방법을 달리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격화된 국제적 흐름과 미․중 무역갈등,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와 같은 상황이 더해지면서 자국 우선주의가 더욱 팽창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그들도 우리에 대해 겉으로는 협력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겠으나 안보적 부분을 예로 보더라도 중국은 물론, 동맹국인 미국 조차 한반도의 안보를 불안정 요소로 인식할 뿐 직접적인 해소를 위한 노력보다는 정치·경제적 이익을 획득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 정치적 정책에 대한 것을 DIME+SC를 활용해 분석한 것처럼 같은 공동 대응요소가 많은 한·일의 관계 개선은 꾸준이 제기되어 왔다. ‘내편을 만들지 못한다 할지라도 적은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최소한 지금의 관계성보다는 좀 더 나은 모습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안보, 경제, 사회 및 문화 등 한ㆍ일이 공통적으로 처해있는 문제점을 하나씩 해소하기 위해 이익이 되는 분야부터 접근해보면 한ㆍ미ㆍ일 소(小)다자안보, 중국ㆍ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을 통한 육ㆍ해 교역선 확보, 사회단체, 지자체, 연구자들에 의한 자유교역 보장 등을 추진하고, 과거사에 대한 부분은 지금처럼 정치적 접근으로 해소하되 감정에 치우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이것을 중재해 나가야 하는 현재와 미래의 정부, 국가는 항상 중립성을 유지하여 정책에 대한 일관성 있는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 한·일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문과 연구는 연구자이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자유럽게 제시할 수 있으나 과거 나왔던 연구와 각종 연구소에서 제시한 내용은 현실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더 많았다. 연구의 재료는 결국 자신이 기술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찾게 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 객관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 진행에 있어 한·일 관계에 대한 개선 방향은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와 더불어 국내정치 변화를 통해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하며, 현실주의 관점에서 안에서부터 밖으로 단계적인 접근시도를 통해 해소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 applies the argument that one nation’s interests ar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balance of interest, the theory by R. L. Schweller, a neoclassical realist. When researching by applying related approaches, as the theory analyzed focusing on national relations in a specific situation has a number of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Korea-Japan relations and reducing the scope of research between countries is challenging,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ituation and relationship of neighboring countries which is highlighted by current ara’s needs for alliance and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nd the research. In addition, as advocated in Randall Schweller's theory of profit balance, this study assumes that both Korea and Japan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t applies the parameter of domestic politics involved in the piggyback strategy as the core variable of the study. However, as there ar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and the specificity of territorial disputes to apply as it is, the analysis variables were modified. In particular, by dividing the analysis elements of domestic politics into the DIME+SC field, the agendas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First, this study highlighted that the G2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ppeared to be centered on trade and military power. Thi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hanges in social phenomena after COVID-19 were presented. While the social structure system that emerged in Post COVID-19 monitor allows for tracking people and increases the state’s role, the reliance on policy leaders and governors became increasingly essentia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presented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that can only be pursued with monitoring and support from members of society (the people, social groups, and other supportive forces) is further expanded.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as they were trying to change the strategy of the Northeast Asian leaders and eager to establish a system for monitoring each other through the balance maintenance tool of “cooperation” after unexpected variables hinder the achievement of the planned strategy. Precedent before the discussion regarding Korea-Japan relations, South Korea showed unprecedented length for the armistice period globally. It has already been 70 years since the Korean people divided;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arming for a potential confrontation. Regardless of this period, South Korea built an economic foundation by attracting capital and technology from neighboring countries, founded by the belief that focused on raising the national power freeing the nation from the reliance on other countries. As a result, South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ilitary,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owerhouse. Due to the change in the strategie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protectionist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t is now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through security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rather than a one-way security policy and devise countermeasures for survival.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Japan relations are flowing where many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coexist due to history and territorial disput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geopolitics, a dilemma of sharing various fields ranging from borders, culture, and the military is emerging. However, as demonstrated in Japan’s ‘2020 Defense White Paper’, a disclosure document on the field of security cooperation released in July 2020, Korea is the fourth important country, followed by Australia, India, and ASEAN, remaining at the same as in the previous year. The rating is two-step down from 2018, as the ranking was the second in 2018. The slide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security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is decreasing. The description of “promotion of defense cooperation and efforts to establish solidarity foundations in a wide range of fields with South Korea” in 2019 was also deleted, showing that Japan shows an increasing distance from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Korea-Japan relations shape territorial disputes and political conflicts for a long time as there has been a steady opinion that the relationship should be re-established through various cooperative ties internally. Even if we exclude the period of Japanese aggression, the questions about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at the time of “before Japanese aggression?”, “after liberation?” and “after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never shows a single time when the relationship was healthy. Indeed, there have been necessary relational changes depending on “Is the relationship necessary for each other or not?”, the main question on the agenda so far. The worsening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stems from recognizing that each country gains more profits from political conflict than recognizing the deterioration as a historical mission. Scrutinizing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ase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t ways of responding to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interests they receive. It is an increasing international trend since 2018 when the international trends intensified. As the US-China trade conflict and the coronavirus (COVID-19) situation progresses, the national priority appears to be expanding further. Also, so-called allies may seem to cooperate on the surface; the opposite is found underneath. The security aspect is a good example.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ur ally, continue to perceive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s an unstable factor, thereby utilizing the security as a tool for gaining political and economic benefits rather than providing direct efforts to resolve the core problem. As shown in analyzing domestic political policy issues using DIME+SC, the need to improv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share many common response factors, has been constantly raised. As in the proposition, 'Even if you can't make your own side, you shouldn't make an enemy,’ the relationship should be better than the current shape. To this end, to solve problems that Korea and Japan have in common, such as national security,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ne by one, approaching the most beneficial areas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s multilateral securi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ecuring of land and sea trade routes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the guarantee of free trade by social groups,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ers. In addition, the present and future governments and countries that need to intervene should always maintain neutrality and improve in the direction of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policies. In various papers and research on Korea-Japan relations, freely presenting opinions as a researcher was allowed. Still, the contents submitted by multiple research institutes and studies published in the past were more often do not reflect the reality. The discrepancy is due to the research materials being prejudicial to the researchers’ direction, constantly losing their objectivity without realizing it.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a way that reflects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as well as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from a realist perspective that resolves the issue through a step-by-step approach from the inside out, reflecting the realist perspective.

      •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노인 삶의 질 비교 연구

        이석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eing In Place)’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노인의 돌봄 욕구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있는지를 공식 돌봄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과 가족, 친지 등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의 삶의 질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사회적 위험으로 인한 돌봄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기요양제도(long-term care)는 대표적인 공식 돌봄으로 자리 잡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돌봄시간, 돌봄비용 등 주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공식 돌봄에 대한 논의와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돌봄의 사회화 정책은 돌봄수급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정책의 성과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돌봄수급자인 노인 삶의 질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공식 돌봄은 비공식 돌봄을 보완․대처함으로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만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합리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이며, 분석은 전체 공식 돌봄집단과 비공식 돌봄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Ⅰ과 공식 돌봄 중 장기요양 재가급여를 받는 집단과 비공식 돌봄 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Ⅱ로 구성되어 이루어졌다. 분석도구는 Stata 14.2였으며,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성향매칭분석(PSM)과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모형Ⅰ 분석결과 노인 삶의 질 하위요소 중 공식 돌봄집단은 비공식 돌봄집단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낮고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정신건강(우울감),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만성질환수, ADL, 인지적 건강 등 건강특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노인의 건강유지와 개선 노력이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 모두에서 성과의 주요한 요소임이 재확인되었다. 모형Ⅱ 분석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은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정신건강(우울증),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생활환경(주거환경만족도)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는 정신건강, 신체건강, 사회관계, 생활환경 등에서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장기요양 수급 노인의 삶의 질이 비수급 노인보다 낮다라는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제도의 성과를 보여준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장기요양 돌봄집단에서 ‘관계’는 정신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질 하위요소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좋은 관계는 제도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다. 비공식 돌봄집단에서 경제특성이 신체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 돌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서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측정기준으로 추가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먼저 재가급여를 제공하는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관계 관리를 위한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과 돌봄수급자와 돌봄제공자 각각의 권리가 지켜질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비공식 돌봄제공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비공식 돌봄제공자에게 정책적 지원을 함으로서 돌봄수급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이를 통해 노인 당사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과 평가에서 수급자 및 수급자 가족의 삶의 질 요소를 확대하고 돌봄수급자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sought to confirm whether long-term care adequately addresses the elderly's desire for achieving 'aging in place' by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etween formal care and informal care. Long-term car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formal car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care due to new social risks. In previous studies, formal care has been discussed and evaluated mainly focusing on easing the burden on families, such as care time and care costs. However, the purpose of the socialization policy of care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so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needs to be more concern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policy's performance. The purpose of formal care is to alleviate the burden on families and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by supplementing or substituting informal care. Therefore, it is reasonable way to evaluate the policy’s performance by ensuring that formal care is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s much as informal car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2017 Survey of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analysis tool was Stata 14.2, and the main analysis methods were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Model I analysis, the formal care group has lower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informal care group among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in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ubstitute for informal care.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characteristics such as chronic disease numbers, ADL, and cognitive health have been shown to b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both groups. It has been reaffirmed that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of older people are a major factor in performance in both formal and informal care. According to Model II analysis, the elderly who received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received informal ca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for the elderly substitutes informal care in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living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s a result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s findings that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receiving long-term care is lower than that of non-recipient. Looking at the factors that affect, "relationships" in long-term care groups was an variable that affected all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except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can be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chem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informal care groups affect all sub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except physical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for informal care shows that the focus should be on easing the economic burden. Through this work, the researcher derive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esent policy suggestions. First,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 propose the need to add the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as a metric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As a policy suggestion, firstly I proposed a policy approach to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prepare conditions for the rights of each caregiver to be protected so that reliable relationships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giver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Secondly, I propose policy support for informal care givers. By providing policy support to informal care providers, the economic burden on care recipients will be alleviated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ll be improved. Finall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and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 so that the opinions of care recipients can be further reflected.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소집단 목표설정이 농구기능 학습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이석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소집단 목표 설정이 농구기능 학습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ㄱ도 ㄱ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4학년 학생 101명으로, 소집단 목표설정 집단, 개인 목표설정 집단, 전체 목표설정 집단,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농구기능 은 cross dribble, zigzag dribble, chest pass 세 가지를 측정하였으며. 신체활동 즐거움은 박순이(2000)의 ‘신체활동 즐거움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활동 즐거움 검사지의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검사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확인하였다. 집단 간 비교는 공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Scheffè법으로 사후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고, 측정 자료는 SPSS ver. 22.0 프로그램으로 처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구기능 학습은 cross dribble 기능에서 소집단 목표설정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높다. 그러나 zigzag dribble과 chest pass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다. 둘째, 신체활동 즐거움은 재미자신, 창의자신, 협동심, 건강 네 가지 요인 모두 집단 간 차이가 있다. 재미자신 요인과 창의자신 요인에서는 소집단 목표설정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았으며, 협동심 요인에서는 소집단 목표설정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높다. 그리고 건강 요인에서는 소집단 목표설정 집단이 개인 목표설정 집단보다 높다. 이상의 결론으로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서 발달 과제에 적합한 난이도의 과제를 통해 기능 학습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신체활동 즐거움의 향상을 도모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집단 단위로 목표설정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어 : 소집단. 목표설정, 농구기능, 신체활동즐거움

      • 근로빈곤결정요인 비교연구 : 가구주 성별을 중심으로

        이석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구주 성별에 따라 근로가구의 빈곤결정요인을 비교함으로서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구주 특성을 통제하였을 경우 가구특성과 고용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자료로서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2007)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으로 전체가구 중 15세 이상 64세 이하의 가구원 중 지난 1년간 근로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가구원이 있는 가구를 근로가구로 정의하고 가구주의 성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분석에 투입하였다. 빈곤선으로 중위소득 50%와 60%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SPSS12.0K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가구주 근로가구는 중위 균등화 소득 60%을 기준으로 했을 때 빈곤율이 27%로 남성가구주 근로가구의 9%에 비해 약 3배정도 빈곤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로직분석에서도 여성가구주 근로가구가 남성가구주 근로가구보다 빈곤에 빠질 공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활동가구원의 수는 남성가구주, 여성가구주 근로빈곤층의 빈곤결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수로서 경제활동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근로빈곤에 빠질 가능성은 줄어든다는 결과를 보였으며, 여성가구주 근로빈곤층이 남성가구주 근로빈곤층보다 경제활동가구원의 1명 증가에 따른 근로빈곤탈피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 내 장애인, 아동, 노인 등의 가구원의 존재유무는 가구가 근로빈곤층에 빠질 공산을 높게 하였다. 한편 기존 연구에서 근로빈곤층의 주요결정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었던 모․부자가구, 단독가구 등의 가구형태에서는 별다른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가의 소유는 전체 근로가구 및 남성가구주 모델에서는 근로빈곤으로부터 탈피할 공산을 높여주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여성가구주 근로빈곤가구의 경우 자가를 소유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빈곤탈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가구주 가구의 경우 자가소유를 통해 주거가 안정되었다 할지라도 근로빈곤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특성에서 남성가구주 가구의 경우 직장을 가지고 있는 것이 근로빈곤층에서 벗어날 공산을 높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여성가구주의 경우 상용직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타 형태의 고용여부가 근로빈곤층을 벗어나는데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에서 제시되었던 성별에 따른 근로빈곤결정요인들의 차이는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지위가 열악함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와 노동시장에서의 불합리한 대우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보여 진다. 이는 근로빈곤층의 빈곤 탈출뿐만 아니라 빈곤에 취약한 여성들의 근로빈곤 예방적 차원으로도 효과가 발휘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contributing working poor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factors between male headed household and female headed household. Especially, this study seek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 of household and employment by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 of householder. This study was employed in the method of cross sectional research by using database in Korean Welfare Panel 3rdyearstudy. The focus group is both male headed households and female households that have a member who has been employed in last one year and is from 15 to 64 years old. The 50% and 60% median threshold were used as the poverty line. The statistics program for analyzing was SPSS12.0K.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poverty rate of female headed household was 27% in the 60% of median threshold according to poverty line. It has been observed the 3 times of male headed household's poverty rate. The result of Logistic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was that female headed household has higher possibility to be poor than male headed household did. Secondly, the numbers of economically active member in household was significant variable in deciding determinant of poverty in male and female headed households. But it was more effective for female headed household comparing with male headed household to escape from poverty. Thirdly, the households which have disabled, young and old people face higher risk in poverty than the households which don’t have. The feature of household such as Single-parent household and single household that were a determinant in another study was insignificant in this study. Fourthly, possession of own house is a determinant reducing the risk of poverty to all working poor household and male headed household. However the possession of own house is insignificant to female headed household. It is regarded that female headed household is hard to escape from poverty even though their residence is stable. Finally, being employed itself reduces the risk of poverty to male headed household,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However, female headed household has different results. Their risks are only decreased when they are permanent worker.

      • 플립칩 패키징에서 모세관 힘에 의한 언더필유동의 측정

        이석환 서울산업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Underfill process is to fill in epoxy between chip and substrate and bond both of them in flip chip package technology. This process is carried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This process is conducted by capillary force. As the chip size becomes smaller and density of interconnections between chip and substrate becomes bigger, there happen some problems due to long processing time. Also the prediction models of underfill process have a limit and these models need validation. So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dynamic variations of flow and meniscus during underfill process using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to understand physics of underfill flows. As a quantitative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μ-PIV(micro particle image velocimetry) was applied. Glycerin was filled into a glass chip which has a quadrilateral bump arrangement. It was found that the wetting distance increases rapidly when the meniscus attaches onto the bump and it increases slowly when the meniscus detaches from the bump. The contact angle and the meniscus velocity are in-phase according to the meniscus position. The flow velocity is the fastest between bumps when the meniscus is detached and then the flow velocity continuously gets slow down. 언더필 공정은 플립칩 패키징에서 칩과 기판 사이를 에폭시(epoxy)로 채워서 본딩하는 공정으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수행되어 진다. 이 언더필 공정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칩의 소형화와 칩과 기판을 연결하는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의 밀도의 증가로 인해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언더필 유동을 예측하는 모델식들이 있는데 이 식들에 한계가 있고 그것들의 검증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유동가시화 기술을 이용하여 플립칩 패키징에서의 언더필 유동을 측정하고 그 거동을 물리적으로 분석하므로 언더필 유동의 유동패턴을 정량화 하였다. 정량적인 가시화 기술은 마이크로(micro)-PIV를 사용하였고 작동 유체로 글리세린을 SOG 웨이퍼(wafer)로 만든 플립칩 시편에 채워 넣었다. 그 결과로 유체의 이동거리는 유체의 계면이 범프(bump)를 만날 때 빠르게 증가하였고 그 후 유체의 계면이 범프에서 떨어질 때 까지 느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유체와 범프사이의 접촉각이 평형상태가 깨지고 다시 평형상태를 찾아가는 것을 반복하므로 이루어진다. 두 평행한 평판 사이에서의 접촉각와 계면의 속도는 같은 상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마이크로-PIV 시스템으로 측정된 유체의 속도는 계면이 범프에 닿을 때 범프사이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고 그 후 계면이 범프에서 떨어질 때 까지 점점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