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뉴스 과제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술적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소고

        이금희 ( Keum Hee Lee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대학에 입학한 유학생들의 학문목적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뉴스``를 듣고 이를 요약하게 하는 과제는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뉴스는 학습자들에게 실제 자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내용 면에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함으로써 이후에 다른 교양 수업이나 전공 지식 습득 과정에 배경 지식으로서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제 자료들에 비해 비교적 명확한 발음과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는 점과 반복하여 들을 수 있다는 점이 듣기 연습의 자료로 적절하고, 뉴스의 구성이나 표현들이 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접해야 하는 강의나 발표와 유사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그리고 뉴스를 듣고 그 내용을 요약하며 이를 다시 설명하게 하는 과제 수행은 대학 수학에서 필요한 요약 능력, 설명 능력에도 도움이 된다.그러나 실제 과제 수행과 평가 결과에서 전공이 확정된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 사이에 어려움의 정도와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에 실제 뉴스 자료를 접해 보았던 학습자에게는 이 과제가 훨씬 수월하고 그 효과도 다르게 인식되었던 반면에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움이 크게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처음 뉴스를 접하는 학습자들의 경우는 전문적인 뉴스보다는 생활이나 연예, 스포츠 등 학습자가 관심이 있는 분야나 쉽게 느끼는 뉴스부터 선택해 들을 수 있도록 하여 듣기 능력을 어느 정도 끌어올린 후에 좀 더 전문적인 내용의 듣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시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익숙한 단계에 들어서면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제의 뉴스를 통해 한국 사회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이후에 교양과목과 전공과목 이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istening teaching method for training the Korean learners as active listeners so that they can acquire what they need during academic listening activities. Listening comprehension competence that is needed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purpose is not merely confined to clear understanding of words and sentences or finding necessary information. On top of that, those learners should be able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then should respond appropriately, actively us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thinking capability. Listening for academic-purpose is not a passive comprehension activity, but is an active knowledge producing activity. Therefore, those listeners should be more active in utiliz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thinking capability. For these, news tasks is very helpful to listener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purpose listen to news and summarize it. And then, they explain fully this summary to their fellow students. By such activity, they will improve academic korean ability, summarizing skill and explanation ability as well as listening comprehension competence.

      • KCI등재

        국어 부정칭(不定稱) 표현 "아무" 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 변화

        이금희 ( Keum Hee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국어의 부정칭 표현에는 ‘아무나, 아무도, 아무라도’ 등의 ‘아무’ 계열과 ‘누구나, 언제나, 어디라도, 무엇이라도’ 등의 ‘누구’ 계열이 존재한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는 조사와의 결합제약이나 문장 구성에서의 제약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아무’ 계열은 ‘나, 도, 라도’와 같은 몇몇 조사와만 결합하고 문장의 구성도 ‘아무도’일 때는 부정 서술어만 결합하고‘아무라도’는 긍정적인 서술어와만 결합하는 통사적인 제약이 있다. 본고에서는 ‘누구’ 계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이런 제약이 ‘아무’ 계열에 나타나는 이유를 부정칭의 넓은 의미 영역을 나타내던 ‘아무’가 현대국어로 오면서 의미의 축소를 일으키고, 일정한 형태로 고정화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생긴 것이라고 보았다. 중세문헌 자료에서 ‘아무’는 다양한 조사와의 결합을 보이고 있고, 의미상으로도 비한정적이기만 하면 특정한 대상이나 불특정한 대상 모두를 나타냈으며, 현대국어와 달리 ‘아무도’가 쓰인 문장의 서술어도 항상 부정 서술어만 나타나지 않았다. 현대국어 초까지 ‘아무’는 지금보다는 훨씬 넓은 의미 영역을 갖고 있었으며 그 용법도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던 ‘아무’가 ‘누구’ 계열에게 의미 영역을 내어주고 불특정한 대상을 나타내게 되었고 그중에도 ‘부정극어’와 ‘자유선택’ 정도의 몇 가지 용법으로만 쓰이게 되었다. 또한 부정극어와 자유선택에 있어서도 ‘개별 대상’을 나타낼 때는 쓰이지 못하고 ‘전체 대상이나 그룹’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하게 되었다. There are two types of indefinitive pronouns in Korean. One is ``amu(아무)`` type and the other is ``nugu(누구)`` type. Then, the two types have different style. When they combine with particles, ``Amu`` type appears with only some particles-``-na, -do, -rado``, but ``nugu`` types does with all kind case markers and particles in contexts. But ``amo(>amu)`` in middle korean did not have this restriction. It appear with all kind case markers and particles in Middle Korean materials. This restriction has been made in amu type`s lexicalization in Modern Korean. And ``amu`` types(amu-na, amu-do and amu-rado) are similar to nugu types(nugu-na, nugu-do and nugu-rado) in usage. Amu-na and nugu-na is used free choice, amu-do and nugu-do is used for negative polarity item. But amu types have [+individuality] meaning feather and nugu types have [+totality] meaning feather. So these types can not be replaced in a similar sentence because of this meaning characteristic.

      • KCI등재

        한국어 학술논문에 나타난 헤지(Hedge) 표현의 담화 전략에 따른 유형 분류 연구

        이금희 ( Lee¸ Keum-hee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7

        학술논문은 필자의 주장을 타당한 근거를 통해 독자를 설득하는 것이 목적인데 타당한 근거 제시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학술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필자의 주장을 독자가 최대한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쓰이는 전형적인 표현들을 헤지 표현(완화 표현)이라 한다. 기존의 헤지 표현에 대한 연구에서는 헤지 표현의 사용 양상에 따라 헤지 표현을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가 형태적인 층위와 담화적인 층위가 혼합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헤지 표현이 설득을 위한 기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담화 전략적 차원에서 분류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크게 명제 내용에 대한 헤지 표현과 필자 태도에 대한 헤지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명제 내용에 대한 헤지 표현에는 명제 내용을 모호하게 표현한다거나 명제 내용을 일반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이 있다. 두 번째는 명제 내용에 대한 필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명제 내용을 객관화하거나 간접화하여 명제 내용을 객관성을 띠도록 표현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는 명제 내용을 단언하지 않고 추측 표현이나 가능성 표현 등을 통해 독자가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표현하는 것인데, 이런 유연화는 부정 표현이나 특정 구문에 의해서도 표현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ssfy hedging expressions in Korean Academic Texts. Hedging is known as the expression that writers or speakers to deliver their attitude of tentativeness and possibility towards to the statements they make. Previous studies on hedge expressions did not systematically classify hedge expressions. However, hedging expressions in Korean Academic Texts were not systematically classified in previous papers. In this paper, the hedging expression is divided into a hedge expression on the proposition and a hedge expression on the author's attitude. One of these hedging expressions is used to obscure or generalize a proposition, and the other class is used to objectify or indirect a proposition. The last class is those that express propositions as speculative or possible expressions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pt them.

      • KCI등재

        비즈니스 중국어 교육 방안 연구

        이금희(Keum-Hee Le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5 언어학연구 Vol.0 No.34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mak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business Chinese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concern that what Chinese educators should teach students majoring in Chinese-related subject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both nine textbooks for teaching business Chinese and contents of the BCT (Business Chinese Test). Furtherm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8 items on duties requiring Chinese language among 83 workers from 14 companies involved in business with China. Data from the analyses and the survey were utilized to examine whether the current Chinese education in universities would reflect the use of business Chinese in the field. While conducting this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designed and practiced a Chinese teach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e designed program could produce some positive results. At the end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made som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business Chinese educational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에 나타나는 문법화와 어휘화 현상에 대하여

        이금희 ( Lee Keum-hee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는 문법화가 일방향적인 경향성을 지닌 현상으로 보고 이와 역방향의 변화를 보이는 예들을 ‘탈문법화’로 다루어 온 기존 논의를 비판하면서 ‘탈문법화’ 현상으로 설명했던 예들을 ‘어휘화’ 현상에 포함해 설명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탈문법화’는 ‘문법화’ 현상이 주 현상이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의 몇몇 예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현상을 가리켜 온 개념인데 한국어에서는 어휘적인 요소가 문법적인 요소로 변화하는 과정만큼이나 문법적인 요소가 어휘적인 요소로의 변화도 많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문법화’의 반대 방향으로의 변화를 ‘탈문법화’가 아닌 ‘어휘화’ 현상의 일부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탈문법화’와 ‘어휘화’라는 두 개의 다른 개념으로 나누어 설명하던 것을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함으로써 보다 간략한 문법 기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한국어의 문법화나 어휘화를 보이는 예들은 한 형태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닌 구 구성에서도 문법화와 어휘화가 일어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문법화의 예들을 살펴보면 문법 범주의 변화는 반드시 일어나고 형태 변화는 몇몇 예를 제외하고 대부분 재구조화와 탈락, 축약 현상이 일어나 형식의 감소가 일어나며 의미 변화는 반드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어휘화에서도 이와 유사한 변화 현상이 일어나는데 어휘화에서는 형태 변화에서 절단 현상이 추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문법화, 즉 조사나 어미로 변하는 경우는 선행 요소에 조사나 어미가 나타나고 후행 요소에 동사의 활용형이나 명사가 나타나고 있으며 어휘화는 이런 문법화보다는 좀 더 다양한 형식들이 어휘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henomena relating to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in korean. Grammaticalization has been defined diversely so far, as diachronic and synchronic procedures in which lexical units are transformed into grammatical units. And degrammaticalization is a count-examples of this phenomena and it features a change from grammatical units to lexical units. At the point of making a word, however, degrammaticalization is conceptually involved with lexicalization. So, we define lexicalization that changes reverse direction of grammarlization.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have the common processes, such as reanalysis, abbreviation, and deletion. And they also have changes of grammatical categories and meanings. In grammaticalization, there are some examples to became a grammatical unit, by a form or a combination of some forms. And Lexicalization also have the same phenomena of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체언 수식 부사의 발생과 의미

        이금희 ( Keum Hee Lee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부사의 일반적인 기능은 용언이나 또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어에는 체언을 수식하는 부사들이 존재한다. 체언은 관형사라는 문법 범주가 수식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몇몇 부사 형태들은 관형사가 담당하는 문법범주를 침범하고 있는 것들이 있다. 물론 하나의 형태가 ‘명사’나 ‘부사’로 쓰이고, ‘감탄사’나 ‘부사’로 쓰이는 등의 품사 통용을 하는 경우는 국어에서 흔한 현상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루어지는 형태들은 부사로서의 쓰임에서는 서술어와의 제약이 크지 않는 데 반해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에는 후행하는 명사가 극히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품사 통용과 차이점을 갖는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부사로서의 기능을 하던 형태들이 체언을 수식하게 되는 발생 과정이 있는 것으로, 아직 그 기능이 일반적인 관형사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부사로 기능하던 이런 형태들이 어떻게 체언을 수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그 발생 과정을 살펴보고, 그간의 연구에서 체언을 수식하는 부사들이라고 한 것들을 의미적으로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았다. 부사 형태들이 체언 수식을 하게 된 경위는 부사가 용언이나 동사구, 또는 문장에 선행할 수 있는 자유로운 위치적인 특성으로 인해 체언류와 인접할 수 있고, 그러한 과정에서 후행하는 체언과의 의미적 관련성으로 인해 수식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체언 수식 부사들은 그것의 의미에 따라 수량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종류와 위치의 높고 낮음의 정도성을 나타내는 종류, 그리고 상태의 많고 적음의 정도성을 나타내는 종류, 마지막으로 후행하는 명사를 지정하거나 강조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종류들로 유형화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a special usage of adverbs in Korean. Adverbs may modify a variety of grammatical units such as predicates, adverbs, clauses and even full sentences. But some adverbs can modify nouns, and these kinds of adverbs are called Noun Modifying Adverbs. Adverbs do not originally modify nouns. This characteristic occurs by moving the adverb in front of the noun and is due to the relevance of the meaning between the adverb and noun. These adverb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ir meaning. The first group represents the quantity of the more and less degree. The second group represents the location of the distant and nearest degree. The third group represents the state of the much and less degree. The last group represents the specification and emphasis of a noun (phrase). And these adverbs represent modality of dissatisfaction, certainty and inconvenience et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