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 동반된 비분화세포종

        이윤경 ( Yoon Kyung Lee ),유창영 ( Chang Young Yoo ),이귀세라 ( Guisera Lee ),박동춘 ( Dong Cho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4

        A case of a 33-year-old 3 gravida, 1 para pregnant woman in the 7th week of gestation who was concurrented with dysgerminoma is presented. Measurements were made on serum lactic dehydrogenase, alpha-fetoprotein, CA-125, and pelvic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clinical stage was IA and right salpingo-oophorectomy and biopsy of the left ovary were done preserving the pregnancy. A cytological finding was non-specific. The frequency of malignant ovarian tumors associated with pregnancy and the treatment for it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부검에 의하여 확진된 VACTERL Association 1예

        박인양 ( In Yang Park ),김현정 ( Hyun Jung Kim ),김정 ( Jeong Kim ),안현영 ( Hyun Young Ahn ),이귀세라 ( Guisera Lee ),이영 ( Young Lee ),신종철 ( Jong Chul Shin ),김수평 ( Soo Py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4

        VACTERL association은 염색체 검사 소견은 정상이며 척추, 항문, 심장, 신장, 사지 등의 다발성 기형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안구증, 폐의 성장 이상 등과 동반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 25주 임신부가 산전 초음파 검사상 비정상 소견(두개골 함몰, 복부 종괴, 복부 내 초음파 음영 증가)을 주소로 전원 되었다. 태아의 염색체 검사상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추적 검사 중 임신 28주경 자궁내 태아 사망소견을 보였다. 사산후 이학적 검사와 부검 소견상 쇄항, 요도 개구부와 생식기 형성 부전, 상하악골간의 부정교합, 양측 슬관절의 내반, 우측발의 기형 소견을 보였다. VACTERL association에 합당한 소견을 보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VACTERL association is occuring in conjuction with vertebral anomalies, anal atresia, cardiac abnormalities, tracheoesophageal fistula, renal agenesis and limb defects. Additional abnormalities may include microphthalmia, abnormal lung lobulation and spleen defects. We describe a infant born to consanguineous healthy parents with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of the skeleton and internal organs. A woman at 25 weeks gestaion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due to abnormal antenatal sonographic finding(molded calvarium, huge mass in abdomen, hyperechoic intestine and femur bowing). She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decreased fetal movement 3 weeks later. Fetal death in uterus was diagnosed by sonogram. Its phenotype displays imperforated anus, absence of genital organ, absence of utrethral opeining, disunion of maxilla and mandible, varus deformity of bilateral knee joints, widening of interphalangeal space in right foot.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clinical features, radiological findings, and autopsy. We reported this case of VACTERL association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를 동반한 임산부 94예의 임신 경과 및 산과적 고찰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연희 ( Yeon Hee Kim ),길기철 ( Ki Chul Kil ),박인양 ( In Yang Park ),이귀세라 ( Guisera Lee ),김사진 ( Sa Jin Kim ),박성환 ( Sung Hwan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가 합병된 임신에서의 임신 결과를 평가하고 불량 주산기 예후 중 조기분만과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관련한 임상적, 실험실적 요인을 조사하여 루푸스 환자에서의 임신이 태아와 모체에 미치는 영향과 임신 결과, 임신이 루푸스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임신 시 임상적, 혈청학적 지표의 변화와 임신 및 태아의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와 류마티스 센터에서 임신을 경험한 환자 중 임신 경과와 루푸스 병력 기록이 추적 가능한 60명의 환자들의 총 94예의 임신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상적 증상과 증후, 혈액, 면역, 혈청학적 검사 수치로 루푸스의 경과를 평가하였으며, 임신의 임상 경과 및 결과와 산과적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5.0 V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신 당시 평균 연령은 30.01±3.49세 (22~39)였으며, 질병 이환 기간은 평균 69.36±47.18개월이었다. 총 74예 (78.7%)의 생존 출생아, 11예 (11.7%)의 자연유산, 2예 (2.1%)의 치료적 유산과 4예 (4.2%)의 사산이 발생하였고 47.4%의 제왕절개분만을 보였다. 제태 연령 20주 이상의 임신에서 산과적 합병증으로 조기분만이 17.9%, 전자간증이 26.9%, 자궁내 발육제한은 20.5%였고 31예 (39.7%)는 합병증이 없었다.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으로 12예의 일과성 신생아 루푸스와 조기분만에 따른 신생아 사망이 2예 발생하였고 정상 신생아는 51예였다. 결론: 임신 전 저C4보체혈증, 심근염, 흉막염, 임신 시 활동성의 루푸스 질환, 항인지질항체 증후군은 조기분만과 관련있고 루푸스 신염, 단백뇨, 혈뇨, 그리고 임신 당시 활동성의 루푸스는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 그러나 루푸스 여성의 임신에 경험이 풍부한 각 전문 분야의 팀에 의해 루푸스 추적 관찰과 분만이 이루어지면, 임신 중 루푸스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to evaluate clinical and laboratory markers for preterm birth and lupus flares. Methods: 94 pregnancies of 60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rom Jan 1997 to Sep 2004. We us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statistics analysis by Chi-square test, using SPSS 15.0 V. Results: Pregnancy resulted in 74 (78.7%) live births, 11 (11.7%) spontaneous abortions, 2 (2.1%) therapeutic abortion, and 4 (4.2%) stillbirths. Thirty-seven cases (47.4%)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Obstetric complications included 17.9% of preterm births, 26.9% of preeclampsia, and 20.5% of IUGR. There were 31 (39.7%) uncomplicated cases among the pregnancies over 20 gestational weeks. There were 12 of transient neonatal lupus, 2 of neonatal death due to prematurity, and 51 of normal births. Low C4, myocarditis, pleural effusion prior to pregnancy, activity at conception,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term birth. The maternal long-term effect of pregnancy was poor, because 44.7% were in deterioration of cardiovascular, hematologic or renal function after delivery. Lupus nephritis, proteinuria, hematuria, and activity at concep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upus flare during pregnancy. Conclusion: Pregnant women with active SLE at conception should be intensively monitored with maternal and fetal surveillance. It is essential to control disease activity during pregnancy. However, adequate pregnancy follow-up and delivery care by multidisciplinary effort with experience 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LE resulted in a better outcome of lupus pregnancy.

      • KCI등재

        임신 14주에 진단된 흉제대결합 쌍둥이

        김나리네 ( Narinay Kim ),조윤성 ( Yun Sung Jo ),장동규 ( Dong Gyu Jang ),손현주 ( Hyun Joo Son ),이귀세라 ( Guise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Conjoined twins are very rare and the mortality rate of the fetus is extremely high. Early prenatal diagnosis is crucial, as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 mother and father to help in recognizing the conjunction of the twins and to help medical team in defining the prognosis of conjoined twins. We present a case of thoraco-omphalopagus conjoined twins diagnosed by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ransabdominal sonography at 14(+2) weeks of gestation.

      • KCI등재

        다지증과 소지증을 동반한 장신경형성이상 A형의 산전초음파 양상

        손현주 ( Hyun Joo Son ),조윤성 ( Yun Sung Jo ),정지한 ( Ji Han Jung ),장동규 ( Dong Gyu Jang ),이귀세란 ( Guise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6

        Type a intestinal neuronal dysplasia is a congenital abnormality that is a very rare disease, Here, we report on a patient who had intestinal dilatation with serial changes and polydactyly, as shown on prenatal ultrasound. Bowel obstruction symptoms were shown at 16 days of life. An open abdominal surgery was performed. Malrotation of the bowel and narrowing of the area from 15 cm above the ileocecal valve were noted. Therefore, a right hemicolectomy, including lesions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ype A intestinal neuronal dysplasia by pathology.

      • KCI등재

        만기 임신의 저위험 산모군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과 임상적 의의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연희 ( Yeon Hee Kim ),김아리 ( A Ri Kim ),서미원 ( Mi Won Seo ),김옥경 ( Ok Kyung Kim ),이귀세라 ( Guisera Lee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다른 고위험 요인을 동반하지 않은 만기 단태 임신에서 정상 양수군과 비교하여 양수과소증 단독의 소견이 임신 결과 및 주산기 예후에 불량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 불량한 주산기 예후와 관련한 인자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임신 37주에서 임신 41주 6일의 단태 임산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기양막파열,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태아의 선천성 기형, 조기태반박리, 전치태반, 만성 고혈압, 양수과다증, 심각한 내외과적 질환을 동반한 고위험 임신의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색 도플러를 이용한 연속적인 초음파 검사에서 AFI<5를 양수과소증군으로 하였고 정상 양수지수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나이, 출산력, 분만시 임신 주수, 진통 중 태아감시장치의 태아감속여부, 분만형태, 수술적 질식분만 여부,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탯줄동맥의 pH 및 Base excess, 양수 내 태변착색유무, 주산기 사망, 신생아 질환 및 불량한 주산기 결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총 2,491명 중 양수과소증은 215명 (8.63%)에서 관찰되었으며 양수과소증군에서 초산부 (70.2% vs 47,8%), 태아곤란증 (43.8% vs 4.1%) 또는 난산 (35.4% vs 17.0%)으로 인한 제왕절개술, 저체중아 (15.3% vs 5.7%) 그리고 태변 착색된 양수 빈도 (31.2% vs 18.4%)가 높았고 1분 아프가 점수 (7.96 +1.14 vs 8.16 + 0.85) 및 5분 아프가 점수 (9.26 +0.80 vs 9.39 + 0.67)는 낮았으며, 신생아에서 비뇨기계 (24.6%), 근골격계 (4.6%), 심장 (1.4%), 얼굴 (1.4%) 등 총 73건 (33.9%)의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다. 결론: 만기 단태 임신에서 양수과소증은 불량한 주산기 예후를 증가시키며, 초산부, 모체의 나이, 태변 착색된 양수, 저체중아, 안심할 수 없는 태아심박동수 소견, 낮은 생물리학 계수가 이러한 불량 주산기 예후와 관계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isolated oligohydramnios on the perinatal outcome in uncomplicated term pregnancies. Methods: We used data from Jan 2002 to Dec 2005 in all uncomplicated pregnancies between 37 and 41weeks and 6 days of gestation with a singleton fetus, underwent monitoring with serial determination of AFI. Oligohydramnios was defined by ultrasonographic determination of AFI ≤5 cm. Exclusion criteria were PROM, maternal medical complications and fetal anomalies detected by prenatal ultrasound. We investigated the mode of delivery, birth weight, birth weight < 10th percentile, 1 and 5 min Apgar score, umbilical cord pH and base excess, and 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 (MSAF). We also assessed the predictive value of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adverse perinatal outcome. We used statistics analysis by Chi-square test, independent-samples T test using SPSS 14.0 V. Results: 2,491 patien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Oligohydramnios was diagnosed in 8.63% (215/2,49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esarean section for fetal distress between those with oligohydramnios vs. normal AFI (43.8% vs.4.1%). Patients with oligohydramnios had significantly lower SGA (15.3% vs. 5.7%), lower Apgar score at 1 min<7 (7.9% vs. 3.3%), and higher rate of MSAF (31.2% vs. 18.4%) than those with normal AFI. There were musculoskeletal abnormalities in 10/215 (4.6%) and urogenital abnomralites in 53/215 (24.6%). Conclusion: Isolated oligohydramnios in uncomplicated term pregnanci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dverse perinatal outcome. Nulliparity, advanced maternal age, MSAF, SGA, and lower BP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dverse perinatal outcomes.

      • KCI등재

        단일양막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조윤성 ( Yun Sung Jo ),고현선 ( Hyun Sun Ko ),장동규 ( Dong Gyu Jang ),최윤진 ( Youn Jin Choi ),손현주 ( Hyen Ju Son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이귀세라 ( Guise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일양막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병원인 성빈센트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에서 단일양막 쌍태임신으로 진단받은 증례 15명과 출산아의 임상 기록을 조사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단일양막 쌍태임신은 총 1,112명의 쌍태임신 중 15예로 쌍태임신의 1.3%에 해당되었으며 15예 중 2예는 결합쌍태아였다. 15예의 임신 중 20주 이전에 유산된 경우는 3예(20%), 20주 이상 임신이 유지된 경우는 12예였다. 이 12예 중 일측 태아가 사망한 경우는 3예(25%), 양측 태아가 모두 자궁 내 사망한 경우는 1예(8.3%)였다. 20주 이상 임신이 유지된 태아 24명 중 출생 시 생존아는 18명(75%), 신생아기 28일까지 생존한 경우는 15명(62.5%)으로 주산기 사망은 24예 중 9예(37.5%)였다. 치명적 기형과 선천성 심장기형의 발생률은 각각 20%, 23.3%였다. 분만 주수는 평균 31.4±4.53주이며, 생존아 18명 중 16명(84.2%)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 이 중 3명은 출생 당일에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3명의 평균 재원일수는 32.0±29.3일(3~114일)이었다. 주산기 사망의 주된 원인은 조산, 선천성 기형, 20주 전의 유산과 탯줄 꼬임으로 추정되는 자궁 내 사망이다. 결론: 단일양막 쌍태아는 높은 주산기 사망률을 보이며 임신 32주 이상 자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은 약 1/3 정도로 낮다. 향후 높은 주산기 사망률의 원인과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inatal outcome in monoamniotic twin pregnancies and to review the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 about the topic.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prenatally diagnosed monoamniotic twin pregnancy casese in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997 and April 2010. Results: Among 1,112 twin pregnancies, there were 15 (1.3%) monoamnionic twins, including 2 conjoined twin pregnancies. Twelve (80%), 9 (60%), 5 (33.3%), and 4 pregnancies (26.7%) delivered after 20, 30, 32, and 34 weeks, respectively. Among 12 pregnancies that continued after 20 weeks of gestation, three cases showed one-fetal death and one, both-fetal death.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from 20 weeks of gestation to 28 days after birth) was 37.5%. The incidence of lethal anomalies and congenital heart anomalies was 20% and 23.3%, respectively.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31.4±4.53 weeks; 16 of 18 neonates (84.2%)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Three neonates expired on the first day after birth. The mean duration of the NICU stays for 13 live neonates was 32.0±29.3 days (range, 3 to 114 days). The main causes of perinatal deaths were preterm birth, congenital anomalies, pregnancy loss before 20 weeks, and intrauterine fetal demise that might have resulted form cord entanglement. Conclusion: Perinatal mortality in monoamniotic twins was still very high and the survival rate after 32 weeks of gestation is approximately one-thir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perinatal mortality.

      • SCIESCOPUSKCI등재

        난소 명세포암의 임상적 고찰

        김민정,허수영,이귀세라,김사진,김은중,남궁성은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목적 : 난소의 명세포암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3년부터 200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 8개 병원 산부인과에서 치료받은 23명의 난소의 명세포암 환자들을 FIGO병기, 치료,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47세(범위 36-68세)였으며, Ⅰ기 60.3% (14/23), Ⅱ기 4.4% (1/23) Ⅲ기 34.7% (8/23)이었다. 골반내 종괴의 크기는 5 ㎝에서 27 ㎝ 범위였으며, 이들 중 6명(26%)이 자궁내막증과 동반되었다. 수술을 받은 모든 환자들은 항암 치료를 받았으며, 생존한 환자의 평균 추적기관은 48.15개월(0.9-95.4개월)이었으며, 3년 생존율은 69.5%, 생존기간은 38.6개월이었다. 결론 : 난소의 명세포암은 상피암중 드문 조직학적 형태와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 여러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나 생존율, 항암 화학요법의 새로운 적용과 그 효용성 등과 관련된 결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lear cell carcinoma of the ovary. Methods : Between 1993 and 2001, 23 patients with clear cell carcinoma of ovary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patient profile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ists and Obstetricians (FIGO) disease stage, mode of therapy, and length of survival. Results : Median age was 47 years (range 36-68 years). Tumors were 60.9% (14123) stage I, 4.31% (1/23) stage II, 35.2%(8/23) stage III. All patients presented with a pelvic mass ranging in size from 5 cm to 27 cm. Of the patients with clear cell carcinoma, six (26.1 %) had associated endometriosis. all patients underwent cytoreductive surgery followed by postoperative chemotherapy. The median follow up for surviving patients is 48.15 months (range 0.9 to 95.4 months). The overall 3-year survival rates were 69.5%. The survival was 38.6 months. Conclusion : Clear cell carcinoma of the ovary is intriguing histologic type of epithelial cancer and demonstrates a clinical behavior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epithelial ovarian cancer. Predictors of survival for patients with clear cell carcinoma of the ovary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by randomized large number study.

      • SCIESCOPUSKCI등재

        유년형 난소과립막 세포종 1예

        김민정,허수영,권인,이귀세라,김사진,김진아,남궁성은,박종섭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난소의 과립막세포종은 성기삭-간질 종양의 3/4을 차지하고 있지만 모든 난소암의 약 2-5% 밖에 되지 않는 드문 종양이다. 유년형 과립막세포종은 성인형 과립막세포종과는 임상적, 병리학적, 생물학적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초경전의 여아에서 유년형 과립막세포종은 성조숙증을 보이는 난소 종양 중에서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약 80%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종양의 90% 이상이 조기병기에서 발견되며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지만 진행된 병기에서는 불량한 예후를 나타낸다. 저자 등은 최근 유년형 난소 과립막세포종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osa cell tumors of the ovary account for 2-5% of all ovarian malignancies but, nearly three-quarters of all sex-cord stromal tumors. Juvenile granulosa cell tumors differ from the adult type in regard to their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and biological behavior. In premenarcheal girls, these tumors are associated with sexual precocity. About 90% are diagnosed in early stage (FIGO I) with a favorable prognosis. More advanced stages (FIGO II-IV) have a poor clinical outcome. We experienced a case of juvenile granulosa cell tumor and report i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