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신성홍반성낭창과 관련된 폐고혈압 환자에서의 성공적인 임신

        장동규 ( Dong Gyu Jang ),정윤지 ( Yoon Ji Chong ),이영 ( Young Lee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

        폐고혈압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합병증으로 드물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현재까지 임신 중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합병증으로 동반된 폐고혈압 증례는 5증례로 그 중 네 증례는 분만 후 사망하였고 한 증례만이 분만 후 생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28세의 여성이 임신 전 전신성홍반성 낭창을 포함한 어떤 면역학적 질환의 과거력이 없이 임신 22주에 전신성 홍반성낭창과 관련된 폐고혈압이 발생하였으나 진단 즉시 약물요법을 시행하였다. 태아는 3~10 백분위의 자궁내태아성 장저하였고 자궁동맥의 도플러검사상 이완기 패임 현상이 보였으나 임신 38주에 여아 2,400 g의 신생아를 자연분만 하였고 분만 후 특별한 합병증 발생이 없는 성공적인 임신과 분만을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ulmonary hypertension is a rare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5 cases has been previously documented in pregnancy. Four cases died after delivery and only one case was alive. We describe the case of a 28-year-old pregnant woman with pulmonary hypertension related to SLE with no previous history of immunologic disease including SLE. Diagnosis was made at 22 weeks of gestation. Medication including prednisolone and hydroxychloroquinone was commenced immediately and continued throughout the pregnancy. On fetal sonogram, the fetal growth was 3~10 percentile and diastolic notch of uterine arteries was noted. However, a healthy baby girl weighing 2,400 g was born in planned vaginal delivery at gestation week 38. There were no postpartum complications.

      • KCI등재

        급성 골반염 환자의 진단복강경 소견

        장동규 ( Dong Gyu Jang ),최주혁 ( Joo Hyuk Choi ),박인양 ( In Yang Park ),황성진 ( Sung Jin Hwang ),김찬주 ( Chan Joo Kim ),김창이 ( Chang Y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3

        목적: 임상적으로 골반염이 의심되어 진단복강경을 시행한 경우 이들의 복강경 소견 및 이학적, 혈액학적 검사소견을 분석하고자 하며 복강경 소견상 골반염 소견을 보인 군과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은 군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성바오로병원에 급성 골반염 의증을 주소로 입원하여 진단 복강경 수술을 시행 받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증상 부위, 기간, 이학적 소견, 실험실 Objective: To analyze physical, laboratory and laparoscopic findings of suspicious cases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and compare the group shown positive finding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with that shown negative findings. Methods: We selected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IgA 신병증을 동반한 임신에서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장동규 ( Dong Gyu Jang ),최윤진 ( Yun Jin Choi ),남선영 ( Sun Young Nam ),권지영 ( Ji Young Kwon ),조윤성 ( Yun Sung Jo ),김연희 ( Yeon Hee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목적: IgA 신병증 환자가 임신하였을 때 IgA 신병증이 주산기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및 임신이 IgA 신병증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병원들에서 분만한 25명에서 28회의 임신을 대상으로 산과, 신생아 및 신장내과의 병력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주산기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분만 전 고혈압이 있을 때 (P=0.019), glomerular filtration rate이 50 mL/min 미만인 경우 (P=0.029), 혈청 크레아티닌이 2.0을 초과할 때 (P=0.005) 주산기 합병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분만 전 고혈압이 있을 때, 혈청 크레아티닌이 2.0 mg/dL을 초과할 때 조산 (P=0.017, P=0.026)과 자간전증 (P=0.008, P=0.001)이 증가하였다. 말기 신부전으로 진단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분만 전 혈청 크레아티닌 2.0 mg/dL이상 (P=0.018), 자간전증이 있었다(P=0.018). 결론: IgA 고혈압과 신기능 저하는 주산기 예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IgA 신병증 산모가 자간전증으로 이환되거나 분만 전 크레아티닌이 2.0 mg/dL 이상 되었을 때는 분만 후에도 말기 신부전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간 면밀한 감시가 요구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on perinatal outcomes of pregnancy with IgA nephropathy and the effect of pregnancy on the prognosis of IgA nephropath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28 pregnancies in 25 pregnant women with biopsy-proven IgA nephropathy at six hospitals of Catholic Medical Center throughout the period of January 1999 to December 2009.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presence or absence of perinatal complications such as preeclampsia and preterm labor and then compared. The prognosis of IgA nephropathy was determined by serum creatinine level and diagnosis of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until 3 years after delivery. Fisher exact test and Mann-Witney U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that related perinatal complications included high blood pressure (P=0.019), low glomerular filtration rate (less than 50mL/min) (P=0.029), and high creatinine level (more than 2.0 mg/dL) (P=0.005). Especially, hypertension and high creatinine level (more than 2.0 mg/dL) increased risk of not only preterm birth (P=0.017, P=0.026, respectively) but also preeclampsia (P=0.008, P=0.001, respectively). The factors that increased risk of ESRD within 2 years after delivery included high creatinine level (more than 2.0 mg/dL) (P=0.018) and preeclampsia (P=0.018).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hypertension and poor renal function could be predictors of poor perinatal outcomes, and when pregnancies with IgA nephropathy are complicated by preeclampsia or high creatinine level (more than 2.0 mg/dL), the prognosis of IgA nephropathy might be poo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갑상샘기능항진증을 동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고현선 ( Hyun Sun Ko ),장동규 ( Dong Gyu Jang ),신재은 ( Jae Eun Shin ),김연희 ( Yeon Hee Kim ),박인양 ( In Yang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목적: 갑상샘기능항진증을 동반한 임신 및 신생아의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 임신 기간 동안의 항갑상샘호르몬 투약 여부 및 갑상샘기능 유지 여부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03월 31일까지 갑상샘기능항진증으로 진단받은 산모들 중 가톨릭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분만한 163예의 임신을 대상으로 산과, 내과 및 신생아의 병력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갑상샘기능항진증을 동반한 163예의 임신 중 103예가 항갑상샘호르몬 치료를 받았으며, 109예가 임신 중 정상갑상샘기능을 유지하였다. 약제군과 비약제군에서 산모의 합병증 발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생아의 갑상샘기능 검사 시 비정상소견은 약제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58% vs 24.5%, P<0.0001). 임신 중 갑상샘기능비정상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임신 입원을 요하는 임신오조의 빈도와 신생아의 비정상갑상샘기능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1.7% vs 4.6%, P=0.0146; 66.7% vs 39.4%, P=0.0223). 결론: 갑상샘기능항진증 산모에서 임신 중 갑상샘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항갑상샘호르몬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신생아의 갑상샘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임신 중 태아의 갑상샘기능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한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hyperthyroidism, according to the maternal treatment and thyroid function status during pregnancy.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complicated by hyperthyroidism who delivered between January 2000 and March 2010, at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s well as maternal and fetal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maternal antithyroid medication and thyroid function status. Results: Among 163 pregnant women complicated with hyperthyroidism, 103 women received antithyroid medication and 109 women showed euthyroid status during pregnancy. The mean gestational age and fetal birth weight at delivery were 38.2±2.9 weeks and 2.99±0.64 kg.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aternal complications between the medication group (n=103) and the non-medication group (n=59), while neonatal thyroid dysfunction including transient hypothyroidis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dication group than the non-medication group (58% vs 24.5%, P<0.0001). The incidence of admission due to hyperemesis and neonatal thyroid dysfun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yroid dysfunction group than the euthyroid group (21.7% vs 4.6%, P=0.0146; 66.7% vs 39.4%, P=0.0223, respectively). Conclusion: Maternal antithyroid medication as well as thyroid dysfunction during pregnancy could indicate the careful fetal thyroid monitoring to prevent neonatal thyroid dysfunction.

      • KCI등재

        자궁 내 태아사망과 관련된 태반조직병리 분석

        조윤성 ( Yun Sung Jo ),장동규 ( Dong Gyu Jang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태반의 조직병리학적 결과에 근거하여 자궁 내 태아사망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자궁 내 태아사망으로 진단받고 분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253건의 태아사망이 있었으며 이중 20주 이하, 쌍둥이 임신, 태반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130명을 제외한 12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대상환자의 의무기록과 태반의 조직병리결과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태반에서 모체측 원인 45.5%, 태아측 원인 28.4%, 염증 관련 원인이 16.2%로 관찰되었으며, 특이사항은 없는 경우는 21.9%에서 관찰되었다. 태아 기형은 11명 (8.9%)에서 있었으며, 이들의 경우 태아 요인이 태반에서 모두 관찰되어 기형이 없었던 군보다 유의하게 태아요인이 높았다 (P=0.000). 자궁 내 성장지연이 있었던 태아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태아보다 유의하게 모체측 요인이 태반에서 높게 발견되었다(P=0.038). 결론: 자궁 내 태아사망의 태반 조직병리학적 결과에서 자궁 내 태아발육부전은 모체측 원인이 태반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보다 체계화된 태반 조직병리학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placental causes of fetal death intrauterine (IUFD) bases on placental pathologic findings.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123 placental pathological reports of singleton fetal deaths from 20 weeks of gestation to 41 weeks of gestation. Results: The incidences of maternal causes, fetal causes, inflammatory causes, miscellaneous and unremarkable findings were 45.5%, 28.4%, 16.2%, 23.5%,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fetal anomaly was 8.9%. Fetal anomalies were deeply related to fetal cause (P=0.000).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ternal causes (P=0.038). Conclusion: No pathological guideline regarding placental examination of intrauterine fetal death exists. In future studies, a better definition of fetal death causes and associated placental pathological findings might aid clinicians in counseling, assessing the risk of recurrence and even preventing fetal death in subsequent pregnancies.

      • KCI등재

        임신 14주에 진단된 흉제대결합 쌍둥이

        김나리네 ( Narinay Kim ),조윤성 ( Yun Sung Jo ),장동규 ( Dong Gyu Jang ),손현주 ( Hyun Joo Son ),이귀세라 ( Guise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Conjoined twins are very rare and the mortality rate of the fetus is extremely high. Early prenatal diagnosis is crucial, as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 mother and father to help in recognizing the conjunction of the twins and to help medical team in defining the prognosis of conjoined twins. We present a case of thoraco-omphalopagus conjoined twins diagnosed by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ransabdominal sonography at 14(+2) weeks of gestation.

      • KCI등재

        임신 중 우울증상에 대한 임상연구

        최세경 ( Sae Kyung Choi ),안세영 ( Se Young Ahn ),신종철 ( Jong Chul Shin ),장동규 ( Dong Gyu J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목적: 본 연구는 임신 중 발생하는 우울증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2008년 5월 31일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산전진찰을 받은 여성 중 우울증 연구에 동의한 205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정보 및 임신과 관련된 설문지와 산후우울증 평가 척도 (EPDS)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및 Fisher`s extract test를 통해 산출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과: 205명의 산모의 EPDS 점수는 평균 7.3±4.2이었으며, 26.4%인 54명은 10 이상으로 우울상태에 해당되었다. 임신의 각분기별 비교에서 우울증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5.7% vs. 29.0% vs. 25.0%, P=0.844). 또한 인구-사회학적 요소 중 우울증 발생에 의미있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임신과 관련된 요소 중에서는, 임신을 계획하지 않았던 경우에 우울증 발생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34.6% vs. 21.0%, P=0.036), 이전 임신 시 사산이나 태아의 선천성기형 등 문제가 있었던 경우도 우울증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6.3% vs. 23.8%, P=0.014). 결론: 본 연구는 임신 중 우울증상에 대한 첫 임상 분석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울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o examine the incidence of the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nd the socio-demographic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Methods: Two hundred five women who had received antenatal care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2008 to May 2008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tract test (SPSS 12.0). Result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values<0.05. Results: Of 205 pregnant women, the mean score of EPDS was 7.3±4.2.54 of 205 women (26.5%) scored more than 10 point which is the cutoff value to define depressive symptoms. The incidence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rimester (25.7% vs. 29.0% vs. 25.0%, P<0.844). There were no significant socio-ge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cases of unexpected pregnancies, the incid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significantly high (34.6% vs. 21.0%, P=0.036), and the women who have problems of previous pregnanci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EPDS (56.3% vs. 23.8%, P=0.014). Conclusion: This study was the first report about the depression symptoms during pregnancy. Based on this study, we have to focus on and manage depression symptoms related to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