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양막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조윤성 ( Yun Sung Jo ),고현선 ( Hyun Sun Ko ),장동규 ( Dong Gyu Jang ),최윤진 ( Youn Jin Choi ),손현주 ( Hyen Ju Son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이귀세라 ( Guise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일양막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속병원인 성빈센트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에서 단일양막 쌍태임신으로 진단받은 증례 15명과 출산아의 임상 기록을 조사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단일양막 쌍태임신은 총 1,112명의 쌍태임신 중 15예로 쌍태임신의 1.3%에 해당되었으며 15예 중 2예는 결합쌍태아였다. 15예의 임신 중 20주 이전에 유산된 경우는 3예(20%), 20주 이상 임신이 유지된 경우는 12예였다. 이 12예 중 일측 태아가 사망한 경우는 3예(25%), 양측 태아가 모두 자궁 내 사망한 경우는 1예(8.3%)였다. 20주 이상 임신이 유지된 태아 24명 중 출생 시 생존아는 18명(75%), 신생아기 28일까지 생존한 경우는 15명(62.5%)으로 주산기 사망은 24예 중 9예(37.5%)였다. 치명적 기형과 선천성 심장기형의 발생률은 각각 20%, 23.3%였다. 분만 주수는 평균 31.4±4.53주이며, 생존아 18명 중 16명(84.2%)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 이 중 3명은 출생 당일에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3명의 평균 재원일수는 32.0±29.3일(3~114일)이었다. 주산기 사망의 주된 원인은 조산, 선천성 기형, 20주 전의 유산과 탯줄 꼬임으로 추정되는 자궁 내 사망이다. 결론: 단일양막 쌍태아는 높은 주산기 사망률을 보이며 임신 32주 이상 자궁 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은 약 1/3 정도로 낮다. 향후 높은 주산기 사망률의 원인과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inatal outcome in monoamniotic twin pregnancies and to review the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 about the topic.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prenatally diagnosed monoamniotic twin pregnancy casese in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997 and April 2010. Results: Among 1,112 twin pregnancies, there were 15 (1.3%) monoamnionic twins, including 2 conjoined twin pregnancies. Twelve (80%), 9 (60%), 5 (33.3%), and 4 pregnancies (26.7%) delivered after 20, 30, 32, and 34 weeks, respectively. Among 12 pregnancies that continued after 20 weeks of gestation, three cases showed one-fetal death and one, both-fetal death.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from 20 weeks of gestation to 28 days after birth) was 37.5%. The incidence of lethal anomalies and congenital heart anomalies was 20% and 23.3%, respectively.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31.4±4.53 weeks; 16 of 18 neonates (84.2%)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Three neonates expired on the first day after birth. The mean duration of the NICU stays for 13 live neonates was 32.0±29.3 days (range, 3 to 114 days). The main causes of perinatal deaths were preterm birth, congenital anomalies, pregnancy loss before 20 weeks, and intrauterine fetal demise that might have resulted form cord entanglement. Conclusion: Perinatal mortality in monoamniotic twins was still very high and the survival rate after 32 weeks of gestation is approximately one-thir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perinatal mortality.

      • KCI등재

        자궁 내 태아사망과 관련된 태반조직병리 분석

        조윤성 ( Yun Sung Jo ),장동규 ( Dong Gyu Jang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태반의 조직병리학적 결과에 근거하여 자궁 내 태아사망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자궁 내 태아사망으로 진단받고 분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253건의 태아사망이 있었으며 이중 20주 이하, 쌍둥이 임신, 태반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130명을 제외한 12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대상환자의 의무기록과 태반의 조직병리결과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태반에서 모체측 원인 45.5%, 태아측 원인 28.4%, 염증 관련 원인이 16.2%로 관찰되었으며, 특이사항은 없는 경우는 21.9%에서 관찰되었다. 태아 기형은 11명 (8.9%)에서 있었으며, 이들의 경우 태아 요인이 태반에서 모두 관찰되어 기형이 없었던 군보다 유의하게 태아요인이 높았다 (P=0.000). 자궁 내 성장지연이 있었던 태아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태아보다 유의하게 모체측 요인이 태반에서 높게 발견되었다(P=0.038). 결론: 자궁 내 태아사망의 태반 조직병리학적 결과에서 자궁 내 태아발육부전은 모체측 원인이 태반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보다 체계화된 태반 조직병리학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placental causes of fetal death intrauterine (IUFD) bases on placental pathologic findings.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123 placental pathological reports of singleton fetal deaths from 20 weeks of gestation to 41 weeks of gestation. Results: The incidences of maternal causes, fetal causes, inflammatory causes, miscellaneous and unremarkable findings were 45.5%, 28.4%, 16.2%, 23.5%,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fetal anomaly was 8.9%. Fetal anomalies were deeply related to fetal cause (P=0.000).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ternal causes (P=0.038). Conclusion: No pathological guideline regarding placental examination of intrauterine fetal death exists. In future studies, a better definition of fetal death causes and associated placental pathological findings might aid clinicians in counseling, assessing the risk of recurrence and even preventing fetal death in subsequent pregnancies.

      • KCI등재

        임신중 골반 기저를 뚫고 질벽으로 탈출한 장막하근종

        조윤성 ( Yun Sung Jo ),권지영 ( Ji Young Kwon ),임희순 ( Hee Sun Lim ),문영주 ( Young Joo Mun ),이상형 ( Sang Hyoung Lee ),제동성 ( Dong Sung Jae ),한구택 ( Gu Taek Han ),류기성 ( Ki Sun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Myoma is the most common tumor in gynecologic field. As ultrasonography because popular in antenatal care, the more cases of myoma and those adverse effects during pregnancy are more frequently detected. The management of myoma during pregnancy is conservative, but in rare circumstances, surgical intervention including myomectomy may be required.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rotruded subserosal myoma with the uterine cervix in midtrimester of pregnancy. The patient was managed surgically by transvaginal myomectomy and had successfully maintained pregnancy. We report a case of protruded subserosal myoma through pelvic floor in pregnancy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정상 임산부에서 fT4와 TSH에 관한 연구

        조윤성 ( Yun Sung Jo ),김두만 ( Du Man Kim ),이귀세라 ( Gui Se Ra Lee ),김민정 ( Min Jeong Kim ),김사진 ( Sa Ji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목적: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갑상선 질환이 없는 정상 임산부를 대상으로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와 fT4 (free thyroxine)를 측정하여 임신 시기별 변화와 정상범위를 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산전검사로 갑상선 기능검사를 실시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산모는 초음파로 임신주수를 확인하였으며, 단태아 임산부 만율 대상으로 하였다. 갑상선 질환을 앓았거나, 앓고 있는 산모, 1형 당뇨병 또는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산모, 임상적으로 갑상선 질환이 의심되는 산모와 갑상선자가항체가 양성인 산모, 외국인 산모는 제외하였다. TSH, free T4를 측정하였으며, 각 임신기간을 월별, 분기별로 나누어서 평균값, 중간값, 정상범위(2.5th~97.5th percentile)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산모는 총 265명이었다. 이중 임신 1삼분기에 94명, 2삼분기에 49명, 3삼분기에 122명이 포함되었다. TSH의 정상범위는 임신 1, 2, 3삼분기에 각각 0.03~2.72, 0.27~2.29, 0.03~2.88 mIU/L였으며, FT4는 4.50~19.75, 4.70~12.98, 5.07~11.84 pg/mL였다. 결론: 향후 연구를 통하여 임신 분기별 정상값 뿐만이 아니라 더 세분화하여 각 임신 개월에 따른 혹은 주수에 따른 정상값을 정하고 그에 따라 갑상선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함으로 산모와 태아의 예후 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하겠다. Purpose: To determine the means, medians and reference intervals for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and fT4 (free thyroxine) for each month of gestation and for three trimesters in Korean pregnant women. Method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65 pregnant women with singleton gestation. Levels of TSH, fT4 were measured by immunoassay. After exclusion of subjects with positive anti-microsomal autoantibodies, the means, medians and reference intervals based on 2.5th and 97.5th percentiles for TSH, fT4 were determined.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94 women in first trimester, 49 women in second trimester, and 122 women in third trimester. The trimester-specific reference intervals were: TSH (1st trimester: 0.03~2.72, 2nd: 0.27~2.29, and 3rd: 0.03~2.88 mIU/L), fT4 (1st trimester 4.50~19.75, 2nd: 4.70~12.98 and 3rd: 5.07~11.84 pg1mL). fT4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s. TSH levels were lower in the first trimester than second and third trimester, with gradual elev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 Conclusion: Levels of TSH, fT4 during pregnancy differ from those in non-pregnant women. Gestational age specific reference intervals will play a cental role in screening and diagnosis of thyroid disorders. Further studies for normal reference ranges during pregnancy are needed to create reference intervals in Korean pregnant women.

      • KCI등재

        지역사회 성인 여성의 요골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갑상선기능이 미치는 영향

        조윤성 ( Yun Sung Jo ),정현식 ( Hyun Sik Chung ),임선옥 ( Sun Oa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연구목적: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대사성 질환중의 하나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골량이 감소하고 골의 미세구조 변화로 인한 골의 강도가 약화되어 임상적으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전신성 골격계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여성에서의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갑상선기능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노령화 사회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5월부터 11월까지 원주시 보건소 건강검진센터의 수검자들 중 요골 골밀도와 갑상선 호르몬 (TSH, Free T4)을 측정한 30세 이상 여성 6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전체 폐경여성 중 56% (324명)는 골다공증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29.5% (171명)는 골감소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1세 이상에서 골밀도와 TSH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같이 감소하며, Free T4와 골밀도는 모든 연령군에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Free T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골밀도는 감소하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r2=0.012, P<0.05)를 나타내었으나, 회기방정식으로 Free T4는 골밀도의 변화를 1.2%만 설명할 수 있었다. 반면 TSH와 골밀도간의 단순상관분석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r2=0.003, P=0.153). 결론: 갑상선기능은 골밀도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 이 분야의 적극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적절한 갑상선기능 조절로 골소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Objective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he influence of thyroid function o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women in a local community. Methods: Bone status and thyroid function were evaluated in 698 women (mean age, 57.9 years) who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in Wonjusi between May and November. 2007.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radius was evaluat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BHP-76-P, GE Lunar, USA).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rmal, osteopenia, or osteoporosis based on T-scores. For thyroid function, they were classified as normal, hypothyroidism, or hyperthyroidism based on the free T4 level. Results: The prevalences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menopausal women were 85.5% and 56%, respectively. We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hyroid hormone level (r=0.11, P<0.05).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We found that thyroid hormone level, as well as physiological age,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rate of bone loss in older women. Thus, thyroid function testing and proper thyroid treatment are help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menopausal wom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