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Human Cytomegalovirus 유전자 발현에 Cyclic GMP의 영향

        윤주현,이규철,송병학,김영진,이찬희,Yoon, Joo-Hyun,Lee, Gyu-Cheol,Song, Byung-Hak,Kim, Young-Jin,Lee, Chan-Hee 대한미생물학회 1999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29 No.4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 messenger cGMP and human cytomegalovirus (HCMV) replication was investigated. First, the intracellular level of cGMP ([cGMP]i) in HCMV-infected cells was measured. The [cGMP]i increased at early times after HCMV infection, reached maximum level at 12 hr and returned to basal level at 24 hr after virus infection, while [cGMP]i in mock-infected cells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Increasing [cGMP]i resulted in enhanced transcription of HCMV major immediate early gene. For early gene expression, cGMP had varying effect. Expression of 1.2 kb RNA decreased and 2.2 kb RNA increased with increasing cGMP, while 2.7 kb RNA gene expression was not affected. HCMV early genes are regulated by immediate early gene, and the effect of cGMP on the regulatory effect of major immediate early gene on early genes was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cGMP, major immediate early gene repressed 2.7 kb RNA gene expression, while 1.2 kb RNA and 2.2 kb RNA early gen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presence of $1\;{\mu}M$ cGMP, however, major immediate early gene stimulated the expression of three early genes.

      • KCI등재

        네이버 한글 캠페인 마루 프로젝트를 위한 화면 속 한글 부리꼴의 사용성 조사

        윤주현 ( Yoon¸ Joo Hyun ),전서영 ( Jeon¸ Seo Young ),박주현 ( Park¸ Joo Hyun ),조정하 ( Cho¸ Jeong H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화면용 한글 부리꼴(serif font) 개발에 앞서, 사용자가 화면 속에서 부리꼴을 어떻게 인식,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문제는 민부리꼴과 비교하여 부리꼴이 내용 유형과 웹 구조에 따라 어떤 사용성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글꼴 사용성 정의, 연구문제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오프라인 실험조사 및 후속 인터뷰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화면 전용으로 개발된 부리, 민부리 1종을 각각 선정하여 화면 속 글꼴을 조사하였다. 연구 1의 결과, 부리꼴은 내용상 신뢰성을 소구하는 정보형 글에 어울리며, 감성이 담긴 문학형 글에서 글꼴 사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부리꼴은 사용성에서 편차가 적으나, 부리꼴은 내용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10~20대의 모바일 폰 응답자에서 확연히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부리꼴은 단순하고 긴 글줄을 형성하는 본문용 구조에서 높은 사용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데스크톱 화면에서 나타난 경향이며, 모바일 폰 화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리하면, 부리꼴은 정보 및 문학적 내용에 사용될 때, ‘글꼴 태도’가 좋아짐으로 인해 ‘가독성’과 ‘사용의도’를 함께 높인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쓰일 때, ‘가독성’이 좋아져 ‘글꼴태도’와 ‘사용의도’를 함께 높인다. 후속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결과, 부리꼴은 인쇄용의 예스러움, 신뢰성, 전문성, 인간적 감성 등의 인상을 주고 있었다. 종합한 결과, 부리꼴을 웹 화면에 적용할 경우에는 부리와 어울리는 내용을 다루는 것이 좋다. 또한, 단순한 본문 구조에서 적합한 타이포그래피 운용을 접목한다면, 사용성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기능적 민부리꼴과 함께 사용할 때 부리꼴은 좀 더 주목성 있는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users recognize and use the serif font on the screen before developing the serif font for the screen. The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the usability difference of buri font compared to minburi font according to content type and web structure.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literature review to define font usability, online survey, offline experimental survey,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nd follow-up interview. For this one type of buri and minburi developed exclusively for the screen wa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font in the screen was investigated. Study 1 found that buri fits well with information-type writing that seeks reliability in content, and has a high ‘font usability’ in literary writing that contains sensibility. Minburi has less variability in usability, however, buri is heavily influenced by its content. This was evident mainly in mobile respondents in their teens and 20s. As a result of study 2, buri showed high usability in textual structures where elements and structures are simple and form long lines of writing. However, these results tend to appear on desktop screens, not on narrow, short-line mobile screens. In summary, when used in information and literary content, buri increases both ‘readability’ and ‘intention of use’ due to its improved ‘font attitude’. Also, when used as a simple structure, the ‘readability’ improves, resulting in a higher ‘font attitude’ and ‘intention of use’. As a result of the follow-up interview, buri was giving the impression of print-oldness,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human sensibility. Finally, to summarize comprehensive results, when applying bury to a web screen, the usability effect can be enhanced if appropriate typography operations are incorporated in a simple body structure while dealing with the content that is compatible with bury. In addition, when used with functional minbury, buri can provide more noticeable freshnes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네이버 한글 캠페인 마루 프로젝트를 위한 화면 속 한글꼴 디자인 변화 연구

        이우용 ( Lee¸ Woo Yong ),구모아 ( Ku¸ Mo A ),조정하 ( Cho¸ Jeong Ha ),윤주현 ( Yoon¸ Joo 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과 안그라픽스는 화면용 한글꼴을 개발하는 ‘마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컴퓨터의 등장 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화면 속 글꼴의 변천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국내외 화면 속 글꼴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나아가 오늘날 화면 전용 부리 글꼴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마루 프로젝트 글꼴 개발에 참고하였다. 먼저, 연구자들은 화면 관련 기술 발전을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첫 번째 시대는 컴퓨터와 디지털 한글꼴이 등장한 1980~90년대로, 컴퓨터 내 한글의 입출력 해결을 위한 한글카드, 비트맵 글꼴, 완성형/조합형 등 여러 노력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시대는 웹이 등장하고 디지털 정보가 빠르게 늘어난 2000년대이다. 국내, 해외 모두 대다수의 웹사이트에서 시스템 글꼴을 사용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웹사이트에서 산세리프와 민부리꼴로 편중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외 웹사이트는 2000년대 후반부터 화면용 세리프 글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며 글꼴의 편중이 해소되고 있다. 세 번째 시대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등장으로 인해 글꼴이 변화한 2010년대 이후이다. 세 시대 모두 주요 디지털 소통 매체의 등장과 환경의 변화가 글꼴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맞추어 글꼴이 변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설계된 화면용 부리 글꼴들을 인쇄용과 비교하였을 때 공통 설계지점이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이를 로마자 화면용/인쇄용 세리프 글꼴의 특징들과 연결시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될 화면용 부리 글꼴인 ‘마루 부리’는 디지털 시각문화를 더욱 우리답게 정돈하고, 디지털 기기 안에서 한글의 고유한 미감을 더욱 살리게 될 것을 기대한다. NAVER, NAVER Cultural Foundation, and Ahn Graphics carried out the ‘Maru Project’ to develop Hangeul fonts for scree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creen fo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the advent of computers. To this e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font cases in domestic and overseas screens.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screen buri fo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referenc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aru project font. First, the researchers divided the era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reen-related technologies. The first era was the 1980s and 1990s, when computers and digital Hangeul fonts appeared, and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solve the input/output of Hangeul in computers. The second era is the 2000s, when world wide web was introduced. We founded the tendency of most websites to use system fonts, and in this process, we could find the tendency of websites to be biased towards sans-serif and min-buri. However, in overseas websites, in the late 2000s, the imbalance of fonts was being resolv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rif fonts for screens. The third era is after the 2010s, when fonts changed due to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n all three eras, the appearance of major digital media and changes in communication method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onts, and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ocess of fonts changing accordingly. A common design point was found when comparing screen buri fonts designed for changes in digital media with those for printing. The researchers analyzed and compared th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man screen/print serif fonts. ‘Maru buri’, which will be designed by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is expected to enrich the digital visual culture and further enhance the unique aesthetics of Hangeul in digital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