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육기 흑염소의 유지를 위한 조단백질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윤영식,장세영,성혜진,당옥교,정우령,박재현,문상호,Yun, Yeong Sik,Jang, Se Young,Seong, Hye Jin,Tang, Yu Jiao,Ding, Yu Ling,Park, Jae Hyun,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단백질 균형시험에 의한 흑염소의 1일 유지 단백질 요구량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31.78{\pm}4.54$의 8개월 령의 비육기 수컷 흑염소 6두를 공시하였고, $3{\times}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처리구별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을 달리하여 흑염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기간은 2014년 10월 12일부터 2014년 11월 21일까지 40일간 이천의 흑염소 농장에서 진행하였다. 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은 처리구별로 13%(T1), 16%(T2), 19%(T3) 이며 TDN은 66%로 하여 배합한 TMR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1일 사료급여량은 체중의 1.5%를 오후 5시경에 급여하였다. 처리구별 건물섭취량은 T1구가 925.14g/d, T2구가 966.67g/d, T3구가 936.08g/d으로 T2구에서 가장 높았고, 일당증체량은 T2구가 167.13g/d으로 T1과 T3구의 각각 109.26g/d, 118.98g/d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T1과 T2과 T3구 각각 73.68%, 71.81%, 73.77%로 처리구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구가 82.42%로 T1과 T2구 각각 72.73%, 65.72%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지방 소화율은 처리구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ADF 소화율은 69.13%로 T1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CF와 NDF 소화율은 46.88~59.76%, 63.29~73.73%의 범위로 처리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조단백질 섭취량은 T1과 T2과 T3구에서 각각 128.78g/d, 154.57g/d, 181.23g/d로 사료 내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사 체중 당 CP 섭취량과 CP 축적량과의 관계식에서 CP 균형이 0이 되는 X축 절편은 $1.63g/BW^{0.75}$이었다. 본 연구결과 8개월 령 수컷 흑염소에게 필요한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1.63g/BW^{0.75}$이며 흑염소의 사양표준 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유지 단백질 요구량에는 성장단계 및 사양방법,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그러한 요인들을 기준으로 한 흑염소 단백질 연구가 단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fattening Korean black goat (Capra hircus coreanae). Six male goa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31.78{\pm}4.54kg$ and an average age of 8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had a replicated du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for balancing carryover effects.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each of Black goats were fed three diets that were formulated to contain T1 (13%), T2 (16%) and T3 (19%) levels of crude protein (CP). A 14-day diet adjustment period was followed by a 5-day collection period. Dry matter intake (DMI) of groups fed diets with T2 was 966.67g/d which was higher than group fed diets with T1 and T3 were 925.14g/d and 936.08g/d each. Average daily gains (ADG) of black goats were the highest in T2(167.13g/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ietary protein levels affect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CP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P intake among treatments and goats receiving T3, T2, and T1 recorded 181.23, 154.57, and 128.78g CP/d, respectively. This was excepted because CP intake is proportional to CP content of diet, which from highest to lowest was as follows: T3 (19%) > T2 (16%) > T1 (13%). Intercept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P intake and CP balance indicated that maintenance CP requirement was 1.63g/BW0.75.

      • KCI등재
      • KCI우수등재

        Fabrication of TiO<sub>2</sub> Nanowires Using Vapor-Liquid-Solid Process for the Osseointegration

        윤영식,강은혜,인식,김용욱,여종석,Yun, Young-Sik,Kang, Eun-Hye,Yun, In-Sik,Kim, Yong-Oock,Yeo, Jong-Souk The Korean Vacuum Society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4

        In order to improve osseointegration for biomedical implan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nanostructured surfaces and cells. In this study, $TiO_2$ nanowires were prepared via Vapor-Liquid-Solid (VLS) process with Sn as a metal catalyst in the tube furnace. Nanowires were grown with $N_2$ heat treatment with their size controlled by the agglomeration of Sn layers in various thicknesses. MC3T3-E1 (pre-osteoblast) were cultured on the $TiO_2$ nanowires for a week. Preliminary results of the cell culture showed that the cells adhere well on the $TiO_2$ nanowires. 임플란트와의 골융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포와 임플란트 표면의 나노구조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n를 촉매로 이용하여 Vapor-Liquid-Solid 법을 이용하여 $TiO_2$ 나노와이어를 튜브 전기로 안에서 질소기체 조건하에서 합성하였다. 이 때 촉매로 사용된 Sn 박막의 두께에 따라 응집된 나노스피어를 이용하여 $TiO_2$ 나노와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골융합을 위한 예비 실험으로써, 만들어진 $TiO_2$ 나노와이어 샘플 위에서 조골전구세포(pre-osteoblast)를 1주일간 배양하였고, 세포가 $TiO_2$ 나노와이어에 잘 결합함을 볼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Fabrication of TiO₂ Nanowires Using Vapor-Liquid-Solid Process for the Osseointegration

        Young-Sik Yun(윤영식),Eun-Hye Kang(강은혜),In-Sik Yun(인식),Yong-Oock Kim(김용욱),Jong-Souk Yeo(여종석) 한국진공학회(ASCT)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4

        임플란트와의 골융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포와 임플란트 표면의 나노구조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n를 촉매로 이용하여 Vapor-Liquid-Solid 법을 이용하여 TiO₂ 나노와이어를 튜브 전기로 안에서 질소기체 조건하에서 합성하였다. 이 때 촉매로 사용된 Sn 박막의 두께에 따라 응집된 나노스피어를 이용하여 TiO₂ 나노와이어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골융합을 위한 예비 실험으로써, 만들어진 TiO₂ 나노와이어 샘플 위에서 조골전구세포(pre-osteoblast)를 1주일간 배양하였고, 세포가 TiO₂ 나노와이어에 잘 결합함을 볼 수 있었다. In order to improve osseointegration for biomedical implan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nanostructured surfaces and cells. In this study, TiO₂ nanowires were prepared via Vapor-Liquid-Solid (VLS) process with Sn as a metal catalyst in the tube furnace. Nanowires were grown with N₂ heat treatment with their size controlled by the agglomeration of Sn layers in various thicknesses. MC3T3-E1 (pre-osteoblast) were cultured on the TiO₂ nanowires for a week. Preliminary results of the cell culture showed that the cells adhere well on the TiO₂ nanowires.

      • XML 계층구조를 이용한 비디오 검색 및 데이터 관리

        은일(Unil Yun),김동석(Kim. Tongsok),박병호(Park. Byungho),영식(Young Sik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A

        본 논문에서는 한국통신 멀티미디어연구소에서 개발한 XML 계층구조를 이용한 비디오 검색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 및 관련 메타데이터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해서 비디오 데이터와 관련메타데이터에 대해 XML 계층구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검색 요청시 XML 계층구조를 반영하는 Xpath 생성하여 질의처리를 한다. 분 논문에서는 XML 계층구조를 이용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KCI등재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윤영식,성혜진,장치만,정상욱,이가을,박재현,장세영,이진욱,김관우,문상호,Yun, Yeong Sik,Seong, Hye Jin,Zhang, Qi Man,Chung, Sang Uk,Lee, Ga Eul,Park, Jae Hyun,Jang, Se Young,Lee, Jin wook,Kim, Kwan woo,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n forage productivity, feed value, grazing intensity and livestock productivity in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 grazing in native pasture. I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14.10{\pm}3.6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Dry matter content of native pasture was the highest at $33.48{\pm}2.56%$ in June, and th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spring to autumn (p<0.05). Crude protein was maintained between 11% and 12% on average. Nutrient content wa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in native pasture, but there were differences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wild grasses produced in each season. The productivity of forage crops increased from June, but decreased after August and showed a characteristic of grassland where productivity decreased rapidly in spring and autumn. The average grazing intensity are 39 head/ha. Black goat average daily gain was 80.2g/d. The stable weight gain in grazing is tha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the black goat was met by supplementing the concentrated feed during grazing. study, can be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proper feeding of supplementary feed and maintenance of grazing intensity.

      • KCI등재

        제주지역 조릿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평가

        정상욱,성혜진,윤영식,이가을,오영균,백열창,이슬,문상호,Chung, Sang Uk,Seong, Hye Jin,Yun, Yeong Sik,Lee, Ga Eul,Oh, Young Kyoon,Baek, Youl Chang,Lee, Seul,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평가를 진행하여 조릿대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현재 한라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릿대로 인한 식물종 다양성 감소문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조릿대의 사초생산성은 실험결과 5월과 6월기간에 비교적 우수한 재생력을 보였으나, 예취가 반복 될수록 재생능력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릿대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은 가을철 함량보다 봄철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6월에서 $8.64{\pm}0.20%$로 다른 기간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NDF, ADF의 함량은 6월에서 각각 $77.90{\pm}0.25%$, $42.33{\pm}0.49%$로 나타나 섬유소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조릿대는 NDF와 ADF의 함량은 높으나, 볏짚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가축의 특성에 맞추어 급여한다면 이용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를 사료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소 분해능력이 좋은 흑염소 같은 가축 또는, 조릿대에 대한 기호성이 우수하고, 소화율이 비교적 우수한 말에게 급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의 사료화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축종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Sasa borealis (S. borealis) in Jeju Island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Sasa borealis and to help mitigate the problem of reduced plant species diversity caused by S. borealis in Hanlla Mountain. To investigate the forage production, three quadrat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the S. borealis natural community in the middle part of Hanlla Mountain. From May to October 2017, S. borealis in quadrats was cut at a fixed time of each month, and then forage production and regenerated acidity per kg/ha were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compos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onthly samples. In vitro diges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cannula mounted Hanwoo.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NDFD) and in vitro acid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ADFD) were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Forage production of S. borealis showed relatively good regeneration ability in May and June, but the regeneration ability decreased as the cutting was repeated. In order to use S. borealis as a forage, it is considered efficient to feed black goats with good fiber decomposition or horses good palatability to S. borealis and relatively good digestibility.

      • KCI등재

        딸기 수확 후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을 위한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적정 처리농도 구명

        최기영(Ki-Young Choi),김일섭(Il-Seop Kim),윤영식(Young-Sik Yun),최은영(Eun-Young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숙도 70%인 과실을 LPE 0(증류수, 대조구), 10, 50, 100mg•L<SUP>-1</SUP> 농도에 1분간 침지하거나, 딸기 꼭지에서부터 익은 비율로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L<SUP>-1</SUP> 농도에 1분간 침지한 후 실온(20<SUP>o</SUP>C±1)에서 40분간 자연건조 한 뒤 4<SUP>o</SUP>C 저장고에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생체중, 종경도, 횡경도, 색도 및 당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도 70% 과실을 수확 후 LPE 0, 10, 50, 100mg•L<SUP>-1</SUP> 농도에 침지 후 저장하며 과실의 생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처리 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는 저장 3일째에는 무처리구와 LPE 10mg•L<SUP>-1</SUP>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6일째부터 12일까지는 10mg•L<SUP>-1</SUP>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횡경도는 저장 9일째 10과 50mg•L<SUP>-1</SUP>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12일째에는 10mg•L<SUP>-1</SUP>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고 50과 100mg•L-1에서 가장 낮았다. 색차계 L*과 b* 값은 LPE 처리 농도별 저장 기간 별 유의차가 없었고, a* 값은 저장 12일째에 LPE 10mg•L<SUP>-1</SUP> 처리를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 mg•L<SUP>-1</SUP> 농도에 침지한 후 저장하였을 때 과실 생체중은 LPE 처리농도별 유의 차가 없었다. 종경도와 횡경도는 LPE 처리농도와 상관없이 숙도 0% >50%> 70%> 100% 순으로 높았다. LPE 농도 처리에 의한 영향은 종경도는 숙도 70% 과실의 경우 저장 3, 6, 12일째 모두 LPE 5mg•L<SUP>-1</SUP>에서 가장 높았고 12일째는 LPE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숙도 100% 과실의 경우 저장 12일째에 LPE 10mg•L<SUP>-1</SUP>에서 종경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25mg•L<SUP>-1</SUP>에서는 종경도 및 횡경도 모두 가장 낮았다. 색차계 L, b 값은 LPE 처리와 관계없이 숙도 0% > 50% > 70% > 100% 순으로 높아 숙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숙도100%에서 가장 낮은 L*과 b*값이 측정되었다. 숙도 50%와 70% 과실의 경우 저장기간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해 5mg•L<SUP>-1</SUP>에서 L*, b* 값이 가장 높았다. 숙도 100%의 경우 25mg•L<SUP>-1</SUP>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과숙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색차계 a* 값은 L*과 b*와는 반대로 그 값의 증가는 숙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도 0, 50, 70, 100% 모두에서 LPE 처리 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고, 당도는 처리별, 기간별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LPE는 저장 중인 딸기 과실의 생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도 및 색도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숙도 70% 과실은 타 숙도에 비해 저장성 증대효과가 크며, 숙도 70%일 때 처리농도 LPE 5mg•L<SUP>-1</SUP>에서 저장성 증대에 효과적이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maturity of strawberry fruit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and its optimal concentration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Prior to application of treatments, fruits that were classified into levels of maturity (0%, 50%, 70% and 100%) were air-dried for 40 minutes an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t 4oC for 12 days. Fruits at 70% maturity were dipped into 0, 10, 50 and 100 mg·L<SUP>-1</SUP> LPE solutions for 1 minute. A lower range of concentration (0, 2.5, 5, 10 and 25 mg·L<SUP>-1</SUP>) was applied to fruits at different maturity levels. Data on fresh weight, hardness at vertical and horizontal loading positions,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during storage were collected. Based on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 LPE concentr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fresh weight,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However, the application of 10 mg·L<SUP>-1</SUP> LPE gave the highest hardness at vertical loading position while 100 mg·L<SUP>-1</SUP> had the lowest average. At lower range of LPE concentrations, fresh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LPE application and maturity levels. Hardness of fruits was mainly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fruits. Increased hardness was observed in the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to the 5mg·L-1 of LPE solution. The hardness and Hunter’s L* and b* value of 100% matured fruits gave lowest values despite the application of 25 mg·L<SUP>-1</SUP> LPE 12 days after storage.

      • KCI등재

        발효 미생물에 따른 포도가공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

        김경희(Kyoung-Hee Kim),윤영식(Young-Sik Yun),천세영(Se-Young Chun),육홍선(Hong-Sun Y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8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using a variety of useful microorganisms were analyzed. There were several experimental groups: the control, with non-fermented grape pomace; the BS group,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the LP group,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the LC group, fermented by L. casei; the CU group, fermented by Candida utilis; the Y1 group,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 the Y2 group, fermented by S. cerevisiae strain ZP 541; and the M group, fermented by a mixed strain culture of LP, LC, and CU. The yield of freeze-dried powder of fermented grape pomace by BS, LP, LC, CU, Y1, Y2, and M was 10.74%, 9.36%, 8.68%, 9.55%, 7.49%, 9.60%, and 9.71% w/w,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grape pomace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rol, but the fermented LP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than those of other fermented grape pomace. The control and fermented LP had 0.16 mg/mL and 0.28 mg/mL as IC50 values on DPPH radical scavenging, and 0.22 mg/mL and 0.53 mg/mL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The FRAP value (5 mg/mL) showed the highest value on fermented LP (2.44 mM)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12.27 mM). The fermented LC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cereus (11 mm), B. subtilis (11 mm), Staphylococcus aureus (12 mm), Escherichia coli (12 mm), Enterobacter cloacae (10.5 mm), Salmonella enterica (11.5 mm), and Pseudomonas aerugionsa (11 mm) at 5 mg/disc, but the control and other fermented grape pomace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ies. Thus, fermented grape pomace by LC is shown to be producing a material that has antibacterial activity. In conclusion, grape pomace fermentation using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showed excellent effects in promoting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Especially, using L. casei exhibited an increase in antibacterial activity, and using L. plantarum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