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G를 이용한 벼 재배품종별 벼멸구의 섭식행동특성

        김남성,서미자,윤영남,Kim, N.S.,Seo, M.J.,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3

        충남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10개의 벼 품종을 대상으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의 섭식행동을 EPG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벼의 섭식시간과 감로분비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측정한 EPG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벼멸구의 각 EPG type을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1-6까지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중 Type 1은 구침을 꽂지 않고 쉬거나 돌아다닐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2는 체관을 흡즙할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3은 처음으로 구침을 꽂을 때, Type 4는 타액 분비시, Type 5는 물관의 흡즙시, Type 6은 구침의 세포내 이동시 나타난다. 벼멸구의 각 품종에 대한 섭식시간은 금남벼에서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졌고 동전벼, 대안벼, 동안벼, 대산벼에서는 오랜 시간 흡즙을 하였다. 또한 금남벼에서는 장시간 구침을 삽입하지 않는 시간이 길었다. 감로의 분비량은 동진벼에서 가장 많았고 금남벼에서 가장 적은 감로를 분비했다. 이 감로의 분비량은 체관의 흡즙시간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EPG type과 감로의 분비량을 분석한 결과 벼멸구가 선호하는 품종은 동진벼, 동안벼, 대산벼, 대안벼 등이었고 그렇지 않은 품종은 금남벼, 다산벼, 남천벼 등이었다. For the comparison of feeding behavior of Nilaparvata lugens among different rice varieties,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echnique was used. Ten rice varieties were selected from national-widely recommended rice varieties cultivating in Chungnam province. The correlation between feeding duration and honeydew amount excreted was investigated, and the types of EPG pattern were analyzed among rice varieties. The EPG patterns divided into 6 types according to electrical specific feature, respectively. Type 1 pattern was a searching feeding sites, resting or wandering on a rice plant. Type 2 pattern was appeared when the insect untaken from phloem sieve element. Type 3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insect piercing into the rice plant. Type 4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insect salivating in rice plant. Type 5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insect ingesting from the xylem. Type 6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stylet moving in cell. Feeding duration time on Gum-nam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Dong-jin, Dae-ahn, Dong-ahn, Dae-san. Also, on Gun-nam, it was shown that the brown planthopper did not penetrate the cuticle for a long time. The total number of excreted honeydew droplets by the brown planthopper was the greatest in Dong-jin variety and the least in Gum-nam variety. In proportion to phloem feeding time, the number of honeydew droplets had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PG patterns and honeydew droplets analysis, N. lugens seems to prefer Dong-jin, Dong-ahn, Dae-san, and Dae-ahn to Gum-nam, Da-san, and Nam-chun rice plant variety.

      • KCI등재
      • KCI등재

        EPG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의 기주 식물체별 조직내 섭식행동

        서미자,장진영,강은진,강명기,김남성,유용만,윤영남,Seo, M.J.,Jang, J.K.,Kang, E.J.,Kang, M.K.,Kim, N.S.,Yu, Y.M.,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복숭아혹진딧물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추, 무, 배추, 가지, 참외 등 5종류의 기주식물에서 EPG기술을 이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구침이 식물체 표면에 접촉된 후 전기적 연결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맨 처음 potential drop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된 시간, 구침의 세포간극내에서의 활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potential drop의 수, 전기적 연결신호가 나타난 시점부터 체관부를 섭식하는 순간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Potential drop 수에서는 기주들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기주식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참외나 배추보다는 고추, 무, 가지에서 즘 더 기주선호성과 관련된 섭식패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feeding behaviour of the green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several plants, DC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echnique was used. We chose 5 plants including pepper, melon, cabbage, radish, and eggplant which were known as major host Plants of this species. This study was focused whether feeding patterns of the aphid were different and which plants would be the most preferable among 5 host plants. The time from initial proboscis contact with a each leaf until the first electrical contact, as a measure of the time taken for the stylet penetration, the time from electrical contact to the first potential drop as a time consumed until intracellular sampling, the number of potential drops per an hour during periods of regular intercellular pathway probing, and the time from electrical contact to tile first phloem specific pattern indicating the time taken to reach and attempt to feed upon the phloem were analysed. As a result, except the number of potential dro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y of feeding patterns among 5 plants. However, the feeding patterns related on host acceptability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from Pepper, radish, and e99r1an1 than melon and cabbage.

      • KCI등재

        Metaflumizone을 포함한 몇 가지 약제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독성검정

        강은진,강명기,서미자,박선남,김철웅,유용만,윤영남,Kang, E.J.,Kang, M.G.,Seo, M.J.,Park, S.N.,Kim, C.U.,Yu, Y.M.,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파를 가해하는 대표적인 해충인 파밤나방은 남부지방에서 피해가 심하며, 파 이외에도 많은 과채류 및 채소류를 가해함으로서 매년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파밤나방은 세계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살충제들이 등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에 서로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 약제인 metaflumizone과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등 4종의 살충제들을 선별하여 실내와 야외 포장에서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을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약제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파밤나방은 알과 1령에서 6령까지의 유충, 그리고 번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밤나방 알에 대한 시험에서 알에는 직접적인 독성작용을 하지 못하지만,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알껍데기를 먹음으로 해서 결과적으로는 파밤나방의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알에서 부화한 24시간 후의 1, 2령 유충들은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았으며,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치사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chlorfenapyr와 emamectin benzoate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서 노령의 유충에 이르기까지 고른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었고, fluffnoxuron의 경우에는 어린 유충에는 치사율이 낮았으나, 노령 유충으로 성장하면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포장에서 살충제를 살포한 포장에서 약제 처리 10일 후 방제가를 조사한 결과 처리한 약제 모두 87.2에서 90.5%로 비교적 높을 방제가를 보이고 있었다. The Welsh oni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has attacked Welsh onion and is now the most important pest of Welsh onion in southwestern Korea. The beet armyworm has a wide host range, occurring as a serious pest of vegetable and fields. The relatively high abundance of beet armyworm has stimulated frequent application of insecticides to foliage. Insecticide resistance is a major problem in management of this insect. Accordingly, pesticide application for the control of beet armyworm was tried in both the open field and in laboratory, using 4 synthetic compounds such as metaflumizone and chlorfenapyr, indoxacarb, flufenoxuron, emamectin benzoate. In the laboratory, each developmental stages from eggs, larva to pupa was tested against 4 insecticides. Against the eggs of welsh onion beet armyworm,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other. These tested chemicals no killing effect to eggs. However, the population of 1st larva hatched from eggs were reduced because they eaten the egg shell with residual insecticides. The tested insecticides were taken very high mortalities to 1st to 3rd larva of Welsh onion beet armyworm. Otherwise, there were decreased the death rate from 4th to 6th larva. On the other hand, their value of control effects were relatively good against Welsh onion beet armyworms in the field between 87.2 and 90.5% on 10 days after insecticide application.

      • KCI등재

        딸기재배 하우스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환경친화적 종합적방제를 위한 로드맵

        이대홍,조창욱,박초롱,이희진,강은진,석희봉,서미자,김황용,김용헌,유용만,윤영남,Lee, D.H.,Jo, C.W.,Park, C.R.,Lee, H.J.,Kang, E.J.,Seok, H.B.,Seo, M.J.,Kim, H.Y.,Kim, Y.H.,Yu, Y.M.,Youn, Y.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해충방제를 위하여 천적을 사용하는 친환경농가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친환경적인 종합적방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먼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딸기를 생산하는 농가에 딸기 어린묘를 공급하는 육모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는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였다. 딸기를 생산하는 본 포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들 역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점박이응애의 생물적방제를 위하여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방사하였고, 목화진딧물의 방제를 위하여는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방사하였다. 그러나 천적의 방사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의 개체군을 억제할 수 없어, 살충제를 살포하여 해충 개체군 밀도를 낮춘 다음에 천적들을 다시 방사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수확기인 동절기에 천적만을 가지고 해충을 방제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밤낮의 일교차가 심하여 해충과 천적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환경은 해충보다는 천적에 더 많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효율적인 친환경 종합방제로는 육묘장에서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고, 본포에 정식 후에는 천적을 방사하여 해충 발생 초기부터 해충을 제어해야 되며, 천적의 활동이 둔해지는 혹한기에는 천적에 독성이 적은 선택성 살비제와 살충제 등을 사용하여 해충 개체군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 후에는 다시 천적을 방사하여 해충 개체군을 조절하는 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Road-map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integrated pest management(IPM) of insect pests was drawn up on the strawberry vinyl-houses of farmer's field. Major insect pests were occurred Tetranychus urticae and Aphis gossypii during the strawberry plant seeding in the vinyl house and open field. Also, same insect pests were occurred in the vinyl house during harvesting season of strawberry. For the control of T. urticae and A. gossypii, Phytoseiulus persimilis and Aphidius colemani as natural enemies were input to the vinyl house, respectively. However, because these natural enemies could not control insect pest populations, acaricide and insecticide were sprayed. Then natural enemies were input again in the vinyl house. Natural enemies could not endure the intense cold and difference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day and night during strawberry harvesting season. So, their behavior and control activity of pests were more decrease than pests. Firstly, natural enemies are input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early breeding season of strawberry, secondly, acaricides and insecticide are sprayed for the control of mites and aphids, respectively, during the middle breeding season in the hard winter. Finally, natural enemies are re-input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middle and late breeding season.

      •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기술을 이용한 고려인삼의 유전분석을 위한 Primer 선발 및 변종별 비교

        임용표,신최순,이석종,윤영남,조재성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1993 생물공학연구지 Vol.3 No.-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comparison of variants and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analysis method. The ginseng variants used were as follows; Chungkyung-Chong. Hwangskoog-Chong, KG101 selected by the pure-line selection method, and 6 kinds of Jakyung-Chong strains (Jinjakyung, Jakyung-Chong 81783, Jakyung-Chong 847913, Jakyung-Chong 79742, Jinjakyung of USSR, and Mimaki of Japan). Four of 10 RAPD primers showd the distinctive polymorphism among 9 ginseng variants and lines, and were selected for more detailed polymorphic analysis. The sequences of 4 selected primers were TGCCGAGCTG (primer#2), AATCGGGCTG(#4), GAACGGGTG(#7), and GTGACGTAGG(#8). All primers produced several common bands among the strains. However, when primer #2 was applied, the electrophoregram showed the specific band at 1.8 kb region in Chungkyung-Chong. Hwangskoog-Chong, and KG101, and 1kb in the Jakyung-Chong 847913. In primer #4, 1.1kb band was shown in Chungkyung-Chong, Hwangskoog-Chong KG101, and Jakyung-Chong 79742. In primer #7, 700bp band was appeared in Jakyung-Chong 81783 and Jinjakyung of USSR. In primer #8,800bp band was observed only in Mimaki, comparing to another strains. When Similarity Index (SI) was calculated, Chungkyung-Chong and Hwangskoog-Chong, and Jakyung-Chong 81783 and Jinjakyung of USSR showed the most close SI, 0.11 and 0.08, respectively. The data of KG101, which showed the SI of 0.13 with the group of Chyngkyung-Chong and Hwangskoog-Chong,coincided with the fact that it was released from Hwangskoog-Chong by breeding process. The data of Jakyung strains indicated the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strains. From these results, RAPD analysis method could be succesively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and genetic analysis for breeding of Korean ginse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