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 국어 문법 통사론 분야의 특징과 활용

        유현경 ( Yu Hyun-kyung ),이정택 ( Lee Jung-ta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yntax of the standard Korean grammar and search the way it will be utilized. The standard Korean grammar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project titled ‘Development of the standard Korean grammar’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for 5 years from 2013 to 2017.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an be base grammar and reference grammar.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functions of reference grammar and base grammar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syntax of standard grammar. The macroscopic system of syntax of standard grammar is similar to the school grammar.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icroscopic contents. Theses changes reflect the results of syntactic research since 2002. The syntax field in standard grammar will help to develop a reference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과 연구 동향

        유현경 ( Yu Hyun Kyung ),원미진 ( Won Mi J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textbooks developed for overseas Koreans and giv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s.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living in the world is 7.43 mill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them is to provide important data not only for maintaining Korean language but also for maintaining Korean identity. Developed since the 1970s, customized Korean textbooks are currently supplied for the needs of the region, but still lack in meeting diverse needs. Consider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eceding study, it was not developed as a language textbook that reflected the speciality of Koreans living abroad. Many point out that there wa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 in terms of culture education, and consideration for the realities of language classes in the region. Consequently, the study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ality of language life of overseas Koreans.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통사론

        유현경 ( Yu Hyunkyung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지난 60년간 ≪국어학≫ 1집에서 92집까지 실린 통사론 논문들을 살펴 그 성과를 고찰하고 한국어 통사론 연구를 전망해 보았다. 그 결과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60년간의 연구 배경이 되는 이론과 연구 방법론을 살펴본 결과, 변형 생성 문법 이론이 주를 이루었던 초기 연구에 비하여 이론이 다양화되고 국어 문법 현상에 외래 이론을 적용할 때 개별 언어로서 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늘어났다. 초기의 연구들이 이론에 국어 자료를 맞추었다면 후대로 오면서 국어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이론의 수정에 적용하는 연구들이 증가했다. 둘째, 2000년대 이후 연구 자료로 말뭉치 용례를 사용하는 연구가 등장하면서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도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문어 말뭉치뿐 아니라 구어 말뭉치 구축으로 문어와 구어 자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문법 요소의 담화ㆍ화용론적 기능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게 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 가설로 존재했던 것을 검증하거나 특정한 주장을 지지하는 근거로 계량적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연구가 늘어났다. 셋째, 최근의 한국어 통사론 연구는 학제적인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 담화ㆍ화용적인 관점이 도입되면서 맥락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넷째, 연구 분야나 관점뿐 아니라 연구대상도 복합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나의 연구대상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연구대상을 복합적으로 연구하는 논의들이 늘어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yntax that appeared in volumes 1-92 in the journal, Korean Linguistics ≪국어학≫ during the past 60 years. It seeks to trace the developments in syntactic research and its future in South Korea. While earlier works primarily focused on generative grammar, recent studies suggests a diversification in the field from new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highligh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Likewise, while early studies adapted data to theories, more recent studies, however, have drawn on data from Korean linguists to reconceptualize new ways of theorizing language. Since the 2000s, corpus usage has become contributed to research data which in turn has transformed the study of Korean syntax. The construction of both written and spoken corpus has widened the research field and contributed to new source materials. In particular, this trend has furthered the exploration of discourse and pragmatic functions of syntactic research.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research using quantitative methods to analyze the corpus. At the same time, recent Korean syntactic research has increased its wings to engage in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context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introduction of discourse and pragmatic studies in Korean syntactic research. In sum, the fields of research in syntax has become more dynamic over the years with research topics being more complex as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works that now draw on than one subject. Recent Korean scholarship in syntactic studies has increased to engage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우수등재

        주제어의 통사론적 해석

        유현경 ( Yu Hyun-kyung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8

        본고는 통사 층위의 주제어와 담화 층위의 화제를 구분하고 통사 단위로서 주제어를 정립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담화 주제인 화제와 달리 통사 층위의 주제어는 주어 자리에 오는 명사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요구된다. 주어 자리에 오는 특정한 부류의 명사들이 주제어를 요구하는 것은 지시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제어는 서술어가 나타내는 정태적 사태와 관련이 있다. 주제어는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시-’와 호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재귀대명사 ‘자기’를 결속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은 주제어가 주어와 의미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주제어가 주어나 서술어 등 문장성분들과 특정한 의미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통사적 현상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술함으로써 주제어가 통사 단위로 정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tinguish 'sentence topic' and 'discourse topic' and to establish sentence topic as a syntactic unit. Unlike a discourse topic, a sentence topic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nouns that come to the subject. A series of nouns that come to the subject position requires a subject word to retain referentiality. The sentence topic is related to the static situation represented by the predicates. Sentence topic can correspond to the ‘-시(si)-’ ending of the subject-honorific, and can also be bound with the reflexive pronoun ‘자기(jaki)’. These characteristics seem to be because sentence topic has a semantic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s. This paper showed the possibility that sentence topic could be established as a syntactic unit by describing the fact that sentence topic has a specific semantic relationship with sentence components such as the subject or predicate and can be the controller of syntactic phenomena.

      • KCI등재

        서술절 다시보기

        유현경(Yu, Hyunkyu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본고는 서술절에 관련된 쟁점을 중심으로 서술절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술절을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용언이 서술절이 될 때 서술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절 표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하였으나 내포절의 본질은 품사와 관련이 있으며 문장성분과 무관하므로 이러한 주장은 성립되기 어렵다. 전성어미는 용언을 다른 품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도 어말에 위치하여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 표지는 내포절의 성립에 필수적이다. 소위 서술절을 안은 문장은 의미론적으로 복합 사태를 나타낼 수 없으며 동일한 성분의 공지시 양상 등 통사론적으로도 복문과 다른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선행 연구에서 서술절을 지지하는 근거로 든 주어인상구문이나 인용절과의 유사성도 서술절 성립의 근거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서술절의 의미적·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한국어에서 이중주어 구문을 서술절을 가진 복문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predicate clause can be accepted by focusing on its issues. In the standpoint of claiming the predicate clause, it is argued that a separate clause maker is not necessary because the verb functions as a predicate. Howe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embedding sentences are related to parts of speech and are not related to sentence components, this argument is hard to make. The function-converting endings allow the verb to function in other parts of speech, and at the same time,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word to indicate the boundary of the clause. Therefore, clause marks are essential for the establishment of embedding sentences. However, sentences embedded with predicate clauses cannot represent complex situations semantically and are syntactically different from complex sentences. This paper considered that the subject-rising composition or quoted clause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predicate clause. Subsequently, when examin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clauses, it is difficult to view a double subject sentence as a complex sentence with a predicate clause in Korean.

      • KCI등재

        한국어 명사절의 범위에 대한 연구

        유현경(Yu Hyun-kyung)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19

        한국어에서 명사절은 명사형 전성어미 ‘-(으)ㅁ’과 ‘-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명사형 전성어미로 이끌리는 절 이외에 다양한 구성들이 명사절 자리에 나타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전성어미 ‘-(으)ㅁ’과 ‘-기’에 의한 절을 전형적인 명사절로 보고 그밖에 명사절 자리에 나타나는 구성 중 명사절과 동등한 지위를 줄 수 있는 것을 ‘명사절 상당 구성’이라 하여 명사절 상당 구성의 범위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관형사형 어미다음에 의존명사 ‘것’이 결합한 구성, 즉 ‘것 구성’ 중에서는 ‘것’이 구체적인 대상을 지시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명사절 상당 구성으로 한정할 수 있는 유형들을 가려내고 그 특성을 기술하였다. ‘것 구성’ 중 명사형 전성어미와 대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격조사와 결합할 수 있는 것들을 명사절 상당 구성이라고 보았다. 의문형 어미 ‘-느냐’류, ‘-는지’ 류, ‘-는가’류에 의하여 이끌리는 절도 어떤 것들을 명사절 상당 구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그 특성을 밝혔다. 명사절과 명사절 상당 구성은 절을 이끄는 문법적 장치의 의미 특성에 따라 주절의 서술어가 제약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In Korean, nominal clauses consist of the nominalizing endings ‘-(ue)m’ and ‘-gi.’ However, in addition to clauses that are led by nominalizing endings,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s can appear in place of nominal clau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cope of constructions which can stand in the places of nominal clauses and share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fined any clause constructed with the nominalizing endings ‘-(eu)m’ or ‘-gi’ to be nominal clause equivalents. constructions containing the bound noun ‘-gut’ followed by a adnominal ending, which refer to particular objects while describing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replaced by nominalizing endings and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case markers, so they were also considered to be nominal clause equivalent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ether interrogative clauses with the ‘-neunya,’ ‘-neunji,’ and ‘-neunga’ endings could be defined as nominal clause equivalents. This study concluded that nominal clauses and nominal clause equivalents both have predicates in their main clauses that can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structures of the endings that lead the clauses.

      • KCI등재
      • KCI등재

        "이다"의 범주와 문법 기술

        유현경 ( Hyunkyung Yu ),남길임 ( Kilim Na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문법 교육 Vol.26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orean copula ‘ida’ as an adjective and discuss grammatical issues regarding ‘ida’ by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its multi-dimensional nature but also the whole Korean grammatical system.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focusing on categorization issues, phonological dropping, conjugational characteristics of ‘ida’ and classification of ‘ida’ constructions.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individual topics on this copula, few studies have presented a balanced description of ‘ida’ within the whole system of the Korean grammar. Not only do we need to establish the category of ‘ida’ but al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Korean POS and sentence complement systems in relation to the category of ‘ida’.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ida’ from the perspective of copula typology and provides an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 patterns of ‘ida’, based on the lists of POS taggers and types in [n±1] of ‘ida’ in morphologically tagged Korean corpus. Furthermore, we show the conjugational similarities between ‘ida’ and ‘anida’. Chapter 3 contends that ‘ida’ finds a more appropriate place in the Korean POS and sentence complement systems if identified as an adjective. That is to say, the Korean copula ‘ida’ being described as an adjective provides answers to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morpho-syntactical system.

      • KCI등재

        ‘맞다’의 사전적 처리에 대한 연구 - 형용사 및 감탄사 용법을 중심으로 -

        유현경(Yu, Hyunkyung),강서림(Kang, Seorim) 한국사전학회 2021 한국사전학 Vol.- No.38

        ‘맞다’는 대부분의 사전에서 동사로만 처리되어 있으나 형용사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감탄사적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맞다’를 동사와 형용사의 품사 통용 용언으로 볼 가능성과 감탄사 ‘맞다’ 설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뭉치 용례 분석 결과, 특정 활용형에서 ‘맞다’가 형용사적으로 활용된 빈도가 동사적으로 활용된 빈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맞다’는 의미적 차이 없이 동사의 활용형과 형용사 활용형이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며 일부 활용형에서는 동사의 활용형으로만 나타나므로, 품사 통용으로 처리하기보다 동사 ‘맞다’의 사전 기술에 형용사적 활용에 대한 참고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감탄사적 용법의 ‘맞다’가 동사에서 감탄사로 어휘화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용언의 활용형에서 온 감탄사를 판정하는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기준을 설정하였다. 말뭉치 용례 분석을 통해 감탄사적 용법의 ‘맞다’가 이 판정 기준에 부합함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감탄사 ‘맞다’를 동사 ‘맞다’와 별도의 동형어로 분리하여 사전에 등재할 것을 제안하였다. Korean word matda(맞다), which means ‘right’, is registered as a verb in most Korean dictionaries, but it is often used like an adjective and also like an interjection. This paper examines if matda(맞다) could be regarded as a predicate which converses its word-class from a verb to an adjective and if it is valid to register the interjection matda(맞다). In corpus, the frequency of adjectival inflection of matda(맞다) was higher than verbal inflection in particular conjugations. However,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adding a note about its adjectival inflection to the current description is more reasonable than regarding matda(맞다) as a predicate that changes its word-class. To verify whether the interjectional matda(맞다) was lexicalized as an interjection, we established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riteria for identifying an interjection lexicalized from an inflection of a predicate. The interjectional matda(맞다) in corpus met the criteria.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register the interjection matda(맞다) in dictionaries separately from the verb matda(맞다).

      • KCI등재

        사이버폭력 사건의 현황과 특성: 온라인 기사 내용분석

        유현경(Hyun-Kyoung Yu),윤명숙(Myeong-Sook Yoon)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2 No.-

        최근 메신저나 SNS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온라인 소통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폭력이 주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발생한 사이버폭력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을 통해 2000년~2018년까지 관련 기사 총 1,228건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이버폭력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이버폭력 가해자의 71.5%가 남성이며, 연령은 10대 49.4%, 20대 25.1%로 대다수이며, 직업은 학생이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폭력 피해자 특성은 여성이 64.9%, 연령별로 20대 40.0%, 10대 30.4%, 30대 19.7% 순으로 피해자 대다수가 10대~30대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20대 피해자의 연도별 추이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피해자 직업별로는 방송·연예인 47.8%, 초중고 학생 23.7%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폭력 유형은 사이버 언어폭력이 46.2%, 사이버 명예훼손 23.8%, 사이버 성폭력․스토킹 15.8% 순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가해 남성의 가해유형은 사이버 성폭력·스토킹, 사이버 언어폭력 순이었으며, 가해 여성의 가해유형은 사이버 언어폭력, 사이버 명예훼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폭력의 원인은 방송이나 행사에서 공개된 모습이나 언행, 실수가 가장 많았고, 이성과의 문제, 사건·사고로 인한 경우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이버폭력의 결과는 폭행 50.0%, 자살 22.3%, 상해·살해 7.4%, 위협 4.3%로 나타나, 사이버폭력이 폭력적 행동 및 자살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사이버폭력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교육과 실제적 개입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s online communica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recent active use of messengers and SNS, cyber violence, which means bullying or bullying conducted on line,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228 related articles from 2000 to 2018 through major Internet portal sites Naver and Daum to identify and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cyber viol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71.5% of cyber violence perpetrators are male, 49.4% of teenagers and 25.1% of 20s, making up the majority of teenagers and 20s, and students account for 50% of all perpetrators. Second, the majority of victims of cyber violence were concentrated in their teens and 30s, with 64.9% of women, 40.0% in their 20s, 30.4% in their 30s, and 19.7% in their 20s. Third, as for the types of cyber violence, cyber verbal violence was 46.2%, cyber defamation 23.8%, and cyber sexual violence and stalking 15.8%. In the case of cyber violence perpetrators, men's types of abuse were cyber sexual violence, stalking, and cyber verbal violence, and women's types of abuse were in the order of cyber verbal violence and cyber defamation. Fourth, the causes of cyber viol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appearance or words disclosed in broadcasts or events, mistakes, problems with reason, and incidents and accidents. Fifth, the results of cyber violence were analyzed as 50.0% of assault, 22.3% of suicide, 7.4% of injury and murder, and 4.3% of threat, indicating that cyber violence was related to violent behavior and suici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intervention measures for cyber violence problem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