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친환경의식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및 녹색소비행동 분석

        유지현(Yu, Jihyun),오재림(Oh, Jaelim)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친환경의식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및 녹색소비행동을 분석하고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환경교육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충청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8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PASW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별 집단에 따른 측정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집단의 차이분석에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친환경의식과 녹색소비 행동의 인식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친환경의식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은 녹색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eco-friendly perception,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consumer behavior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88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Gyunggi, and Choongchung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using the PASW 21.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der and grad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 college students and non teacher college students except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co-friendly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significantly effect on green consumer behavior.

      • KCI등재

        재취업 산업재해근로자의 일자리 만족을 위한 긍정적 자아개념과 동료 관계에 대한 고찰

        유지현(Jihyun Yu),박소연(Soyeon Park),김혜영(Hye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산재보험패널조사 제2차 3차 년도(2020)의 자료를 통해 재취업 산재 근로자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일자리 만족도 간에 동료 관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재취업자로 응답한 1,1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긍정적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으로 측정하였다. 긍정적 자아개념과 일자리 만족도 간에 동료 관계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자아개념은 일자리 만족도(β=.183, p<.001)와 동료 관계(β=.341, p<.001)에 직접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 관계는 일자리 만족도(β=.434, p<.001)에 직접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자아개념이 동료 관계를 통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긍정적 자아개념은 동료 관계를 거쳐 일자리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β=.148, p<.05)을 미쳤으며,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재취업 산재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을 높이기 위해 동료 간의 관계에 주목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a positive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of re-employed industrial workers using data from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anel Survey (2020). The data of 1,130 re-employed individuals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were analyzed, and positive self-concept was measured us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 on positive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β=.183, p<.001) and peer relationship (β=.341, p<.001) had a direc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β=.434, p<.001). The indirect effect of positive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peer relationships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β=.148, p<.05). The study shows organizational efforts direct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are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mong re-employed industrial workers.

      • Z세대를 위한 동기부여형 대학 교육의 방향

        김혜영(Hyeyoung Kim),유지현(Jihyun Yu)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2022 대학 연구 Vol.1 No.2

        대학은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학 스스로 변화에 적응하고 더 나은 교육여건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데, 시대를 불문하고 대학 교육 현장에서의 가장 큰 고민은 교육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교육의 효과는 다양한 교육 환경적인 요소와 교육 관련 주체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창출되기 때문에 교육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현재 교수자들과 학생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살면서 서로 다른 경험을 축적하게 되었고, 그러면서 삶의 방식이나 가치, 행동 특성 등에서 차이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을 제공하는 측면과 교육에 참여하는 측면에서 괴리를 만들어 낼 수 있고 교육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기에 본 연구는 이를 최소화하고자 학습 동기에 대한 이론 검토를 토대로 Z세대의 특징을 반영한 동기부여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이 더 나은 교육적 성과를 위해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교육 방법개선에 있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Universities are striving to be faithful to their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in line with the changing needs of the times. Universities themselves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adapt to change and provide better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biggest concern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regardless of the times is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Since the effect of education is created by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ous interactions of education-related subjects, understanding education stakeholders is essential. Currently, instructors and students have accumulated different experiences whil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era, and as such, they have differences in lifestyle, valu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is difference can create a gap between the aspect of providing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education and can reduce the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motivation pl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obtain ideas for the development,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s for better educ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김누(Kim, Nooree),유지현(Yu, Jihyun),김효원(Kim, Hyo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요구되는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해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협력적 조절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협력적 조절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여 4년제 대학 재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중요도-실 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협력적 조절의 구성요인은 소통, 평가, 점검, 팀과제수행 효능감, 팀워크, 배려존중, 정보수집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협력적 조절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차이가 크게 나타난 요인은 점검, 정보수집, 팀워크 순이었다. 둘째, 협력적 조절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팀과제수행 효능 감, 점검, 정보수집 순으로 나타나 이에 근거하여 협력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egulation by analyzing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co-regulation of learner, which is required in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explor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cale for measuring co-regulation and conducted an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 for 325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o-regulation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were revealed as communication, evaluation, monitoring, team task performance efficiency, teamwork, care & respect, and information collecti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of co-regulation, and the factor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were inspec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teamwork.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iorities of the factors for successful co-regulation showed that team task performance efficiency, monitoring, and information col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regula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수의 문제해결지원을 중심으로

        김혜영(Kim, Hyeyoung),이숙정(Lee, Sookjeong),유지현(Yu,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문제해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찾는 연구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역량의 인과관계적 모형에 입각하여 문제해결행동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문제해결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의 제9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논문공모의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에서 활용한 한국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지(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를 통해 2011~2014년도에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 활동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성과의 수준이 높아졌으며, 문제해결 지원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문제해결 행동을 통해 학습성과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행동을 적극 유도하는 방식의 수업설계와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교수법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가능하다.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precedenc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behavior; however, the researches of the impacts on a learning outcome of problem solving behavior based on paradigm of competence -causal relationship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how the problem solving support of the instructors has the impact on a problem solving behavior and how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has influence on the learning outcome. To do this, ‘the impact of the learning outcome that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bring out through a survey(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of the professional study of Korean-College students is analyzed, and reviewed the influence of an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problem solving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level of problem solving behavior was, the higher result of learning outcome was. Likewise, a case with high-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recorded higher learning outcome than the case with low-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Future researches of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supporting problem solving and curriculum in order to induce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analysis.

      • KCI등재

        여대생의 친환경 태도, 친환경 행동, 세계시민성의 관계 분석

        이숙정(Sook-Jeong Lee),김혜영(Hyeyoung Kim),유지현(Jihyun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연구는 여대생이 인식하는 친환경 태도, 친환경 행동, 그리고 세계시민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교육에서 세계시민성 향상을 위한 실천과 체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대학생의 친환경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고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78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준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친환경 행동을 처치변인으로 하고, 대조집단과 실험집단을 구분하여 개인적, 사회적 친환경 태도와 세계시민성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태도의 경우, 개인적 친환경 태도 보다 사회적 친환경 태도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조집단과 실험집단의 집단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친환경태도는 세계시민성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태도가 직접적인 실천을 통해 세계시민성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 교육과 환경담론의 연계의 필요성, 친환경 행동의 강화를 위한 비교과 활동프로그램의 재정비, 이를 위한 대학 차원의 일관적이고 명시적인 목표설정과 운영체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co-friendly attitudes, behaviors, and global citizenship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pre-po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78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on personal and social eco-friendly attitudes and global citizenship for the contrast and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e case of eco-friendly attitude, the perception of eco-friendly social attitude was higher than personal eco-friendly attitud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ast and the experimental groups, the pre-post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co-friendly attitude is a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global citizenship. The necessity of link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nvironmental discourse, the reorganization of non-curricular activity programs to reinforce eco-friendly behaviors, and consistent and explicit goal setting and operating system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proposed.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 관련 학교차원 보호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숙정(Sookjeong Lee),박소연(Soyeun Park),이희현(Heehyun Lee),유지현(Jihyun Y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관련이 있는 학교차원 보호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접근과 해결방안의 모색을 위한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보호요인을 종합적으로 추출하고 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자료는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등의 자료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석, 박사 학위논문 중 학교폭력, 집단/또래 괴롭힘, 집단/또래 따돌림을 주요 검색어로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기준을 충족하는 논문들을 최종 선정한 결과, 석, 박사 학위논문 33편과 학술지논문 18편의 총 51편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모든 효과크기가 부적인 크기로 제시되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각 범주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사, 또래, 학교 범주 중 또래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변인 중 또래지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에서는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학교차원의 보호요인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was to conduct meta-analysis for deducting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A meta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data search engine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etc. The searched keywords were school violence, bullying, alienating among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January 2000-February 2014. Finally selected data were 33 dissertations and 18 journals. By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 effect size was estimated, and converted correlation coefficient to Fisher``s z.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was divided into teacher, peer, and school categories. Second, school violence and each category was negative correlation. Third, effect size of peer category was the dominant among three categories. Fourth, after analyzing effect size by level of school, elementary school was the domin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that attention and discipline relate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is necessary in order for victim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KCI등재

        『토지』 인물의 욕망 연구

        유지현 ( Yu¸ Ji-hyu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69 No.-

        한국 소설사에 있어서 뛰어난 작품인 토지가 지닌 독보적인 점은 독창적이고 통찰력있는 인물의 창조와 내면에 대한 묘사라고 할 수 있다. 인물들이 내재한 욕망과 욕망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사건이 토지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매력적인 요소임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르네 지라르의 욕망에 대한 탐구는 내면의 심층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토지 여러 인물의 양상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지라르는 간접화된 욕망을 주목한다. 욕망은 중개에 의하여 간접화되며 주체의 욕망은 대상을 항하여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중개자를 거쳐 대상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즉 주체는 중개자를 모방하는 것이다. 지라르는 주체와 중개자가 경쟁관계에 있는 것을 내적 간접화라 하고, 주체와 중개자 사이에 경쟁이 없는 것을 외적 간접화라고 한다. 토지에 등장하는 인물의 욕망 유형은 내적 간접화와 외적 간접화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면적 간접화는 선취형 내적 중개자와 경쟁형 내적 중개자로 세분화될 수 있다. 선취형 내적 중개자 유형는 귀녀, 김평산, 임이네가 해당한다. 경쟁형 내적 중개자 유형에는 최서희, 강청댁이 해당한다. 선취형 내적 중개자 유형의 경우 내적 매개자가 이미 대상을 선점하고 있는 경우이며 주체는 이를 탈환하거나 빼앗으려는 욕망을 지니고 있다. 경쟁형 내적 중개자의 경우 주체와 내적 중개자는 비교적 대등한 상황에서 대상을 얻으려 경쟁하는 경우이다. 외적 중개자 유형은 중개자를 선망하며 모방하는 것으로서 주체와 중개자는 경쟁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용이, 함안댁, 길상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 주체가 어떠한 매개를 모방했는가에 따라 주체의 행동 양상은 달라지게 된다. 매개와 주체의 행위 양상에 따라 초월과 비극적 초월, 전향, 좌절, 파멸의 결과를 드러낸다. One of the most unrivaled qualities Toji possesses is its original and insightful creation of characters and the descriptive inscape. It is undeniable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is novel is the innate desires of the characters, conflicts and incidents that take place in the course of the accomplishment of their desires, which consists the novel’s main narration. Rene Girard’s investigation of the desire is apt for this research in terms of analyzing the conditions of various characters in Toji, as it analyzes the depth of the inner workings of the human mind. Girard focuses on mediated desire (desire mediatise). Desire is made indirect via mediator (mediateur), where the desire of the subject does not rise uprightly, but rather progresses, by the way of the mediator (mediateur), to the object. Thus, the subject imitates the mediator. Girard refers to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mediator as ‘internal mediation (mediation interne)’ and noncompetitive relationship of the two as ‘external mediation (mediation externe)’. As such, the type of desire characters possess in Toji can be distinguished into two: internal mediation and external mediation. Here internal mediation can be subdivided into preoccupied internal mediation and competitive internal mediation. In the case of preoccupied internal mediation, internal mediator occupies the object in advance and the subject cherishes the desire to reclaim it or deprive him or her of it. In the case of competitive internal mediation, subject and the internal mediator compete to achieve the object in relatively equal terms. External mediator type admires and imitates the mediator. The subject and the mediator do not form a competition. Yongi, Hamandaek and Gilsang are included in this type. The subject’s pattern of behavior changes according to which mediator it imitates. In accordance to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mediator and the subject, results of transcendency, tragic transcendency, frustration, conversion and destruction may occ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