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 관련 학교차원 보호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숙정(Sookjeong Lee),박소연(Soyeun Park),이희현(Heehyun Lee),유지현(Jihyun Y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관련이 있는 학교차원 보호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접근과 해결방안의 모색을 위한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보호요인을 종합적으로 추출하고 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자료는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등의 자료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석, 박사 학위논문 중 학교폭력, 집단/또래 괴롭힘, 집단/또래 따돌림을 주요 검색어로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기준을 충족하는 논문들을 최종 선정한 결과, 석, 박사 학위논문 33편과 학술지논문 18편의 총 51편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모든 효과크기가 부적인 크기로 제시되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각 범주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사, 또래, 학교 범주 중 또래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변인 중 또래지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에서는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폭력 피해예방을 위한 학교차원의 보호요인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was to conduct meta-analysis for deducting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A meta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data search engine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etc. The searched keywords were school violence, bullying, alienating among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January 2000-February 2014. Finally selected data were 33 dissertations and 18 journals. By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 effect size was estimated, and converted correlation coefficient to Fisher``s z.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related to school violence was divided into teacher, peer, and school categories. Second, school violence and each category was negative correlation. Third, effect size of peer category was the dominant among three categories. Fourth, after analyzing effect size by level of school, elementary school was the domin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that attention and discipline relate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dimension is necessary in order for victim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KCI등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 분석

        안재희(Ahn Jaehee),이숙정(Lee Sook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열 및 비사범계열을 통해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진로유형을 알아보고 그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진로준비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117명의 4학년 교직이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11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의 58.1%가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상태였으며,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66%가 중ㆍ고등학교 때 이미 자신의 진로를 결정했지만,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86.7%는 3~4학년 때 진로를 결정하였다. 교직이수자들의 진로유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교직이수계열에 상관없이 개인적 요인보다 교육적 요인, 특히 교육활동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직이수자들이 진로준비 과정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교과지도의 경험 부족, 정보부족, 임용고시 준비를 학원에 의존해야 하는 어려움 등을 호소했으며, 비교직분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은 자기탐색의 부족으로 인해 취업분야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범계열 출신에 대한 기업체의 편견에 직면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many students take a university course to become secondary school teachers, only a few of them beca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Students care about their careers.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choices made by student teachers, the determinant reasons for these choices, and the difficulty student teachers faced in their preparations for a career. In total, 117 students were survey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student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58.1% of respondents chose to enter teaching as a career and 66% of them had already made this choice when they were in secondary school. In contrast, 86.7% of respondents made their career decision when they were a senior at university. Regardless of their department, educational experience affected their career choice affirmatively, and the situation of employment affected their career types negatively. Regardless of career type, respondents face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s. Students who chose to become a teacher had almost no experience in teaching their major subject, a lack of information, and were dependant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ass the educational recruitment examination.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ere unsure of their vocational aptitude because they rarely have the opportunity for self-exploration and were often confronted with prejudice in the work environment by candidates who graduated from a college of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수의 문제해결지원을 중심으로

        김혜영(Kim, Hyeyoung),이숙정(Lee, Sookjeong),유지현(Yu,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문제해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찾는 연구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역량의 인과관계적 모형에 입각하여 문제해결행동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문제해결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의 제9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논문공모의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에서 활용한 한국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지(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를 통해 2011~2014년도에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 활동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성과의 수준이 높아졌으며, 문제해결 지원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문제해결 행동을 통해 학습성과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행동을 적극 유도하는 방식의 수업설계와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교수법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가능하다.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precedenc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behavior; however, the researches of the impacts on a learning outcome of problem solving behavior based on paradigm of competence -causal relationship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how the problem solving support of the instructors has the impact on a problem solving behavior and how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has influence on the learning outcome. To do this, ‘the impact of the learning outcome that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bring out through a survey(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of the professional study of Korean-College students is analyzed, and reviewed the influence of an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problem solving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level of problem solving behavior was, the higher result of learning outcome was. Likewise, a case with high-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recorded higher learning outcome than the case with low-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Future researches of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supporting problem solving and curriculum in order to induce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