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학내 정보 인공지능 챗봇 연구

        김누리 ( Nuri Kim ),김유나 ( Yuna Kim ),김정선 ( Jeongsun Kim ),석영현 ( Yeonghyeon Suk ),김영종 ( Young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위치 기반 서비스를 중점으로 교내의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챗봇시스템을 구축한다. 교내 공지사항, 학사정보와 실시간 전화 연결 서비스 및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 소동물 PET 영상특성추출법 정확성 검증을 위한 영상명암도 보정

        김누리 ( Noo-ri Kim ),송수민 ( Soo-min Song ),박혜진 ( Hye-jin Park ),김경민 ( Kyeong-min Kim ),김명희 ( Myoung-hee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살아있는(in-vivo)실험체에서 여러 차례 획득된 영상의 관심영역 특성을 측정, 분석하기 위한 영상처리기법의 정확성은 동물을 희생시켜(in-vitro) 촬영한 영상과의 정량적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육안검사에 의존한 기존 분석방법은 객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n-vivo영상인 PET 영상과, in-vitro영상인 Autoradiography 영상에서 관심영역 특성을 객관적,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종양을 심은 누드마우스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지하여 획득한 이 두 영상에서 종양 조직 성장 지표가 되는 체적과 조직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방사능섭취량(SUV)을 각각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영상획득의 시간차에 의해 방사성동위원소가 붕괴되어 영상 전체의 명암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시간에 반비례하게 변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을 고려하여 영상명암도를 보정하였다.

      • KCI등재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개수와 관련된 임상 요인들

        김누리 ( Nu Lee Kim ),정휘수 ( Hwee Soo Jeong ),김성우 ( Sung Woo Kim ),이동욱 ( Dong Wook Lee ),심민성 ( Min Sung Shim ),등건훈 ( Chen Hsuen Teo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2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37 No.2

        Objectives: Many clinical factors h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but well-known factors related to number of diagnosing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have been a few.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number of metabolic syndrome`s component. 43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medical records of 324 participants who received health check ups at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ju from March to July 2011, age, body mass index (BMI), white blood cell count, liver enzyme, fasting insulin, total cholesterol, uric acid, ferreting, the degree of fatty liver and esophagi i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ere based on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s Adults Treatment Panel (NCEP ATP) III study.91 Results: Subjects who met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ere 47 (14.5%). O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linical factors increasing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ere fatty liver (Odds ratio 2.60, 95% CI 1.48~4.537) elevated fasting insulin level (1.19, 1.08~1.31) and increasing age (1.07, 1.03~1.12).40 Conclusions: Clinical factors related to number of diagnosing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ere fatty liver, elevated fasting insulin level and increasing age.22

      • KCI등재

        동독의 귀환 -통일 이후 독일의 가치관 변화

        김누리 ( Nu Ry Kim ) 한국괴테학회 2008 괴테연구 Vol.0 No.21

        Das vereinte Deutschland ist eine historische Buhne geworden, auf der ebenso ein gewaltiger Wertwandel als Folge gesellschaftlicher Wandlungprozesse wie umgekehrt gleichzeitig ein gewaltiger gesellschaftlicher Wandel als Folge von Prozessen des Wertwandels von statten gehen. Besonders im Osten, der mit dem Zusammenbruch der DDR einen tiefgreifenden System- und Kulturbruch erfahren musste, nahm der Wertwandel komplizierte Formen an. Angesichts jenes Wertbruchs, in dem die Werteinstellungen, die in der Zeit der DDR 40 Jahre lang das Selbstbewusstsein und die Identitat der Ostdeutschen konstituiert hatten, eine vollstandige Abwertung erfuhren, sah sich die ostdeutsche Bevolkerung vor die Wahl gestellt, entweder die westdeutschen Werte einfach zu ubernehmen, oder- in ruckwartsgewandter Form- an den eigenen Wertmaßstaben einer vergangenen Zeit festzuhalten, oder aber als dritte Moglichkeit ganz neue eigene Wertorientierungen auszubilden. Den komplexen, sich zwischen diesen Alternativen entfaltenden Prozess des Wertwandels im vereinten Deutschland seit dem Vollzug der staatlichen Einheit zu untersuchen, ist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Diese Arbeit geht dabei von der Erkenntnis aus, dass die deutsche Vereinigung einen unerwarteten, erstaunlichen Wandel der Werteinstellungen im Westen wie im Osten hervorgebracht hat, und versucht drei Hypothesen zu belegen. Die erste besagt, dass die ursprunglich ostdeutschen Werteinstellungen sich im Laufe der Zeit eher verstarkt als abgeschwacht haben. Die zweite Hypothese behauptet, dass es dabei unverhofft zur Geburt einer neuen ostdeutschen Identitat gekommen ist, wahrend im Rahmen der dritten Hypothese angenommen wird, dass die beschriebenen Wandlungsprozesse allmahlich in eine Konvergenz der Wertorientierungen von West- und Ostdeutschen munden. Besonders beachtenswert sind dabei zwei Erscheinungen: Im Westen wie im Osten nimmt zunachst die Wertschatzung von Freitheit stetig ab, wahrend die Akzeptanz des Wertes der Gleichheit immer weiter ansteigt. Die Zufriedenheit mit der westdeutschen Demokratie verringert sich ferner im Westen wie im Osten immer mehr. Ich habe den Grund fur diese Konversion der ost- und westdeutschen Werteinstellungen im Hinblick auf drei Faktoren hin untersucht und analysiert: Globalisierungs-, Nomadisierungs- und Kolonialisierungsfaktor. Die sich bestandig und robust konsolidierende ostdeutsche Identitat bildet dabei den entscheidenden Faktor, der zunachst den ostdeutschen, dann den westdeutschen und schließlich den gesamtdeutschen Wandel der Werteinstellungen herbeigefuhrt hat. Die Ostidentitat hat sich ihrerseits aus der anfanglichen Trotzidentitat uber das Zwischenstadium einer Abgrenzungsidentitat hin zu einer reifen, kritischreflektierenden Identitat entwickelt. Als Folge des Wandels von Werteinstellungen und Identitaten ist das vereinte Deutschland zu dem geworden, was Klaus Schroder als `die veranderte Republik` bezeichnet: Es ist eher linker geworden als rechter, eher staatsorientiert als marktorientiert. 20 Jahre nach dem Mauerfall steht die Bundesrepublik vor dem Scheideweg: Ob sie auf der Grundlage der an Gleichheit und sozialer Gerechtigkeit ausgerichteten neuen Wertorientierungen die durch die wirtschaftliche Globalisierung verursachte gesellschaftliche Krise uberwinden kann oder sich schließlich doch den neoliberalen Werten unterwerfend in den sozialen Freitod sturzt, bleibt zu diesem Zeitpunkt eine offene Frage.

      • KCI등재

        1945 - 영시점인가? - 서독문학의 초기상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누리 ( Kim Nury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6 독일언어문학 Vol.0 No.74

        Die vorliegende Arbeit stellt einen Versuch dar, die Fruhphase der westdeutschen Literatur kritisch zu bilanzieren. Diese gewinnt ihre Aktualitat dadurch, dass westdeutsche Literatur durch die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 1990 Geschichte geworden und daher aus einem neuen Blickwinkel zu bewerten ist. Bemerkenswert ist aus heutiger Sicht, dass sich die Literatur der jungen Schriftstellergeneration um die Guppe 47 als Antithese gegen die fruhe westdeutsche Literatur entwickelte, in der die Autoren der sogenannten `inneren Emigration` dominierend waren. In diesem Zusammenhang erscheint die These von der Stunde Null, mit der haufig die fruhe westdeutsche Literatur charakterisiert wurde, recht fragwurdig, denn die Vorherrschaft der Literatur der inneren Emigration verweist zweifellos auf einen wesentlichen Mangel an Aufarbeitung der nationalsozialistischen Vergangenheit. Die Stunde Null ist in der Tat nichts anderes als ein Mythos: In der westdeutschen Nachkriegsliteratur gab es kaum eine Stunde Null im Sinne einer Zasur mit radikalem Neuanfang. Nur unter den jungen Schriftstellern schimmerte ein Stunde-Null- Bewußtsein auf. Als die entscheidenden Charakteristika jener fruhen westdeutschen Literatur, die davon zeugen, dass die Stunde Null ein Mythos war, sind u.a. die folgenden Erscheinungen herauszuarbeiten: die Vorherrschaft der Literatur der inneren Emigration, die ausbleibende oder zogernde Anerkennung der Exilliteratur, das Schweigen der jungen Schriftsteller, die einseitig konservative Aneignung des literarischen Erbes, der Goethe-Kult als Alibi und die Renaissance Gottfried Benns und Ernst Jungers als Entlastungszeugen.

      • KCI등재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김누리(Nu-Ri Kim),권은경(Eun-kyoung Kwon),박정양(Jeong-Ya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1~3년 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총 10회기에 걸친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신규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경험에 관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예술가의 길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취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른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는 경제적 불안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병행하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만으로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활동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방향성을 발견하고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신규문화예술교육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us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experienced in the field by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Methods Fiv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have obtained certificates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from July 2021 to October 2021 were interviewed in a total of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semi- structured form.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that they could choose various paths, not the path of an artis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is effective for employment. Third, he hoped to create a community where he could communicate wi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companies in other fields. Fourth,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works as a freelancer, has shown that there is a limit to working as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only with the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This can be seen as meaningful, and it i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quires measures and improvements to create stable job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 KCI등재

        통일 이후 독일영화에 나타난 동독상

        김누리(Kim, Nu Ry),최기훈(Choi, Kee Ho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8 No.-

        이 논문은 독일이 통일된 이후 역사가 되어버린 동독사회의 모습이 어떠한 ‘문화적 기억’으로 재현되어 왔는지를 통일 이후 발표된 독일영화를 통해 살펴본다. 논문에서 〈존넨알레〉(1999), 〈굿바이, 레닌!〉(2003), 〈타인의 삶〉(2006)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 영화들이 동독사회의 특정한 국면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전형성), 영상 예술로서 높은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으며(예술성), 관객들의 폭 넓은 호응을 받았다(대중성)는 점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이 세 편의 영화에 나타난 동독사회의 모습은 서방세계가 동독 체제에 대해 갖고 있던 통념과 선입관을 확인시킨다기보다는 전복시키고 있다. 〈존넨알레〉는 동독의 청년세대가 서방의 젊은이들과 유사한 가치관과 생활방식을 가지고 삶을 영위했음을 보여주고, 〈타인의 삶〉은 동독의 지식인들이 감시와 억압 속에서도 사회주의의 이상을 고수하고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굿바이, 레닌!〉은 독일통일이 평범한 동독인의 일상에 미친 파괴적 영향을 그려내고 통일의 역사적 의미를 묻고 있다. 이 영화들은 또한 동독사회를 단순히 ‘반공주의’의 입장에서 악마화하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존넨알레〉에서 동독사회는 이제는 사라진 우애와 선의의 공동체로서 동독에 대한 향수, 즉 오스탈지아를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기억되며, 〈타인의 삶〉에서는 스탈린주의적 억압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의 분위기 속에서도 이상사회주의자의 모습이 긍정적으로 재현되고, 〈굿바이, 레닌!〉에서는 통일 이후 급속한 자본주의화가 몰고 온 인간성의 파괴와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붕괴가 반어와 멜랑콜리의 시선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영화들은 동독인들의 ‘유토피아가 닿아있던 나라’(헬가 쾨니히스도르프)와의 ‘기품 있는 이별’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ses the ways in which the East German society has been represented as ‘cultural memory’ in the post-unification German cinemas. The films that are analysed in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Sonnenallee〉(1999), 〈Good Bye, Lenin!〉(2003) and 〈The Lives of Others〉(2006). These three films show the prototypical aspects of the East German society, with excellent cinematic quality and high popularity. These films overturn the widely spread prejudices of the Western world about the East German society rather than recognizing them. 〈Sonnenallee〉 shows the unexpected similarity of values and lifestyle between the young people of the East and West. 〈The Lives of Others〉 alludes to the cherished ideals of socialism in the mind of East German intellectuals even under the rigorously controlled system and severe oppression. Lastly, 〈Good Bye, Lenin!〉 captures the destructive influence of the German reunification on a mediocre East German family, and it question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reunification from below. Furthermore, the three films have the common feature of not ‘demonizing’ the East Germ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nti-Communism’. For example, 〈Sonnenallee〉 depicts the East German society as a community of friendship and goodwill, although the virtue has faded away after the reunification. Hence the film evokes ‘ostalgie’, nostalgia for the East. 〈The Lives of Others〉 describes an idealistic socialist in a positive way even under the overwhelming atmosphere of criticism against the Stalinistic oppressive system. In 〈Good Bye, Lenin!〉, the destruction of humanity and socialistic utopia, a result from the rapid capitalization after the reunification, is portrayed from the perspective of irony and melancholy. In sum, these films can be characterized as ‘a dignified farewell’ to ‘the nation that has once stretched its hands to utopia’(Helga Königsdorf).

      • KCI등재

        Nomological Network를 통한 자기조절학습동기의 구인타당화

        김누리(Noo Ri Kim),김은영(Eun Young Kim),송인섭(In Sub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는 동기적 측면의 개인차를 이해하기 위해 동기의 인지론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 구인을 탐색하여 기대×가치이론으로부터 체계화한 자기효능감, 학업가치, 목표지향성의 3가지 차원을 구성요인으로 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 대한 내적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외적타당성 검증을 위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동기와 가정환경,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구조모형을 분석함으로써 nomological network를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자기조절학습동기 척도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비롯한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촉진시키는 학습동기의 특성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based on cognitive motiv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o understand individual variation of motivational aspects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was investigat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em. It included three dimensional constructs of self-efficacy, academic value and goal orientation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test of internal validity,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riterion validity for the test of external validity.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mong home environment, self-regulation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within nomological network for the valid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scale would measure student`s integrative learning motivation to improve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self-regulation learning.

      • Soziokulturelle Konflikte zwischen Ost- und Westdeutschen im vereinten Deutschland

        Kim Nury(김누리) 한국카프카학회 2005 카프카연구 Vol.12 No.1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5년이 지났지만 동서독 사람들의 머릿속 장벽은 여전히 건재하다. “분단은 장벽 시절보다 더 심각하다”(그라스), “독일인 다섯 명 중 하나는 장벽이 다시 세워지길 바란다.”(슈테른), “지금처럼 많은 동독인들이 자신을 패배자로 느낀 적은 없었다.”(슈피겔) 최근 몇 달간 독일에서 들려오는 풍문들은 사태가 날로 악화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왜 이런 지경이 되었을까. 동서독간의 경제적 격차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해소되고, 정치제도도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상황에서 동서독 사람들 간의 사회문화적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사실 사회문화적 갈등의 조짐은 통일 초기부터 상존하고 있었다. 동서독 사람들간에 이질감이 심화되고, 이미 역사에서 사라진 동독의 정체성이 부활하는가 하면, 오스탈지아라는 이름의 동독에 대한 향수병이 확산되어 왔던 것이다. 수많은 지표가 이를 증명한다. 그럼 성공적인 체제통합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머릿속 장벽이 높아만 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 여러 가지 가설들이 경쟁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형테제’, ‘전환테제’, ‘식민화테제’이다. 기형태제란 동독인들이 통일 이후 서독의 ‘민주제도’에 대해 보이는 불만과 적개심은 동독의 독재정권하에서 기형적으로 왜곡된 ‘권위주의적 성격’에 기인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 테제에 따르면 동독인들이 평동의 가치와 사회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습성화된 기형적 심리구조의 탓이다. 전환테제는 동서독인 간의 사회문화 갈등은 전환기에 겪게 되는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사회주의 체제가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갈등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전환테제는 전환기에 동독인들이 겪은 일상의 체험이 불만의 원인이라고 보는 체험가설과 서독이 주도한 체제전환 과정에서 동독인들이 느낀 박탈감과 열등감을 보상받으려는 심리가 동독인의 저항적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보는 보상가설로 나뉜다. 식민화테제는 독일통일의 본질을 서독에 의한 동독의 식민화로 보는 입장이다. 신탁청에 의한 인민소유 재산의 민영화과정에서 동독 소유재산의 95%가 서방 자본의 손에 넘어간 역사적 사실이 식민화테제의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경제적 식민화 이외에도 문화적, 사회적 식민화 현상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상 세 개의 테제는 통일 후 독일의 사회문화 갈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자주 동원되는 논리기제이다. 어떤 테제가 가장 유효한지는 현재로선 속단하기 어렵다. 보다 포괄적인 견지에서 세 테제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할 때 통일독일의 사회문화 갈등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명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이 세 테제가 특정한 정치 분파의 시각과 상응한다는 점이다. 기형태제는 보수주의자와 극우파들이, 전환테제는 자유주의자들이, 식민화테제는 좌파들이 즐겨 사용하는 논리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놓고 볼 때 통일독일 문화갈동의 원인을 단순히 권위주의 체제에서 기형화된 심리구조에서 찾는 기형태제나 통일과정에서 경험된 경제적 불평등에서 찾는 식민화 테제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1989년 동독혁명을 성공시킨 자들은 다름 아닌 ‘기형화되었다는’ 동독시민들 자신이었고, 현재 동독인들의 대다수가 개인적 경제상황에 만족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동서독 갈등은 통일독일의 미래를 독점할 뿐 아니라 동독인들의 과거까지도 멋대로 재단하는 서독인들의 오만과 독주에 맞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려고 애쓰는 동독인들의 ‘인정투쟁’ 과정에서 심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