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유지원(You, Jiwon),김혜정(Kim, Hyejeong),박성희(Park, Sung 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이러닝 수업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업정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수행되었다. 도구개발을 위하여 학업정서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성취정서질문지(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를 검토하고 이러닝 수업상황에 적합한 문항을 선별하여 번역하였으며, 이러닝환경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정서 측정문항을 추가하여 예비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문항을 선별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는 1차 연구와 1차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도구의 타당도를 다른 표본에서 재검증하는 2차 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대학생 992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3개의 표본으로 분리하여 1차와 2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3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6요인(즐거움, 자신감, 두려움, 화와 절망감, 지루함, 학습환경불안감)으로 이루어진 26문항이 선정되었다. 이어서 앞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34명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2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도구는 타당한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선정된 도구를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로 명명한 뒤, 2차 연구에서는 e-AES의 타당도를 재확인하고자 1차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00명의 이러닝 수강생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e-AES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emotions in academic settings; however, the role of emotions in e-learning has been hard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emotions scale which measured the students’ academic emotions during e-learning. For this study, the survey items relevant to e-learning were chosen from AEQ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nd then a few items newly constructed were added to the survey items. Students enrolled in two e-learning courses in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992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as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irstly,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wo groups to find the dimension of the construct of the scale and to test its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22-items were determined for the scale,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 and the six dimensions of e-learning academic emotions were included: enjoyment, confidence, anxiety, frustration, boredom, and learning environment anxiety. Secondly, to confirm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hird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at e-AES was reliable and valid.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국 사이버대학원 운영 사례분석과 시사점

        박성희(Park, Sung Hee),유지원(You, Ji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5

        최근 국내에서는 사이버대학에서의 사이버대학원 설립이 법적으로 허용되어 사이버대학원 설립이 확대될 전망이다. 고등교육의 기회확대와 평생교육의 실현을 담당한 사이버대학원이 국내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사이버대학원의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이버대학원 설립과 운영을 위하여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원을 선별하여 그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별로 설립배경 및 특징, 규모, 석사학위 교육과정 내용, 학사운영 방법, 수업모형 및 수업운영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이버대학원의 교과과정 편성, 운영과 평가방안, 교수ㆍ학습 모형 선정, 수업지원 인프라 구축 및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함으로써 국내 사이버대학원의 선진화 방향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ducation is increased, the need for online graduate schools in Korea is grow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ases of successful graduate online school in U. S. A and to draw implications which help establish and administer onlin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cas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Western Governors University, Penn State University World Campus, Boston University Online, Drexel University Online, and Temple University Online. This study examined each case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the school,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dministration, instructional model, instructional strategies, evaluation,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s results, suggestions in designing curriculum, operating strategies, evaluation strategies, instructional models, and implemen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성적증명서 개선을 위한 수요자 인식 조사 : 채용 상황을 중심으로

        정윤숙(Chung, Yoonsook),유지원(You, Ji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대학 성적증명서는 학생들의 최소 4년의 공식적인 교육성과 기록이자 채용과 진학에 활용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교과목명, 이수시간, 학점으로 요약된 현재 성적증명서는 오랜 기간 그 형식을 유지해왔다. 본 연구는 사회적 요구와 교육적 상황이 변화한 가운데, 성적증명서의 개선 필요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수요자라 할 수 있는 기업 및 기관이 채용 상황에서 대학 성적증명서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함으로써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16명의 기업 및 기관의 채용 경험이 있는 실무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채용시 대학의 성적증명서가 어떠한 비중으로 활용되는지 우선순위와 성적증명서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채용시 지원자의 인성과 태도 등을 파악하고 싶으나 성적증명서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다른 증빙자료에 비해 활용 우선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기존 성적증명서를 보완할 수 있는 확장된 성적증명서(extended transcript)로 역량기반성적표 사례를 제시하고, 확장된 성적증명서가 기존 성적증명서를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질문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원자의 구체적인 경험을 드러내고 수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확장된 성적증명서의 잠재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적증명서 확장 방향을 제시하였고, 대학에서 성적증명서 개선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University transcripts are an official record of a student s four year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re an important resource for recruitment and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current transcript, which summarizes the titles of the courses taken, the number of hours completed, and the grades, has maintained its form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raditional transcripts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transcripts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demands and educational purposes. The primary user group for university transcripts are thepersonnelof companies and institu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university transcripts in recruitment process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16 experts with experience in hiring at companies and institutions participated, and opinions on the priority of transcripts among documents used in the hiring process, perceptions of university transcripts,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ranscripts were collected. As a result, although employers were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applicant s characters and attitude in the hiring process, the university transcripts did not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on showing the applicant s character and attitude, so they showed a low preference towards it compared to other documents. Competency-based transcripts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of extended transcripts,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and discuss opinions on the possibility of extended transcripts. Study participants discussed the potential of extended transcripts in terms of showing the experiences of applicants and providing rich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extended transcript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of implementing the extended transcripts at univers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미래핵심역량, 행동조절능력,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

        강명희,박소영,김보경,유지원,김혜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국어성취도와 미래핵심역량 그리고 행동조절능력 간의 직·간접 관계를 분석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국어교육의 방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 중 미래핵심역량과 행동조절능력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국어 성취도는 2011년 6월에 실시된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국어성취도를 활용하였다. 경로분석으로 진행된 자료 분석결과 설정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에 포함된 모든 직·간접 경로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국어성취도에 직접 영향을 준 변인은 미래핵심역량의 인 지역량(β=.19)과 행동조절능력(β=.25)이었고, 인지(β=.27), 감성(β=.08), 사회역량(β=.04)은 행동조절능력을 매개로 국어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핵심역량은 국어성취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국어성취도와 미래핵심역량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과 관련된 교육활동을 어느 정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행동조절능력이 미래핵심역량과 국어성취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학습과정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어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수업 중 학생들의 행동조절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촉진전략을 고안하여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국어교육이 미래핵심역량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점검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re competencies(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proposed path model posits that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ompetencies influence the level of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hich in turn influenc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model was tested with 212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ath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goodness-of-model fit was evaluated as acceptable. Second, cognitive competencies,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ie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ird,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ompetencie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se indicat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may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learning process variables, such as behavioral regulation ability, were consid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Korea and provides guidance for the futu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