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6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among high, medium, and low achievers’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and learning style in an online gifted program. The sample included 7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completed 60 questions on their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and learning styl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as levels of students’ achievement increased,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as well;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existed on the levels of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among three levels of achievement and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learning style preference were found between competitive or cooperative learning style. To sum up, high achieving students’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strategy,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medium and low achieving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을 비 교하여 성취도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 한 학생은 2015년 3월~6월까지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788명이며, 이들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 은 동기(동기적 선호, 학습목표 지향성) 관련 20개 문항, 자기조절전략(인지조절 전략, 행동조 절 전략) 관련 27문항, 학습양식 관련 6문항, 학습자 배경변인 7문항으로 총 60개였으며, 설문 데이터는 SPSS 19.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의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적 선호 를 비교했을 때, 성취수준 상위, 중위, 하위집단 순서로 수학적, 과학적 내재적 동기가 높았다. 둘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인지조절 전략 하위 요인별 활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교화 전략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력 및 시간조절 전략에서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상위 집단의 정교화 전략, 노력 및 시간조절 활용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 양 식 선호의 차이, 즉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대한 집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았다.

      • KCI등재

        영재의 정의적 특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3~2017 「영재교육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유정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2

        This research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tudies regard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Of the total 515 papers in <The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24 publications abou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earch themes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were categorized by the 1)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2) Self-cognition, 3) Motivation, attitude, and belief, 4) Emotion, 5) Social ability. The overall research inclination shows that in 2012, a total of 48(20.9%) researches, in 2013, a total of 24(10.4%) researches were preceded which states that there were the most researches done in the years 2012~2013 (72 researches, 31.3%). From the five main themes, motivation, attitude, and belief were most actively researched and then the studies about emo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were followed by. The result of the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ccording to each period, in 2003, which was the first year of the plan, there seemed to be a great interest i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in the period of the second Master Plan, there was the most active research preceded; and in the period of the third Master Plan, there was a relatively steady interest seen, thus showing that there were consistent researches that were preceded for the much more developed understanding and effective education of the gifted. Based on the results, future study directions and idea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간 수행된 영재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영재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총 515편의 논문 중 영재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논문 124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5년간 수행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1) 성격 및 성향, 2) 자기인식, 3) 동기, 태도 및 신념, 4) 정서, 5) 사회성으로 유목화되었다. 전체적인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면, 2012년에 총 48건(20.9%)의 연구가, 2013년에 총 24건(10.4%)의 연구가 수행되어 15년 중 2012~2013년에 가장 많은 건수의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72건, 31.3%). 다섯 가지 대주제 중 동기, 태도 및 신념 관련 연구가 87건(37.8%)으로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고, 그 다음으로 정서(48건, 20.9%), 성격 및 성향(47건, 20.4%) 순이었다.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작된 첫해인 2003년에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이후 연구 건수가 감소하였고,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에 정의적 특성과 관련하여 가장 활발한 연구가, 그리고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에는 비교적 꾸준한 관심을 보여 영재에 대한 깊은 이해 및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요인 : 성별 및 학교급,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정,이현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4

        This study purpose was to explore whether career maturity an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lated factors were differentiated by giftedness, gender and secondary school level (research question 1).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lated factors on career maturity with a comparison o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The sample included 213 gifted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gifted education center and 243 regular stude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1,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achievement expectatio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spect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discussion and leisure (activity with parents),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activity with parents), career support of parents compared to regular students ; (2) Girls showed higher level only in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boys ; (3) middle school students more highly perceived the parents’ achievement expectation and control, respect for parents, activities with parents (discussion and leisure,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 (4) the career support of parent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and discussion and leisure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for parents to support their children’s career maturity of both gifted and regular students by increasing frequencies of various activities shared with their children such as discussion and leasure.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 , 성별,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 및 활동에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 변인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학, 과학 영재교육원에 재원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13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43명이 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먼저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성취기대, 존경 , 죄송함), 부모와의 활동(토론 · 문화, 생활 · 일상),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영재성 , 성별,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 분석, 상관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재와 일반학생의 집단 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 각 변인에 대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은 진로성숙, 성취기대(부모-자녀관계 ), 존경 (부모-자녀관계 ), 토론 · 문화(부모와의 활동), 생활 · 일상(부모와의 활동),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 각 변인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생활 · 일상 활동에서 부모와 더 빈번한 활동을 공유한다고 나타났으나, 그 외의 변인에서는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이 부모-자녀 관계 중 성취기대 , 통제 , 존경 변인을 더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와의 활동(토론 · 문화 및 생활 · 일상)에 있어서도 그 빈도가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넷째 ,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든 관련 변인을 투입했을 때 일반 및 영재학생 모두 부모의 진로지원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 부모와의 활동 중 토론 · 문화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및 영재학생에게 부모-자녀간의 토론과 문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이를 통한 진로교육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평가자 인식 연구

        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valuators’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Researchers interviewed 9 evalu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process for student selec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cyber education for 3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It took about 40 minutes to 1 hour 30 minutes for each interview. In total, four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y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ors perceived that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and checklist have low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each institution tends to evaluate students with their own evaluation methods;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 is the preferred method. Second, it is possible to use the results of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to verify objectivity of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and checklist, as well as to provide evaluators a material for in-depth interview. In spite of these advantage, when using the results of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for selection, there could be problematic issues, such as low reliability, low objectivity, or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cost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the needed policies and variables for applying the new selection method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선발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총 9명의 평가자가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인터뷰는 약 40분~1시간 30분간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인터뷰 내용은 전사 후 분석되었다. 평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관찰추천제와 관련하여 평가자들은 교사 추천서 및 체크리스트의 낮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지적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자체 내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층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등, 직접 학생을 관찰, 평가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선발 전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추천서 및 체크리스트를 보완하여 객관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면접 평가 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형 요소 중 일부로 평가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하였다. 반면 사이버교육의 신뢰성, 객관성, 형평성 문제와 사교육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한 선발 평가를 각 영재교육 기관에서 실행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요건 및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환경교육 정책 제안을 위한 교사들의 환경 인식 조사

        유정(Yu-Jeong Ch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전라북도 환경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교육연구회 소속 교사 4인과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청의 지원 정책에 관해 조사하였다. 결과 교사들은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심이 매우 높으며 환경교육을 위한 별도의 지도계획을 세우지 않고 교과 수업과 학교생활을 통해 통합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청의 환경교육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지원 방법으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교원 연수를 선호하였다. 결론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청에서 지원해야 하는 환경교육 정책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환경교육의 연수 내용, 방식, 장소,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일상적인 실천으로 이어지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책입안자의 관점이 아닌 실제 정책의 수행자인 교사의 요구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제는 이러한 제안이 정책적으로 실행되도록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in Jeollabuk-do.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with 4 teachers belonging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about environmental issues, overall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i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eachers are high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eachers used to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integrated with school life rather than establishing a separate guidance pla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uppor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nsufficient, and preferred methods of support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as a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support.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hat can be us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build an easily accessible platform. Second, training contents, methods, places, and opportun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leads to daily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needs of teachers, who are actually implementing policies,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cymakers. Now is the time to prepare for the next step to put the proposal into action as a policy.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In this study, we applied a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to actual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election model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 selection model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evaluation of the documents students submitted, the evaluation of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and actual studen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0 middle school 1st and 2nd 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Cyber Gifted Education Center in 2016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In addition, 25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about the selection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Interview subjects were selected evenly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each class, gender, and whether they were marginalized. As a result,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positively than the existing selection method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by teacher) in terms of understanding, fairness, substantiality and appropriate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irst round selection result (document evaluation) based o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nd the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the 1st semester performance (final round selection), and the 2nd semester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6 weeks' performance of the students were more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ents' 18 weeks’ performance. This result shows that the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was more appropriate as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모형을 실제 영재교육원에 적용하고 교육에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후 선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서류평가 결과, 교육 후 선발 결과와 실제 학생의 수행 결과 간 상관 분석 등을 통해 교육 후선발 제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S 사이버영재교육원 교육에 참여하여선발 과정을 거친 중학교 1~2학년 학생 총 6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25명의 학생들이본 프로그램의 선발 시스템 및 효과성에 관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각 학급에서의 학습 수행 성적과 성별, 사회통합대상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골고루 선정하였다. 학생들이인식하는 영재 선발 방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이해도, 공정성, 적절성, 만족도, 지속가능성, 신뢰성 측면에서 기존에 이루어지던 선발 방식(교사관찰추천제)에 비해 교육 후 선발 방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평가를 기반으로한 1차 선발 결과(서류평가)와 1학기 수행(최종선발), 2학기 수행 결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결과, 학생이 제출한 자기소개서나 교사 추천의견보다 학생의 6주 간 수행 결과에 의해 선발한결과가 학생의 이후 18주 교육 수행 결과와 더 큰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후 선발방식이 본 사이버영재교육원의 선발 방식으로서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요인 분석

        유정,박재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한 후, 이들 요인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F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산출된 요인 구조를 토대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EFA 결과,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이루는 요인으로 5개 요인(교수 전략, 평가 전략, 사전 지도, 학생 이해, 학습 발달)을 추출하였다. CFA 결과, 교수 전략과 학습 발달, 교수 전략과 학생 이해 사이에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추출된 요인 구조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은 과학 교사가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여 학습 발달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탐구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 교사가 효과적인 수업 전략과 적절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과학 탐구 수업을 가르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교사의 전문성 계발과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환경정의 관점에서의 초등 사회 교과서 분석

        유정 ( Yu Jeong Chae ),남상준 ( Sang Joon Na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환경정의 관점으로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환경교육의 변화를 살펴 본 후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Agyeman(2005)의 환경정의 유형과 ‘환경정의 17원칙’을 분석 준거로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gyeman의 환경정의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분배적 정의의 관점으로 분류되는 문장이 가장 많았다. 둘째, ‘환경정의 17원칙’으로분석한 결과, 제1항 ‘생태계 보전’의 관점으로 분류되는 문장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제17항 ‘환경친화적인 생활방식’에 해당되는 문장이 많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사회과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환경교육을 위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 안에서 일어나는 불평등한 환경적 편익과 부담에 관한 내용이 보강되어야 한다. 둘째, ‘환경정의 17원칙’으로 분석했을 때 다루어지지 않은 항목과 관련 있는 사회현상이 환경문제로서 나타나고 있다면, 이를 반영하여 환경정의 관점으로 다양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sugges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e examining the chan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For this, this study has analyz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by using ‘the aspects of Environmental Justice of Agyeman(2005),’ and ‘The 17 Principles of Environmental Justice’ as the criteria of analysis. First, as for the result of analyzing by aspects of environment justice of Agyeman, most sentences can be classified as the perspective of distributive justice in the textbooks. As for the analysis result by ‘The 17 principles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most proportion of sentences on the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textbooks is the Principle 1, ‘ecosystem preservation,’ and next came the Principle 17, ‘pro-environmental lifestyle.’ As for the analysis resul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which include unequ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benefits and bads between human and human, or human and society should be enhanced. Second, the social phenomenon related with ignored contents which analyzed by ‘The 17 principles of environmental justice’ is occurring as environmental problem, based on it, the opportunity to deal with th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should be offered.

      • KCI등재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요인 분석

        유정 ( Chae¸ Yoojeong ),박재용 ( Park¸ Jaey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한 후, 이들 요인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F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산출된 요인 구조를 토대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EFA 결과,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이루는 요인으로 5개 요인(교수 전략, 평가 전략, 사전 지도, 학생 이해, 학습 발달)을 추출하였다. CFA 결과, 교수 전략과 학습 발달, 교수 전략과 학생 이해 사이에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추출된 요인 구조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들은 과학 교사가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여 학습 발달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수업 전략과 적절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factors that compose the image of science teacher desi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quiry-based instruction and analyze the structural associations between them. Factors that compose the image of science teacher desi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quiry-based instruction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Based on the findings of EFA, the questionnaire has been further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or structu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image of science teacher desi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quiry-based instruction. As a result of EFA,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which compose the image of science teacher desi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quiry-based instruction: namely, teaching strategy, assessment strategy, prior guidance, understanding students, learning development. The CFA results showed a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strategy and learning development, teaching strategy and understanding studen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age of science teachers in inquiry-based instruction based on the extracted factor structure, students perceived that it is important for science teachers to run inquiry-based instruction by reflecting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Students also perceived importantly that science teachers run inquiry-based instruction us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proper evalu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