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건설동향브리핑 941호

        유위성,손태홍,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4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4 No.-

        글로벌 지표로 본 한국 인프라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 최근 3년간 정체, 인프라 경쟁력 강화 위한 투자 재원 확대 및 디지털 기술 보급화 필요 - 2023년 해외건설 수주 333억 달러, 전년 대비 8% 증가 - 2024년 세계 건설시장 14.6조 달러 전망, 해외건설 수주 상승세 유지할 듯 - 기업 평가 지표로서 거버넌스(G)의 중요성과 과제 - 건설업 직면한 문제 해결의 주요 열쇠, G 강화로 기업과 산업 지속가능성 높여야 -

      • 건설동향브리핑 841호

        유위성,최은정,김정주,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지난 2021년 12월, 기반시설 관리·감독기관의 관리계획이 수립되었지만, 노후 인프라에 대한 사용자의 안전성을 실질적으로 확보할 실행계획 수립 속도는 더딘 상황임. 기본법 및 하위법령이 시행된 이후 약 2년이 지났지만, 기반시설의 관리주체는 여전히 기존 사후 대응형 관리 수준이고, 현실성 있는 실행계획도 수립하지 못한 실정임. - 30년 이상 노후화된 중대형 인프라가 36%, 지하시설은 14.9%임. 노후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후 대응형 관리방식에 정체되어 있고,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저조함. 2021년 12월 정부 관계부처는 합동으로 기반시설관리 실행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신속한 추진을 준비하고 있지만(<표 1> 참조), 관리주체(지자체, 공공기관 등)는 재원 조달의 모호함과 성능개선 중심의 자산관리형 체계 구축에 미흡한 상황임. 정부의 기반시설관리 실행력 제고 과제와 추진 시기는 대부분 2022년에 집중되어 있지만, 성능개선 중심의 관리주체 역량과 실행계획에 대한 점검은 우선되어야 함. - 관리주체는 기존 유지관리체계의 확대로 성능개선과 선제 대응을 시도하고 있지만, 사용자인 국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관리주체의 역량 검증과 디지털 기술력 수준 진단이 필요함. - 여전히 시설물 점검 및 유지관리 중심으로 체계와 역량이 구축되어 선제적 노후 인프라의 성능개선과 지속가능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음.

      • 해외사업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 구축 방안

        유위성,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5 건설이슈포커스 Vol.2015 No.-

        ▶ 최근 해외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과거에 경험한 손실의 반복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조기경보 기능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 본고에서는 국내 건설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해외사업 잠재 리스크를 탐색하고 입체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 구축 방안을 제안함. ▶ Risk-EWS는 해외사업 리스크 지수(IPRI), 불안정 지수(UI), 민감도 지수(SI), 현황․경보․예측(2WF) 맵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함. ▶ Risk-EWS 적용에 의한 2015년 12월 전망을 살펴보면, 2015년에 준공이 예정된 사업들의 총 도급 규모를 감안할 때 리스크 지수(IPRI)와 불안정 지수(UI)는 당분간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외사업 잠재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는 산업 차원의 사전적 모니터링 기능과 기업의 경영 전략 및 정부의 금융 정책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맞춤형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모델(안) 제안

        유위성,성유경,이영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2 건설이슈포커스 Vol.2012 No.-

        ▶ 국내 건설업체들의 저가 수주 및 리스크 감수라는 기존 전략에서 벗어나 해외사업의 수익성 향상을 추구해야하는 시점이며, 이에 실질적인 운영이 가능한 리스크관리 모델의 구축이 강조됨. - 세계건설시장의 규모가 성장하면서 국내 건설업체들의 해외 진출 기회도 확대되었지만,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은 더욱 첨예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리스크관리 모델의 역량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 - 사업의 내ㆍ외적 특성을 반영하며, 사업의 전(全) 생애기간 동안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리스크관리 모델의 구축은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국내 건설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모델(안)을 제안함. - 해외 단순 도급 사업뿐 아니라 대규모 EPC사업을 대상으로 리스크관리 모델(안)의 운영절차와 핵심 프로세스, 그리고 리스크분류체계(안)를 제안하였음. - 정성적 평가에 따른 리스크 항목 관리 활동 우선순위 도출의 모호함, 사업 전체의 종합적 리스크 정량화의 미흡, 대응 전략 수행 후 리스크 변동량 추적의 어려움 등 기존의 국내외 리스크관리 모델의 한계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구축 방법론을 제안함. ▶ 본고에서 제안한 리스크관리 모델(안)은 해외사업에 대한 수주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수주 역량과 수익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 기업별 역량과 각기 다른 수행 사업의 발주요건 및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리스크 관리 모델(안)을 제안함으로써 해외 사업의 실질적인 리스크관리가 기대됨. - 제안된 리스크관리 모델(안)은 사업의 마스터 공정표(Master Schedule)와 연계하여 운영됨으로써 계획된 비용ㆍ일정 대비 리스크의 정량화가 가능함. - 해외사업 전(全) 생애주기 동안의 지속적인 리스크관리 모델의 운영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사업 전체의 종합적 리스크크기 산정과 그 변동량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여 대응 계획 수립과 결과에 대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음. ▶ 리스크관리의 실질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본고에서 제시한 모델(안)의 구축과 함께 조직과 전산시스템 등이 시스템화되어야 함. ㆍ리스크관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경영진의 의지뿐 아니라 훈련된 전문인력의 확보와 적합한 조직 구성이 필요함. ㆍ맞춤화된 모델의 실질적인 운영을 위해서 '조직+절차+프로그램(s/w)'의 연결성이 체계화되고 글로벌 수준까지 도달해야 함.

      • 건설동향브리핑 871호

        유위성,김성환,이지혜,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자는 매년 평균적으로 2만 5,000건 수준이고, 건축현장(주거 및 비주거 포함)은 토목, 플랜트 등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임. 건축현장 공사감리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실정임. - 공사감리 관련 제도 및 기준 적용이 실행되고 있지만, 건축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비건축현장보다 여전히 높아 안전사고 예방 등의 공사감리업무 성과는 정체되어 있고 개선을 위한 세부 적용 기준 보완이 강조되고 있음. 주거 및 비주거 건축물을 포함한 건축사업 시장 규모는 국내건설업의 약 72%이고, 재해율은 비건축 사업에 1.8배 수준으로 안전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공사감리체계 개선이 중요함. - 국내 건설산업의 내수시장에서 건축시장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여전히 높지만, 디지털 기술 도입에 의한 생산성 혁신과 아울러 안전성 향상 속도는 더딘 실정임. - 공사감리업무 수행의 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성과물이 건축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위한 제도적 방안 수립이 필요함. ● 디지털 기술 기반의 공사감리 경쟁력 강화, 제도적 보완 대책으로 성과 기대 건축현장 공사감리 대상 사업 중 민간사업 부문은 전체 규모의 약 96% 수준으로, 공사감리 업무의 효율화 및 체계 강화를 위한 제도적/기술적 보완이 건설업의 재해율 감소에 성과를 유도할 수 있음. - 2021년 건축 인허가 통계를 살펴보면, 민간 건축 시장에서 주거용은 35.5%, 비주거용은 64.5% 수준으로 대부분 건축현장의 공사감리는 「건축법」의 업무세부기준을 적용받음.

      • KCI등재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for Productivity Analysis of the Jointed Plane Concrete Pavement (JPCP)

        유위성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9 No.6

        In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concrete pavement productivity has been challenged with constructors and decision-makers; at present there are few methods available to accurately evaluate the factors impacting on it. Any inefficient method to analyze it leads to the excessive schedule, higher rehabilitation costs, shorter service life, and reduction of ride quality. To implement these negative outcomes, constructors or decision-makers need a systematic tool that can be used to categorize the factors related to construction productivity. This paper applies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for productivity analysis of the Jointed Plane Concrete Pavement (JPCP), identifies the significant factors, and provides a predictive model assisting in monitoring and managing the productivity of the JPCP construction process. The completed and progressive projects are employed to derive and assess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are analyzed to illustrate its capabilities.

      •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 사업 리스크관리 역량 현황 및 시사점

        유위성,김우영,이영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4 건설이슈포커스 Vol.2014 No.-

        ▶ 세계 건설시장의 성장과 함께 국내 건설기업들의 대규모 해외사업 수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하지만 2013년 해외건설에서 경험한 손실을 교훈으로 삼아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조기 경보(Early Warning) 기능이 가능한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 - 국내 건설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의 수준과 운영 범위는 다양하지만 글로벌 건설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와는 상당 부분 차이가 있음. - 본고에서는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체계의 글로벌 표준화를 재고찰하고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사함으로써 기업들의 현황 및 시사점을 제시함. 이는 향후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직/절차/시스템, 수주 단계, 수행 단계 영역에서 조사 및 분석하여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함. -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조직/절차/시스템은 실제 사업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수주단계의 리스크 식별 및 평가에 집중되어 평가 후 분석, 대응 후 평가 등 사후 관리를 위한 리스크 추적과 변화 관리를 위한 기능이 절실히 필요함. - 특히, 실무자의 경험적ㆍ주관적 정보에 의존하고 있어 정량적 리스크 평가가 어려움. 이는 최근 정량적 리스크 평가에 대한 발주 요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신속히 보완해야 할 기업들의 선결 과제임. ▶ 가격 경쟁과 함께 기술 경쟁이 가능한 수행 단계의 리스크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함. 수주 단계 중심의 리스크관리 체계로 손실의 최소화와 목표 수익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음. 수행 단계의 리스크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수주 단계와 통합하여 합리적 의사결정 및 경영 전략 수립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 글로벌 수준의 리스크관리 체계 구축과 함께 리스크관리에 대한 문화 확산이 시급함. 리스크관리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고, 기업 자체적인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수립이 필요함. 효율적인 리스크관리 체계 구축과 운영은 통합 프로젝트관리 체계와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켜 사업과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음. - 리스크관리의 문화 확산은 중ㆍ장기 계획과 함께 경영진과 실무진의 소통을 위한 환경 조성, 책임과 역할이 분리될 수 있는 사업 수행 환경 등이 중요함. 이러한 환경은 사업에 대한 리스크 정보의 신뢰도를 높여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리스크관리에 대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됨. 기술적(technical)이 아닌 관리적(managerial) 측면에서의 전문성이 현장의 실무 경험과 융합될 경우 사전 조기 경보 기능과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리스크관리 체계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음.

      • 해외 건설사업 리스크 관리 시스템 역량 향상 방안

        유위성,이복남,이영환,성유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 건설이슈포커스 Vol.2011 No.-

        ▶ 세계 금융위기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침체가 지속되고 있음. 반면, 해외시장은 빠른 변화와 성장이 기대되고 있어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수주 전략의 확대가 예상됨. - 2010년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700억 달러를 돌파하였지만, 이 중 80% 이상이 산업설비 부문의 실적이며, 또 전체 수주실적의 70% 이상이 일부 국가들(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음. - 세계 건설시장의 확대는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이나, 다른 한편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첨예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됨. - 이러한 환경에서 체계적인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의 확보는 사업에 대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관리의 효용성을 높여 기업 이윤의 극대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해외 건설사업은 다양하고 높은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일찍부터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활용이 요구되어 왔으며, 최근 국내 건설업계에서도 해외사업의 리스크 평가 모델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음. - 현재까지 개발된 리스크 평가 모델들은 주로 사업 초기의 수주 및 입찰 단계에 활용되고 있어, 향후 사업 전체에 걸친 리스크 관리 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함. - 기업들은 정성적인 리스크의 정량화 방법 개선, 리스크의 변화 추적과 관리, 리스크 평가 방법의 실무적 활용성 증대 등 자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 평가 모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해외 건설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리스크 평가 모델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리스크 평가 모델의 구축 방안을 제안함. - 개별사업 중심의 리스크 평가 체계를 기업 전사적 차원의 평가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 이로써 금융위기와 같은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사업 단계별 리스크 평가가 아닌 생애주기 전 단계에 걸쳐 적용이 가능한 일관성 있는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함. - 정성적 데이터의 정량화 프로세스는 리스크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산정된 대응전략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 과거의 저가 수주와 리스크 감수라는 전략에서 벗어나, 고도의 기술력과 관리능력을 요구하는 최근의 대형화․전문화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서는 사업 특성에 따라 유연한 맞춤형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의 신속한 구축이 필요한 시점임.

      • KCI등재

        Prediction Model of Final Project Cost using Multivariate Probabilistic Analysis (MPA) and Bayes’ Theorem

        유위성,Fabian C. Hadipron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8 No.5

        This paper introduces a tool for predicting potential cost overrun during project execution and for quantifying the uncertainty on the expected project cost, which is occasionally changed by the unknown effects resulted from projects complications and unforeseen environments.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useful in diagnosing cost performance as a project progresses and in monitoring the changes of the uncertainty as indicators for a warning signal. This model is intended for the use by project managers who forecast the change of the uncertainty and its magnitude. The paper presents a mathematical approach for modifying the costs of incomplete work packages and project cost, and quantifying reduced uncertainties at a consistent confidence level as actual cost information of an ongoing project is obtained. Furthermore, this approach addresses the effects of actual informed data of completed work packages on the re-estimates of incomplete work packages and describes the impacts on the variation of the uncertainty for the expected project cost incorporating Multivariate Probabilistic Analysis (MPA) and Bayes Theorem. For the illustration purpose, the introduced model has employed an example construction project. The results a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use of the model and illustrate its cap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