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널모형에 의한 북한이탈주민의 고용 결정요인

        유시은 ( Shi Eun Yu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소 2012 통일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 모형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패널 조사에 모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은 106명이며 고정효과모형과 확룔효과모형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인 요인은 성별, 연령, 당원 경험,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남한 언어이해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고용율이 증가하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남한 언어이해력이 증가할수록 고용이 증가하였다. 반면, 북한이탈주민이 고령화될수록, 남한 정규교육 경험을 할수록, 직업교육을 받을수록, 우울경향이 높을수록, 제3국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고용율이 감소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전략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factors predict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s a proxy for economic integration. Method. We conducted a panel survey with an initial sample size of 200 North Korean refugees who completed a government-sponsored training program in South Korea between October 1999 and March 2001, and repeated the survey measures with the same initial cohort in 2004 and 2007, for a sample size of 106 subjects who completed all three survey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os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ex, age, experience in the communist party, acquisition of certificate, experience of unemployment,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language. The employment rate of North Korean male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females.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employment were higher age, experience of regular South Korean education, experience of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the trauma of defection. Conclusion. Given the panel of da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multiple programmatic avenues that can be taken in the post-migration context in order to facilitate the economic integration of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의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남한 입국 3년 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유시은 ( Shi Eun Yu ),오경자 ( Kyung Ja Oh ),정안숙 ( An Suk Jeong ),전우택 ( Woo Taek Jeon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소 2012 통일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변화하는 북한이 탈주민의 의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2007년에 입국하여 남한 생활이 3년 된 북한이탈주민 1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의식 변화의 본질은 4개의 구성요소와 13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4개의 구성요소는 ``자신에 대한 의식 변화``, ``북한에 대한 의식 변화``, ``남한에 대한 의식 변화``, ``종교에 대한 의식 변화``로 이루어져 있다. ``자신에 대한 의식 변화``의 하위 구성요소는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인식함``, ``권위에 대한 의식 변화``, ``삶에 대한 성찰``, ``자기 개발에 대한 의욕과 불안``이다. ``북한에 대한 의식 변화``의 하위 구성요소는 ``북한 사회를 비교 관점에서 바라봄``, ``북한 사람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변화``, "``북한``이라는 고국에 대한 슬픔 감정", ``북한을 싫어하면서도 대표하고 있다는 이중감정``이다. ``남한에 대한 의식 변화``의 하위 구성요소는 ``이타적인 남한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 ``내가 가장 낮은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이 주는 자부심``, ``차별과 무관심에 의한 좌절``이다. ``종교에 대한 의식 변화``의 하위 구성요소는 ``종교를 받아들이기 어려움``, ``종교에 몰입`` 이다. 이상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적응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hifts in attitudes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lived in South Korea for three yea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examined attitude changes among 15 North Korean refugees who migrated to South Korea in 2007. Qualitative analysis resulted in four categories and 13 concepts; the four categories were attitude changes toward the self, toward North Korea, toward South Korea, and toward religion. Attitude changes toward the self involved the concepts of self-esteem, authority, self-reflection, and self-development. Attitude changes toward North Korea were related to the comparative perspective, Nor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sad sentiments about their homeland, and complex feelings about fleeing and representation. Attitude changes toward South Korea were related to altruism, the social ladder, and frustration. Attitude changes toward religion involved the concepts of resistance and acceptance.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을 적용한 소통세대 디자인 탐색 연구 : 북한 소학교 국어 1학년 교수내용을 중심으로

        유시은(Shi-eun Yu)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4 미래사회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남북 사회 통합에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교육 국어교과 교류를 위한 “공유공간”의 준비 및 운영역량의 디자인으로서, 미래 통일학 세대의 소통스킬을 질적으로강화하는 것이다. 공유공간은 글로벌 규모의 OECD 2030 “공유공간” 개념을 한반도 지역의남북간 실정에 적합하게 원리 적용하였다. 또한, 그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통조력 도구를 디자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성 원리와 OECD 2030을 기반으로 한공유공간에 대한 적합성 모델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소통스킬의 상태 변화과정을 순서도로 제시하였다. 셋째, 소통조력 도구로서 “발달-사회제도적 필터” 및 16개 변인으로 구성된 “OECD 2030-사회제도적 필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소학교 1학년 국어과목에개발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일학 소통세대를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남북 간 교육 통합뿐만 아니라 남한 내 다문화 및 세대간소통스킬을 제고하는 관점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지향에 적합한 소통스킬을갖춘 통일 인재 육성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 to qualitatively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future gen?eration of the study Unification as a prepar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shared space” for exchange in public education language courses. This is a priority need for future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The shared space is an application of the OECD 2030 “shared space” concept on a global level by adapting its principles to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 also designed communication facilitation tools that can be used in the sp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ce principle and the con?formity model for shared space based on OECD 2030 were expressed in formulas. Second, a flow chart is presented of the state change process of communication skills. Third, a “development-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designed as a tool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the “OECD 2030-social and institutional filter” was created, comprising 16 variables.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two filters to the first grade Korean subject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 is present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communicable genera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hift perspectives not only on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ns, but also on enhancing multicultural an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outh, and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unified human resources with globally-oriented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내 비자 방문 북한 여성들의 경제활동 경험과 의식 변화

        김윤영 ( Yun Young Kim ),유시은 ( Shi Eun Yu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방문 비자를 받은 북한 여성들의 경제활동 경험과 이로 인한 의식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조중 접경지역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북한 여성 6명과 이들을 지원하는 전문활동가 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북한 여성들은 주로 보모, 간병, 청소, 식당일 등을 하고 있었으며 임금의 대부분은 북으로 송금하고 있었다. 그들은 중국내 경제활동 경험을 통해 상품광고 등의 정보의 중요성, 노동의 가치와 고용, 임금협상, 수평적 사회관계속에서의 신용과 계약 등을 인식하였다. 또한 그들은 중국내 경제활동 경험을 통해 개인의 인식뿐만 아니라 북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기술 습득과 네트워크 활용 등으로 개인 역량 강화, 여권 신장에 대한 인식, 한국 사회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다. 북한 사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중국의 경제생활로 인한 상품 및 전략을 북한에 적용함으로써 장마당이 변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산업이 발생하는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국에서의 북한 주민들에 대한 경제활동 경험의 의의와 남북 및 재외 한인 공동체의 협력 의의, 남북한 주민 통합을 위한 조선족 역할 등에 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examines what North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China learn from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how these activities bring the changes dimensionally in person and Nor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interviews of six North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and five social activists in China and analyzed their narratives. According to results, they immigrated into China for making the money with visitor’s visa. Most of them made the money in China working as baby sitter, caregiver, cleaner, restraunt employee and so on and sent some part of wages back to their families living in North Korea. Through these experiences on market economic system in China, they understood the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is very useful and significant to get a job. Also they realized newly the value of labor and employment and the significance of trust and credit in order to make cooperative relationship. These experiences of market economy brought several changes in person and in their home country, North Korea. Personally, these activities caused them to strengthen their capacities through they acquired professional skills and learned the way in which they build social relationship and networks in their field. Their perception on women’s right and South Korea was also changed newly. Their experiences changed their country, North Korea as well. Their knowledge acquired from the activities of market economy was applied to black market in North Korea. New products and service industry began to emerge recently in black market at North Korea by them. Ultimately, this paper shed light on how the market economic experiences of North Korean migrant workers in China can bring the building of the way to reduce cultur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중국내 북한이탈여성 자녀의 사회심리적인 특성과 영향요인에 따른 지원방안

        김인숙 ( In Sook Kim ),유시은 ( Shi Eun Yu ) 평화문제연구소 2014 統一問題硏究 Vol.26 No.2

        This research considered psychosocial characters and its effect factors of children who were delivered by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China and found supports.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which was developed by John Hopki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to understand the region of other cultures. Through the interview with 32 free-list respondents and 25 key-informants, the research drew conclusion about the psychosocial characters and its effect factors of children who were delivered by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China and gave suggestions how to support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sychosocial characters of children, who were delivered by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China, were depression due to the breakup of a family, bad study habits, lack of concentration, sadness, a sense of alienation, antisocial behavior, and delinquency. The effect factors of psychosocial characters were shown as absence of parents, difficulties of school life and studying, interpersonal problem, and financial issue. In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psychosocial problem of children who were delivered by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China, the research proposed parental education, family-society-school integrated education, psychosocial adaptation support education, school life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내 북한이탈여성 자녀들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타문화 지역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된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의 민족지적 방법이다. 프리 리스트(free-listing)대상자 32명과 주요 정보제공자(key informant) 25명의 면담을 통하여 중국내 북한이탈여성들이 낳은 자녀들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영향요인에 따른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내 북한이탈여성 자녀들의 사회심리적인 특성은 부모의 부재, 학교생활 및 학업 어려움, 대인관계 문제,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내 북한이탈여성 자녀들의 사회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교육, 통합교육, 사회심리적 적응 교육, 학교생활 및 경제적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주민의 종교생활에 대한 7년 종단연구

        전우택 ( Woo Tack Jeon ),유시은 ( Shi Eun Yu ),엄진섭 ( Jin Sup Eom ) 북한연구학회 2009 北韓硏究學會報 Vol.13 No.1

        본 연구는 2000년에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주민 106명을 대상으로 2001년, 2004년, 2007년, 총 3회에 걸쳐 조사한 그들의 종교 생활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연구 결과, 북한이주민 중 종교를 가진 사람들의 대부분은 기독교를 자신들의 종교로 가지고 있었으며, 2000년 입국 당시보다 2001년, 2004년에는 기독교 신자가 다소 증가하다가 2007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교 생활을 유지 이유는 2004년에는 `마음의 안정을 얻기 위해서`와 `도덕적 삶을 사는데 도움이 돼서`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7년에는 `마음의 안정을 얻기 위해서`와 `믿음을 얻기 위해서`가 많아졌다. 종교 생활을 하다가 중단하는 이유는 2004년에 비해 2007년에는 `직장생활이 바빠서`가 크게 증가하였다. 북한이주민의 인구학적 특징에 의한 종교생활의 변화를 살펴보면, 성별과 연령, 북한 학력에 따른 종교 생활 차이는 없었다. 한편, 당원이 아닐수록, 무직일 경우, 남한 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종교생활을 유지하는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남한 내 종교 기관들이 북한이주민들을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언을 제시 하였다. Objectives: North Korean defectors` level of understanding of South Korean society and their satisfaction to their life in South Korea symbolize their adaptation to new society. The current report is an analysis of three serial panel studies of 200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in 2000. Methods: From February 2009 to March 2009, 121 defectors were interviewed face-to-fa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well maintained and their understanding of South Korean culture and language increased. However, their attitudes toward fellow North Korean defectors had worsene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government support for medical care was very low.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in North Korea, Communist Party membership, completion of military service, and current employment statu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Conclus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creating North Korean defector selfhelp groups, strengthening the medical support system, developing programs tailored to those with different backgrounds,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as well as increasing South Koreans` awareness of North Koreans through campaign will be necessary for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김인숙 ( In Sook Kim ),유시은 ( Shi Eun Yu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및 관련 교육지원 단체의 협조를 받아 휴학, 제적 및 자퇴 등 학업중단의 경험이 있거나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의 위험요인은 학업 관련 요인과 건강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은 사회심리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인 학업 관련 요인은 전공 정보부족, 기초 학력 부족, 남북한 교육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은 신분노출에 대한 불안과 염려, 열등감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으로 인한 위축감, 미래에 대한 불안감, 우울감과 무력감, 음주문제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으로 나타난 사회심리 관련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유능감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중단을 예방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탈북대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은 물론이고 남한 사회문화에 대한 적응유연성 향상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academic withdrawal and find its support strategies. With the help of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adolescents and related groups of education support, 15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taking a break from school, being expelled and dropped out of school, and is considering about withdrawing, were selected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risk factor of academic withdrawal was defined as academic-related and health-related factor, and the protective factor as social psychological-related factor. Lack of information of the major and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different education cultur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shown as academic-related factors. Anxiety and concern of social identification expose, feeling of shrinkage due to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negative self-recognition, future anxiety, depression and feeling of helplessness, and drinking problem were shown as health-related factors.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were shown as social psychological-related facto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suggested a support strategy for the academic withdrawal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the prevention of academic withdrawal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 strategy for a better adjustment to the social culture of South Korea.

      • KCI등재

        장기 정착 새터민의 빈곤특성 연구

        김연희(Kim Yeun-Hee),조영아(Cho Young-A),유시은(Yu Shi-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1

        본 연구는 장기정착 새터민의 빈곤 문제를 남한빈곤층과 비교를 통하여 빈곤의 규모, 심도, 기여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제3차 새터민 추격조사 자료와 한국사회복지패널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새터민의 가구소득은 남한주민의 약 70% 정도로 낮았으나, 빈곤선 200%이상 가구 비율은 남한가구 비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반적인 경제수준의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빈곤선 100%미만은 남한주민의 2배, 절대빈곤선 50%미만 가구의 비율은 남한 비교층의 8배 에 달하고 있다. 새터민의 정착기간이 길어지면서 빈곤을 탈출하는 새터민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가 하면 절대빈곤선 이하에 있는 새터민 빈곤층의 빈곤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터민의 빈곤결정요인은 연령, 취업가구원수, 건강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새터민 정착지원정책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poverty among North Korean settlers in Korea in terms of its magnitude, the severity, and its determinants by comparing it with the South Korean poor.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were the second Korean Social Welfare panel data for the South Koreans and the third longitudinal study on North Korean settlers in the South. The average household income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reached about 70% of the South Korean counterparts. The percentage of the North Korean households that earn 200% of the poverty line was about the same as the South Koreans, which indicate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status of the long-term settlers in the South. However, the North Korean settlers below 100% of the poverty line were twice as much, and those under 50% of the poverty line were 8times more than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Despite the improved economic status of the long-term North Korean settlers in the South, those who still live below the poverty line tend to remain in poverty, which is chronic and severe. The determinants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poverty were identified as 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 employment, alcohol problem and health satisfaction level.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 KCI등재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건강증진생활 연구

        이주현(Ju Hyun Lee),김민지(Min Ji Kim),박현춘(Hyunchun Park),유시은(Shi-Eun Yu),노진원(Jin-Won Noh)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같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성인에 비해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에서 제외된 설문지 65부를 제외한 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자아, 학교 자아, 스트레스가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자아존중감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앞으로 남한사회의 일원이 될 북한이탈청소년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사회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지원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round the psychosocial aspects such as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e purpose is mentally still less of a mature compared to adults, adolescents need greater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North Korean Youth 150 people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85 par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ed from the additional 65 .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life was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general self, school self,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ocial psychology factors such as stress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is addresse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causal relationship, and promote health of adolescents shows wonderful self-esteem. It suggests that the necessary establishment. This effort is called for to reliably establish the North Korean youth to be part of a future South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