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시민행동 압력이 공무원의 부정적 행태에 미치는 영향: 직무태만, 체념적 침묵,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유란희,유은지,송현진 한국인사행정학회 202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1 No.3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직무 외 행동을 강요하는 조직시민행동 압력이 구성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공공조직은 ‘평생직장’이라는 인식이 무색할 만큼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불합리한 공직문화에 대하여 조직침묵이나 태만 등 부정적 반응행동도 증가하고 있다. 공직사회에서도 이러한 우려와 비판에 따라 일하는 방식과 공직문화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반응행동을 수동적・능동적 차원과 건설적・파괴적 차원에 따라 구분함으로써, 태만과 침묵, 이직 등 부정적인 행동에 주목하였다. 연세대학교 SSK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제공한 ‘2021 초변화 사회의 공무원 인식조사’ 1-2차 설문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부정적인 반응행동을 감소시킨 반면, 조직시민행동 압력은 반대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리더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측면을 확인함과 동시에 조직적 차원에서 조직분위기와 문화 전반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또한 필요함을 밝혔다.

      • 다차원의 협력적 모니터링과 보육서비스 성과 연구: 모니터링을 통한 대리인(Agent)에서 청지기(Steward)로

        유란희 한국정책학회 2020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본 논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력적 모니터링이 관리적 차원에서 보육서비스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육서비스의 성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영향 요인을 구조적 · 과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서비스 공급에서 행위자 간 관계를 설명하는 행정개혁의 패러다임과 청지기 이론(steward theory)에 근거한 모니터링이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육서비스의 물리적 · 상호작용 · 결과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육서비스의 재정적 · 인적 · 조직적 측면과 모니터 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영향력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이용자, 관료 1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단일의 통제적 모니터링은 일부 서비스 품질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자가 참여하여 공급자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협력적 모니터링이 이루어질수록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보육서비스의 이해관계자들은 정부 중심의 모니터링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정부 모니터링에 이용자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공급자 통제와 정부 모니터링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공급자와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수록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며 정부 모니터링의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는 모니터링 개념의 외연을 이론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기존의 통제 중심 모니터링 제도의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하는 협력적 차원의 제도가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완화 효과성 분석: 대안별 빈곤완화 효과 및 소요재원 규모 비교 연구

        유란희,김성훈,유지연 한국정책학회 2012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4

        본 연구는 노인빈곤완화를 목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기초노령연금 제도의 도입 효과성을 분석하는 한편, 정치권에서 논의되는 개정안 및 연구자의 개정안의 빈곤완화 효과 분석 및 재정추계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대안별로 적용범위 및 급여액의 수준을 달리 설정하였으며, 국민노후보 장패널에서 도출한 대안별 수급자와 수급액을 바탕으로 빈곤율과 소요재원 규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급여액이 너무 낮아 효과성이 없다는 일각의 주장과 달리 기초노령연금은 금융위기로 악화된 빈곤을 일부 완화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반면, 3개 대안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에는 소요재원의 경우 가장 낮았으나, 빈곤완화 효과는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대안 중가장 효과성이 높은 것은 적용범위를 좁히고 급여액을 높인 네 번째 대안으로, 가장 높은 빈곤완화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재정적인 면에서도 현재 시행안과 유사한 규모의 재원을 지출하는바 정책합리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었다.

      • KCI등재

        복지정책 성과지표의 결과지향성: 사회부처 관리과제를 중심으로

        유란희,유은지 한국공공관리학회 202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6 No.1

        This article aims to concerns the ‘performance paradox’ in the management task of the Ministry of Social Affairs. Since the <Framework Act on Public Service Evaluation> was established in 2006, social service programs of the central government have been forced to get evaluation with result-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has practical difficulties in application, because the performance of social service programs cannot be measured by the quantitative index. On this subjec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ex, this article analyzes the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index in management tasks of three ministries of social affairs from 2008 to 2017, and the concrete example of errors of ‘woman employment policy’. The finding shows 60~80% management tasks were measured to quantitative and result index regardless of the nature of programs. Also, the result reveals there are result-oriented management in the wrong way, for example, ministries with exploit indifferent index to the performance or they utilize inexact method. This tendenc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paradox’, hinder the effect of programs, in result-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본 논문은 우리나라 중앙정부 사회부처의 성과지표를 바탕으로, 성과관리제도에 따라 복지정책에 결과중심 성과관리가 이루어지는지와 그 한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2006년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정 이후, 우리나라는 결과중심 성과관리체계가 도입되었으며, 복지정책 또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결과지표로 성과를 측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복지정책은 성과의 측정 자체가 모호하다는 점에서 결과지향적 성과관리 적용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무조정실에서 제시한 성과지표의 평가방식과 성격유형을 바탕으로,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 및 여성가족부의 2008~2017년 관리과제를 대상으로 성과지표의 측정 방법의 오류를 확인하는 한편, 여성고용 지원 정책을 대표적인 관리과제 사례로 선정하여 오류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사회부처는 60~80% 비중으로 관리과제의 성과를 측정 가능한 정량지표와 결과지표로 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인 사례에서는 관련 없는 지표를 성과로 활용하였으며, 부정확한 측정산식을 산입하는 등 성과지표의 설계와 측정의 오류를 바탕으로 하는 성과관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경향성은 복지정책에의 결과중심 성과관리의 단편적인 적용이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를 저해하는 성과의 역설이나 성과관리의 왜곡 현상 발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플랫폼 정부의 유형과 발전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 간 정책확산을 중심으로

        유란희,이경은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플랫폼을 유형화하고, 정책확산 이론을 기반으로 지방정부 수준에서의 플랫폼 활성화 정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플랫폼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경영학과 공학 등 일부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으며, 행정학 분야에서는 일부 연구에서만 시도가 이루어지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의 주요한 두 가지 기능(외부 정보 공개, 참여와 협력 촉진)과 정부와 시민 간 서비스 방향성을 기준으로 플랫폼을 정보제공형, 정책제안형, 민간역량중개형 플랫폼으로 유형화한 후, 다양한 유형의 플랫폼 도입 수준에 수직적・수평적 확산요인과 내부역량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2022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서 수행한 “지방자치단체의 플랫폼 정부 활용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직적 강압기제, 수평적 학습과 경쟁・모방기제, 내부의 정책・조직・인력・재정・정치적 역량 등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한 지방정부의 사례를 참고하고 전문가 자문을 활용하는 지방자치단체일수록 다양한 유형의 플랫폼을 도입하였으며, 중장기적 정책 전략을 지닌 지방자치단체가 다양한 플랫폼을 설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방정부가 지역과 정책 목적에 맞는 다양한 플랫폼을 설계하여 도입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단순히 제도적으로 압력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자체적인 정책역량을 키우는 한편 우수한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공유의 장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n theoretical aspec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at the regional level, an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factors to accept a variety of digital platform in local governments. Previ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utilize the concept of platform in business or engineering fields, however, it is limited discussed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us,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tform government, varies types of public platform by using two main functions of platform(sharing vast data and promoting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private actors and citizens) and service dire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Based on the “Survey of the Digital Platforms by Local Governments” conducted by KRILA in 2022, this study anlayzes the influence of vertical coercive mechanisms, horizontal learning/competitive/mimetic mechanisms, and internal capacity on the typology of platform government at local level.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ly, local governmnets have an effort to design and operate various digital platform when they focus on expert’s advice and other government’s remarkable cases of digital platform; secondly, local governments with mid-to or long-term policy strategies consider to design a variety of platform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re is another explanatory mechanism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at local level, while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e coercive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for policy diffusion in Korea. To be specific, it needs to support to strengthen policy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and attempts to create the area for local governments to benchmark other cases of digital innovation in order to meets various needs in local society and to design developed platform at local level.

      • KCI우수등재

        국가와 지역공동체 의식은 사회적 포용성을 확대시키는가?: 정부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란희,이태형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2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concerns the effect of national identity and local community cohesion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the disabled, the foreign, broken familie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Using pooled data sets for 2016–2018 from the “Social Integration Survey,”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national ident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but a negative impact on social inclusion for the other groups; (2) local community has both-side effects on social inclusion; and (3) government trust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but for the other groups, only local government trust engenders a positive attitude in the members of society. This evidence shows that in order to enhance social inclusion for various groups in a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ultidimensional sense of identity or community cohesion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as a coordinator. 본 논문은 공동체 의식이 정부 신뢰수준에 따라 사회적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정체성 이론은 개인의 집단 동일시가 내집단편향을 일으켜 외집단에 배타적 태도를 보이게 한다고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18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서열로짓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공동체 의식은 빈곤계층의 포용성에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의 지역사회 거주기간은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에의 적극적 참여는 양(+)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장애인・결손가정・외국인・탈북자의 이질적 집단에는 국가공동체 의식은 음(-)의 영향을, 지역공동체 소속감은 양(+)의 영향을 끼쳤다. 정부 신뢰수준은 공동체 의식과 결합하여 빈곤계층의 포용성에는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나, 이질적 집단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의 신뢰수준만이 지역사회 거주기간과 결합해 양(+)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배제집단에 대한 사회적 포용성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집단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유란희(Ran Hee Yoo),김선희(Sun Hee Kim)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 regulation of preschool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 to 5 year 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N = 241)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α,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program and Amos 23.0 program.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affective parenting,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emotion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correlated positive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was mediated by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 regul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 KCI등재

        NEO 아동용 성격검사를 이용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특성 비교

        유란희(Yu, Ranhee),전경남(Jeon, Kyungna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학생과 일반초등학생의 성격특성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재학생들의 성격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시 2개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수학영재학생 92명과 서울시 K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 초등학생 96명이었으며, 연구대상학생의 성격특성 측정에는 NEO 아동성격검사를 사용하였다. 영재교육대상자 여부와 학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5요인 성격 특성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신경증과 친화성 요인을 제외한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요인에서 초등수학영재학생이 일반초등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 요인의 하위 점수에 대한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향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지배성에서, 개방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창의성과 사려성에서, 그리고 성실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유능감과 동조성에서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이 일반 초등학생에 비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학생의 성격특성이 영재학생의 선발 및 교육에 갖는 함의, 그리고 영재를 대상으로 한 성격특성연구에 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better understandings of Korean gifted students' personality traits through a comparison of personality trait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average pe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2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96 average elementary students. NEO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ersonality trait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After a MANOVA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two groups of the gifted and avera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among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Subsequent, additional MANOVAs were conducted on the each groups of the sub-factor scores of the above three personality traits. The results from a series of MANOVAs indicated that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statically different in the measure of dominance subfactor for extraversion; creativity and consideration sub-factors for openness to experience; competence and conformity sub-factors for conscientiousness. Based up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were provided, especially for the identification of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students,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gifted and avera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