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 권한 확대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ho),유나리(Yoo, Nari) 인천연구원 2020 도시연구 Vol.- No.18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분권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권한 확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지방정부의 역량과 신뢰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방정부의 역량을 윤리 및 행정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역량이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의 ‘2020년 초변화사회의 신뢰받는 미래정부 통계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이 지방정부의 윤리역량과 행정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이러한 신뢰는 다시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유능하고 공정한 정부는 주인인 국민이 대리인인 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 필수요건이지만, 이러한 역량들을 통하여 국민과 정부 사이 신뢰가 구축될 때 비로소 국민은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지지를 보낼 것이다. While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itizens’ perception on the relations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authorit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s and divides th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 into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This study establishes a mediating effect model in which these capacities affect the expansion of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rust in local government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conduct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itizens’ trust in local governments increases as their perception of the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impact on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s’ authority. A competent and fair government is a prerequisite for the people as the principals to delegate more powers to the governments as agents. However, the people will only support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when these capacities build public trust.

      • KCI등재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창출: 생애주기별 접근을 중심으로

        유두호 ( Yoo Doo Ho ),엄영호 ( Eom Young 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조직의 성과 창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외부지원과 지역 중심 제도적 환경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며,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해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외부지원 활성화는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를 낮춘다는 점에서 사회적 경제 조직 지원 제도의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직장이 활성화될수록 경제적 성과는 높아지므로 단단한 재정 기반을 위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과 조직 간 상호작용 및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애주기별 분석에서는 성장 및 성숙단계의 사회적 경제 조직에서 외부지원이 오히려 경제적 성과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정부 지원 위주의 사회적 경제 육성 정책이 조직의 자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조직장의 활성화는 성숙, 위기단계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제적 성과와 성장단계 사회적 경제 조직의 사회적 성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실질적인 자립과 성장을 위해 제도적 환경을 고려한 정책 설계와 생애주기별 정책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creat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external support for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regional-oriented institutional environment, we tried to differentiate it from existing studies through a life cycle appro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support system is necessary in that the activation of external support lowers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re active organization field, the higher the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interaction and networking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economy ecosystem for a solid financial foundation was confirmed. Analysis by life cycle showed that external support actually lowered economic performance i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rowth and maturation stages, suggesting that government support oriented social economy fostering polic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elf-reliance. The activation of the organization field enhanc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maturity and crisis stages and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rowth stag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olicy design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differentiation of policies for each life cycle is necessary for the actual independence and growth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 KCI등재

        준거집단 압력과 제도 생태계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황정윤(Joungyoon Hwang),장용석(Yong Suk Jang)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인 지역사회 재투자의 영향 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이후 사회적 기업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관련 실증연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나,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지역사회 재투자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했다. 자원기반관점과 제도주의 조직론에 기반하여 2017년 한국사회적기업흥원에서 운영하는 자율경영공시제도에 참여한 242개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재투자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수익이 높아질수록 지역사회 재투자 가능성 또한 높아지지만, 그 효과는 영업활동을 통해 충분한 이익을 얻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 인증연도가 같은 사회적 기업이 지역사회 재 투자를 많이 할수록 해당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해당 지역의 사회적 경제 조직장의 활성화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 규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라는 의사결정이 조직 내부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차원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임을 시사한다. 그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가치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선순환과 더불어 생태계 차원의 제도적 영향력을 함께 고려하여 유인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factor sof community reinvest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means of realizing soci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ocial enterprises since 2007, relevant empirical studies have also been on the rise,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interest in community reinvestment to realize social objectives. Based on the resource based view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242 social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the voluntary management disclosure system operated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Institute in 2017 we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conomic return of a social enterprise, the higher the likeligood of community reinvestment, but the effect is noticeable in social enterprises that are earning sufficient profits through their business activities. Second, the more social enterprises with the same certification year invest in the community,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invest in the community. Third, the activation of the local social economic organiz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cale of community reinvestment by social enterpri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ision of social enterprises to reinvest in the community was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long with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design a manned structure by considering the virtuous circle of economic and social value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ecological level in order to expand the social value creation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 영향요인 분석 : 조직 내부요인과 지방정부 역량을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 Ho),엄영호(Eom, Young Ho)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0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조직 내부요인과 지방정부 역량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가치를 정량화된 지표로 살펴보기 위해 취약계층 고용 인원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의 풍부한 여유자원과 활발한 네트워크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높이나, 지방정부의 역량은 사회적 가치 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정부 역량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지원에 있어 다양성보다는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고민이 보다 요구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조직 본연의 노력과 동시에 사회적 협동조합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적합한 정책수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cooperatives according to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local government capacity. Employment in the vulnerable class was used to look at social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rganizations that have abundant resources and active networks increase the social value of social cooperatives. Howeve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a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value cre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to support social cooperatives should support change more effectively.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cooperatives requires appropriate local government policy that can substantially support social cooperatives simultaneously to an organization"s own efforts.

      • KCI등재

        지방의료원 정책의 정치적 동학 :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 Ho),이정욱(Lee, Jung Wook)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2

        최근 지방정부 차원의 감염병 대응 및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지방의료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의료원 설립은 수익성과 공공성 간의 충돌 가능성, 지방의료원의 필요성을 둘러싼 이념적 대립 등 정치적 복잡성으로 인해 그 추진이 결코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로 적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의료원 신설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 설립 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동학을 파악하고, 지방의료원 설립의 성공요인을 발견 하기 위해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Kingdon(1995)의 다중흐름 모형과 Moore(1995)의 정치적 관리(political management)를 결합한 이론적 분석틀을 활용 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발의를 통해 정책문제로 등장한 성남시의료원 설립 정책은 수익성과 공공성의 대립과 같은 정치의 흐름, 다양한 조례를 통한 정책대안의 흐름이 존재하였다. 이후, 정책기업가의 등장으로 정책의 창이 열리고 정책기업가이자 공공관리자는 SNS 활용을 통한 기업 가적 옹호 전략, 효과적인 정책개발관리, 공개 토론회를 통한 협상과 공적 숙의의 장 마련 등 다양한 정치적 관리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지방의료원 설립을 실현하였다. 성남시의료원 설립 정책의 성공적 추진 사례를 분석한 본 연구는 정치적 갈등이 첨예한 정책의 성공을 위해 상황에 맞는 다양한 정치적 관리 전략의 활용이 요구된다는 실천적・관리적 함의를 제공한다. Recently, the necessity of regional public hospital policy has been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sion of public medical servi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However, despite this necessity,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public hospital is a difficult policy to realize due to the complex political environment, such as the value conflict between profitability and publicity, and ideological conflic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establishment of Seongnam Citizens Medical Center in order to grasp the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policy of regional public hospital and discover the success factors of the policy. This study also utilized integrated approach that composed of the multiple stream framework of Kingdon(1995) and the political management perspective of Moore(199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stablishment of Seongnam Citizens Medical Center had a flow of politics such as a conflict between profitability and publicity, and a flow of policy alternatives through various ordinances. After that, the emergence of policy entrepreneurs opens the window of policy, and he used various political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entrepreneurial advocacy strategies through the use of SNS, effective policy development management, negotiations through public debates, and public deliberation.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hat the use of various political management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s required for the success of policy with political conflicts.

      • KCI등재

        정부의 공정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정부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Ho),엄영호(Eom, YoungHo),윤선일(Yun, Sunil)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구분하여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더불어 정부혁신에 대한 인식이 정부의 공정성과 개인의 행복 간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공정성, 정부혁신에 대한 인식은 개인의 행복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혁신에대한 인식의 조절효과에서는 중앙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행복 간 관계에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지방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행복 간 관계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부는 투명한 정책 집행 공유와 같은 노력으로 실질적으로 공정성을 높여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중앙정부는 공정성 제고 자체에 대한 노력에 집중하고, 지방정부는 공정성 제고와 더불어 정책적 혁신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러한 노력들이 개인의 행복과 연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perception of fairness on individual happines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we looked at the perception of fairness divided in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identifying how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has a regul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fairness and individual happines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airnes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ir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increase individual happin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s perception of fairness and happiness, an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perception of fairness and happines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overnments should substantially increase fairness with efforts such as transparent policy enforcement sharing. In addition, the central government focuses on efforts to enhance fairness itself, and local governments suggest that these efforts should ultimately be linked to individual happiness through policy innovation along with enhancing fairness.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조직 역할 확대 : 역능적 행위자성과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유승주(Seungju Yo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를 추동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늘어가는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의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들에게 요구하는 책임과 역랑 또한 크게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역할 확대에 주목하여, 기업의 내적·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도주의 조직론(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 개념을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여,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 변화의 흐름에 조응하는 조직의 행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증가된 자발적 행위자성은 기업의 역할을 확대 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 추구라는 제도적 논리의 변화에 조응하는 기업일수록 역할 확대를 시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추가적으로 영세한 조직이 많은 사회적 기업의 생태계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규모에 따른 분석을 시도한 결과, 조직규모가 10인 미만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여타 사회적 기업을 통해 발현되는 상대적 행위자성이 높을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상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을 추구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행위자성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의 비대칭적인 상황 속에서 사회적 기업이 무리한 목표설정 보다는 기업 내부의 역량과 여건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실무적 함의와 함께 행위자성을 끌어올려 스스로의 역할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 설계와 상대적 행위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지위 확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driving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wicked problem,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s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they dema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panding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whileattempting to captur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particular, it applies the concept of empowered actorhood,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institutional institutionalism, to Korean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explai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the flow of changes in institutional logi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actors became a leading factor in expanding the roles of fir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pursu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are trying to expand their roles. This study can sugges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newly defining the concept of actors for application to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set goals that conform to internal capabilities and conditions rather than excessive targets set in the context of asymmetric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need to design policies that enable enterprises to expand their roles and establish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시설물 개방의 영향요인 - 제도주의 조직론을 중심으로 -

        유승주 ( Seung Ju Yoo ),유두호 ( Dooho Yoo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본 연구는 학교 조직의 변화된 역할 중 하나인 학교 개방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 당연하게 여겨지던 학교 개방이 이제는 당연한 것이 아닌 변화된 학교의 역할로 주목받고 있으며, 학교를 둘러싼 외부 환경적 요인과 다양한 제도적 논리에 의해 학교 개방의 정도는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개방과 관련한 실증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주의 조직론에 기반하여 전국 5,844개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개방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의 영향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접한 학교 조직이 개방할수록 해당 학교의 개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제적 논리, 사회 공헌 논리에 조응할수록 학교 개방의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조직의 개방이라는 의사결정이 조직 내부적 요인과 함께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제도적 논리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 시설물 개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환경을 고려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학교 개방 지원정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school opening, which is one of the changes in school organization. School opening, which was once taken for granted, is now attracting attention as a changing role for schools. In addition, the degree of school opening has changed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school and various institutional logics. However, empirical research on school opening remains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We searched for the influential factors of school opening in 5,844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and empirically analyzed their influ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adjacent school organization opens, the more the school opens. Next, the possibility of openness increases when the school organization conforms to economic and social contribution logic. These results mean that the decision to open the school organization was a combination of internal factors, various institutional logics surrounding the organiz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ctivate the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ake a school opening support polic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 KCI등재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 분석 : 공공봉사동기와 조직 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윤선일(Yun, Sunil),유두호(Yoo, Doo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중앙 및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가 가진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은 이타성이라는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 진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면민하게 살펴보고 둘 간의 관계 속에서 조직 내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 주목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봉사동기와 조직 내 의사소통은 조직시민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조직 내 의사소 통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무원 조직에서 조직 내 의 사소통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는 제도 마련과 공봉사동기가 자연스럽게 조직 구성원들에게 부여될 수 있도록 개인의 가치를 조직의 가치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centr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was that it looked closely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it pursued the value of altruism.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how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establish a system to enh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ensuring horizontal communic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and to apply individual values ​​to organizational values ​​so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can be naturally given to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지방정부와 정책 확산: 다문화가족 정책을 중심으로

        정다정 ( Da Jeong Jeong ),유두호 ( Doo Ho Yo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4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다문화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포용과 통합의 가치를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지역 내에 공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방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 확산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제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 확산 이론, 제도주의 조직론, 그리고 합리적 선택이론의 논의를 다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확산요인, 세계화 요인, 정책 수요 요인, 조직역량이 지방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우리나라 지방정부는 상위 광역자치단체와 이웃한 다른 자치단체가 조례를 제정할수록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향적 세계화에 적극적인 지방정부일수록, 지역의 정책 수요를 고려하여 다문화가족 수가 많을수록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지방정부가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것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내린 결정이며, 충분한 조직역량을 갖고 있지 않음에도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다른 지방정부를 준거집단으로 삼을 수 있으며, 외향적 세계화로 다른 해외 지방정부와 교류하는 지방정부일수록 다문화가족 정책에 적극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are facing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globaliz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licy diffusion factors of local government and analyzes it based on the enact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licy diffusion theory,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rational choice theor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diffusion factors, globalization factors, policy demand factors, and organizational capacity on the diffusion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 enacte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 the mor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ther local governments enacted ordinan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active local governments in outward globalization, the greater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sideration of local policy needs, the mor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 was ena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enact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 by the local government is a decision mad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group to obtain legitimacy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sufficient organizational capacity. This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s that interact with other overseas local governments through outward globalization can be more active in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