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정부 권한 확대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ho),유나리(Yoo, Nari) 인천연구원 2020 도시연구 Vol.- No.18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분권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권한 확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지방정부의 역량과 신뢰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방정부의 역량을 윤리 및 행정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역량이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의 ‘2020년 초변화사회의 신뢰받는 미래정부 통계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이 지방정부의 윤리역량과 행정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이러한 신뢰는 다시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유능하고 공정한 정부는 주인인 국민이 대리인인 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 필수요건이지만, 이러한 역량들을 통하여 국민과 정부 사이 신뢰가 구축될 때 비로소 국민은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지지를 보낼 것이다. While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itizens’ perception on the relations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authorit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s and divides th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 into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This study establishes a mediating effect model in which these capacities affect the expansion of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rust in local government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conduct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itizens’ trust in local governments increases as their perception of the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impact on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s’ authority. A competent and fair government is a prerequisite for the people as the principals to delegate more powers to the governments as agents. However, the people will only support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when these capacities build public trust.

      • 측두골 CT에서 환자 머리둘레별 최적의 검사 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유나리(Na Ri Ryu),유흥준(Heung Joon Yoo),이기백(Ki Baek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2

        목적 고정된 조건으로 촬영하고 있는 측두골(temporal bone)CT 검사 시 환자의 머리둘레 별 화질 차이에 따라 선량차등을 적용하여 환자의 피폭경감과 함께 효율적인 검사 조건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사용한 장비는 64채널의 Light Speed VCT(GE Healthcare, waukesha, USA)이며, 2011년 9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본원에서 temporal bone CT를 시행한 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환자의 머리 둘레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나누어 노이즈를 측정한 후 Rando phantom(Model ART-200-5, Fluke Biomedical)을 이용해 mA를 10 mA 간격으로 110~280 mA까지 변동하여 temporal bone 영상을 획득하여 선량 변화에 따른 노이즈를 측정한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머리둘레와는 상관없이 남녀 간의 화질차이 또한 비교해보았다. 결과 환자의 머리둘레 1군(52~54cm)의 노이즈는 83.26으로 팬텀에 250mA(CTDIvol: 57.14mGy), 2군(55~57 cm) 89.94로 220mA(CTDIvol: 50.29mGy), 3군(58~60 cm) 92.48로 200 mA(CTDIvol: 45.71 mGy), 4군(61~63 cm) 100.46로 180 mA(CTDIvol: 41.14mGy), 5군(64~66 cm) 115.01로 130mA(CTDIvol: 29.71 mGy)의 조건을 적용한 노이즈정도와 같았다. 각 둘레 군 별로 평균 30mA(CTDIvol: 6.85 mGy), 최소와 최대 머리둘레 비교 시 120 mA(CTDIvol: 27.49 mGy) 차이가 났다. 머리둘레와는 상관없이 남성과 여성을 비교한 결과 남성 97.26로 190mA(CTDIvol: 43.43mGy), 여성 87.79로 230mA(CTDIvol: 52.57mGy)으로 나타나 남녀 간의 40mA(CTDIvol: 9.14mGy) 정도의 선량이 여성 군에 노출되었다. 결론 머리둘레 별로 명확한 영상의 질 차이가 있으며 둘레측정에 대한 번거로움으로 인한 한계점이 있지만, 각 둘레 군 별로 평균 30mA의 차이를 보여 머리 둘레 차이에 따라 선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I. Purpose Examined as a fixed mA in temporal bone CT by the head circumference to assess the difference of image quality, while maintaining image quality is to set an efficient scan parameter conditions. II. Meterial and Methods 64 Light Speed VCT(GE Healthcare, waukesha, USA)and Rando phantom(Model ART-200-5, Fluke Biomedical) was used, studies included 90 subject patients. temporal bone image were obtained by variation the dose from 110 to 280 mA, using a phantom and then noise value were measured. also 90 noise value according to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dditionally, regardless of circumference, we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on image quality. III. Result Average noise value of 1group with circumference(52~54 cm) was 83.26 it’s same as if the dose of 250 mA(CTDIvol: 57.14 mGy) apply to a phantom, 2group(55~57 cm) 89.94, 220mA(CTDIvol: 50.29mGy), 3group(58~60 cm) 92.48, 200mA(CTDIvol: 45.71mGy), 4group(61~63cm) 100.46, 180mA(CTDIvol: 41.14mGy), 5group(64~66 cm) 115.01, 130mA(CTDIvol: 29.71mGy).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ive groups on average 30mA(CTDIvol: 6.85 mGy), and difference between 1group and 5group was 120mA.(CTDIvol: 27.49mGy). regardless of circumference for male and female compared male with 97.26, 190mA(CTDIvol: 43.43mGy), female with 87.79, 230 mA(CTDIvol: 52.57mGy) so, it appear a difference about 40mA(CTDIvol: 9.14mGy). IV. Conclusions Although Temporal bone CT have limitations for measurement of head circumference it need to control radiation dose according to head circumference because there were differences of quality(average 30 mA) according to head circumference.

      • KCI등재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유나리,김승완,Yoo, Nari,Kim, Soung-Wa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하여 구축되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교하게 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화 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자본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화 역량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은 사회적 자본을 통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정보화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추진 시, 특히 온라인 사회참여와 교류 활성화 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influences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a mediator, social capital built up through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 conducts mediation analysis, comprised of three sets of regression by using the data of the "2018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information competency, the greater the social capital. In addition, social capital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mpetency and life satisfaction.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s to improve information competency of thos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facilitates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 KCI등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과 정부신뢰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전자정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슬기 ( Lee Seulgi ),이혁규 ( Lee Hyuckgyu ),유나리 ( Yoo Nari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4

        지난 메르스 사태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감염병의 확산과 같은 위험 상황에서 정부의 투명한 정보공개는 정부대응의 효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험 상황에서 정부와 국민 간 이루어지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가 전자정부 역량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가 실시한 ‘2020년 초변화사회의 신뢰받는 미래정부 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관련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 전달의 신속성으로 구성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관계는 정보와 시스템, 서비스 역량으로 구성된 전자정부의 역량에 의해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과 정부신뢰의 논의에서 통로로서의 전자정부의 역할을 재확인하였으며, 코로나19라는 실제 재난 상황에서 수집한 국민의 인식을 기초로 실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e risk situation such as epidemic outbreak, COVID-19, the transparent information openness of governments is essential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response in light of past Korean government’s MERS experience. The authors examined th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on trust in governments in COVID-19 pandemic, also investigated how this relationship can be changed by e-government capacity. A survey data collected by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of Yonsei University was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s the authors predicted, the reliability, accuracy, and quickness the components of risk communication in COVID-19 pandemic have positive impacts on trust in governments, this relationship is enhanced by e-government capacity. This study reconfirms the role of e-government as a medium and has a importance to prove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in actual risk situation based on survey data of people’s perception.

      • KCI등재

        기후 변화 위험 인식은 실제 대응 행동으로 이어지는가?: 정책 지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이레 ( Ie Rei Park ),( Chengyu Song ),유나리 ( Nari Yoo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1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이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응하려는 국가적 차원의 대응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고, 개인의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인식도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개인적 차원의 대응 태도와 실천은 이러한 경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대응 행동 간 관계, 그리고 이 관계를 매개하는 정책 지식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 ‘2020 글로벌 시대의 환경 및 기후 변화 대응 인식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위험은 대응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책 지식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정책 지식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지각된 위험과 대응 행동 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지식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였다는 데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actions, and als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olicy knowledge. As the risks from climate change increases, nation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more active around the world, and individuals’ awareness of climate change risks has reached a high level. Yet the individuals’ attitude and actions response in climate change are still needed to be enhanced. Based on this reality,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Based on this,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well help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dividuals’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conduct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evel of individual knowledge of policies increases as their perception of the risk increases,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the individuals’ response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corresponding behavior through the mediator of policy knowledge and re-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licy knowledge to maximize policy effectiveness.

      • KCI등재

        정부 혁신의 방향과 범위 분석

        정솔 ( Sol Jeong ),주혜린 ( Hyelin Joo ),유승주 ( Seungju Yoo ),손선화 ( Sun Hwa Son ),엄영호 ( Young Ho Eom ),유나리 ( Nari Yo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0 국가정책연구 Vol.34 No.4

        정부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직의 관리 과정과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서 혁신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 혁신이 어떤 방향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미래 정부가 추구하는 상(像)으로 지능적, 민첩한, 글로벌 대응 정부의 세 가지 혁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UN의 정부기능분류를 활용하여 혁신의 기능적 범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1번가에 제시된 중앙 및 지방정부, 공사·공단 등 246개 기관의 514개 우수혁신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 방향은 민첩한 정부와 관련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기능은 일반 공공행정 및 사회 보호 분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향후 혁신 정책의 방향과 기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혁신의 내용이 정부의 조직과정 및 공공서비스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vernment seeks innovation in both the product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organization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merging social problem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scope of innovation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rough analyzing the innovation cases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is article uses "the image of the future government," which is developed by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to analyze where government innovation orient to,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COFOG) for categorizing the functional scope of the cases. The former index consists of intelligent government, agile government, and globally-minded government. The data are 514 best innovation practices in 246 government agencie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presented on Government Innovation 1st Avenue. The research found that most governmental organizations become agile government, and the innovations mostly occur in the field of general public service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can help public managers to design the innovation in public policies, specifically regarding their directions and functional area. However, this analysis leaves questions about the actual effect of these innovations on the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