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에 관한 제언

        유가영(Yoo Gayoung) 경기연구원 2007 경기논단 Vol.9 No.4

        Vulnerability assessment is the basis for setting up sound climate change policies. It should focus on a balance between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p-down approach is based on biophysical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scientific background, whereas bottom up approach is based on socio-economic asp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vulnerability indicators. In this paper, by reviewing basic concepts of climate change impact,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gether with case studie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national adaptation policy framework, I suggested some points when establishing Korean adaptation policy framework.. In Europe such as Finland, France, and U.K.,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have already been set up and started to prepare the upcoming risks of climate change by minimizing negative impacts and exploiting potential opportunities. Through implementing three stages of national countermeasures for climate change convention, Korea has greatly augmented the awareness level of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However, Korea is still in the initial stage in terms of climate change science and policies. With these backgrounds, here are several suggestions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First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 & D) in developing methods on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Secondly, based on the improved adaptive capacity through R & D, setting up the governmental framework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es is needed. It includes listing of adaptation measures in many sectors (adaptation inventory) and the principles of prioritizing them. The two strategies in setting up adaptation polices are suggested which are efficiency and integrity. For efficiency, I suggest the adoption of the process of mainstreaming which is defined as “bring adjustments in ecological, social or economic systems into the common current of thought in society in response to expected climate impacts”. For integrity, the policies which aim at mitigation and adaptation at the same time should be implemented with high priority. Lastly,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negotiation on adaptation was considered. The harmony between top-own and bottomup approach as well a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ll lead our country to set up a balanced adaptation policies through which climate change could turn out be a new opportunity in future sustainable development.

      • 토양 탄소 저장 증진 솔루션: 토양 미생물과 탄소 분획

        유가영(Gayoung Yoo),박예림(Ye Lim Park),현준기(Junge Hyu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기후변화 완화 전략 중 하나로 토양 탄소 저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 탄소 저장은 단위면적 당 저장된 총 탄소량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토양 탄소가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 물리화학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갖다는 사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토양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으로 분리하여 토양 내에서 기능적 의의를 갖는 fraction으로 나누는 토양 분획은 토양 내 탄소가 저장되는 과정의 이해를 돕고 생태계 맞춤형 탄소 저장 증진 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지, 농경지 및 도시 토양에서 총 탄소 및 분획별 탄소량을 정량하고 미생물 효소 활성도 차이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탄소 저장이 현저히 저하된 도시 토양에서 탄소 저장을 증진시키는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년 이상 유지된 초지, 농경지와 도시공원 및 가로수이다. 각 대상지에서 0-15cm 깊이의 코어 샘플을 채취하여 밀도와 크기에 기반한 토양 분획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fraction은 Light fraction(LF), occlu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POM), 그리고 mineral-associated organic matter(MAOM)이다. 또한, 총 및 분획별 탄소량과 세포외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효소는 hydrolase인 β-glucosidase, β-cellobiosidase, β-xylosidase와 phenol oxidase이다. 그 결과 총 토양 탄소 저장량은 초지>농경지>도시공원>가로수 순이었으며, 안정한 형태로 저장된 탄소인 MAOM의 비율은 초지=농경지>도시공원>가로수 순이었다. 토양의 hydrolase activity는 토양 탄소 저장량이 클수록 높았으며, oxidase activity는 오히려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도시 토양의 높은 oxidase activity는 높은 pH 및 자연생태계와는 다른 탄소의 질과 관련이 높았다. 도시토양의 C/H 비는 초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데, 이는 도시 토양에 포함된 여러 유기 오염물질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탄소저장량이 가장 낮았던 가로수 토양의 탄소 저장증진을 위해 띠녹지 조성이라는 관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로수만 있는 토양에 비해 띠녹지 조성을 통한 다층식재가 총 탄소 저장량을 198% 증가시켰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토양 분획을 살펴본 결과, 증가의 원인은 거의 LF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띠녹지 조성에 의해 증가된 토양 탄소 저장은 쉽게 분해되는 형태에 국한되어 있으며 안정한 형태의 탄소 저장으로 전환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가로수 토양에 저장된 탄소가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LF 비율에 비해 POM이나 MAOM의 비율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추가적인 관리로는 압밀완화 등의 토양 구조개선, 가로수 식재 시 마사토 투입과 함께 점토질을 함유한 토양 개량제 추가, 바이오차 투입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토양탄소 저장증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총 탄소의 변화 모니터링만으로는 부족하며 토양 미생물 분석과 분획을 통해 저장된 탄소의 질과 안정한 형태의 탄소저장이 증진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의 환경관리 연구현황: 토양 및 생태계 영향평가 중심으로

        김유진 ( You Jin Kim ),유가영 ( Gayoung Yoo ) 한국공업화학회 2018 공업화학전망 Vol.21 No.4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은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이를 수송 후 지중 또는 해양의 적절한 지층에 저장하는 기술이며 확실한 기후변화 완화기술이다. 이 기술의 안정화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저장소 또는 수송 파이프라인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누출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 및 생태계 영향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CCS 기술에 대한 환경관리를 위해서 국내에서 수행된 누출 영향평가에 따르면 토양 내 이산화탄소가 20% 농도를 초과할 경우 식물의 발아 및 생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고농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식물의 반응은 뿌리 기능의 저하에서 비롯된 엽록소 함량 감소 및 나아가 바이오매스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뿌리의 수분흡수 능력 저하 및 엽록소 함량 감소는 향후 CCS에 따른 잠재적 이산화탄소 누출에 의한 광범위 지역 환경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김치원료로서 연근과 더덕의 절임특성 연구

        조정은(Jungeun Cho),유가영(Gayoung Yoo),이미애(Mi-Ai Lee),정영배(Young-Bae Chung),양지희(Ji-Hee Yang),한응수(Eung Soo Han),서혜영(Hye-Young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8

        The study of quality and salting characteristics of root vegetables other than Chinese cabbage was done to develop different kinds of Kimchi. The root vegetables lotus (Nelumbo nucifera) and lance Asia bell (Codonopsis lanceolata) were evaluated as main ingredients for Kimchi by measuring their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Salinity, pH, titratable acidity, reducing sugar, firmness, color change, moisture content, total viable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adaptability for Kimchi. The initial pH of lotus and lance Asia bell showed 5.7 to 6.3 during the salting period, and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salting periods. The reducing sugar contents of lance Asia bell showed 34.1 to 35.6 mg/g,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lotus 3.2 to 3.4 mg/g. Titratable acidity also showed higher in salted lance Asia bell at 0.36 to 0.4%, while lotus showed 0.17 to 0.27%.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increased in lance Asia bell during salting periods and reached 2.1×104 CFU/g after 48 hr of salting. However, no lactic acid bacteria were detected in lotus. As a result of this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analysis, lance Asia bell was more suitable as an ingredient of Kimchi than lotus.

      • 학문단위별 우수학생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연구 I: K대학교 이공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유가영 ( Yoo Gayoung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6 No.-

        본 연구는 학문단위별로 우수학생을 추천 받고 그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에 대한 재조명을 하고자 했다. 추천 받은 우수학생을 모집시기, 전형 유형, 추천 사유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년도 입시에서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비율을 고려하였을 때, 추천받은 우수학생들 중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추천사유로는 학업성적 우수, 적극성, 성실성, 수업참여도, 리더십 등의 순이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 행사 및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하였고, 이들 중 절반 정도는 학급 임원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학업에 있어서는 국어, 영어, 수학보다는 과학을 잘한 학생들이 많았으며, 스스로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인성 및 발전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학업역량 및 전공적합성에 대해서는 조금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들 가운데 학생부종합전형(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의 입학지원 서류를 비교과영역, 교과영역, 평가요소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이 우수하고 수학과 과학 교과를 잘하며 우수한 인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학문단위별로 좀 더 의미 있는 활동 영역을 파악하고, 학생 선발을 위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평가요소별 비중 설정의 토대가 될 것이며, 대학이 원하는 인재와 학과가 원하는 인재를 조화롭게 선발할 수 있는 전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reconsider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by surveying and analyzing excellent students by academic un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cellent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the time of the recruitment, the type of selection, and the reason for the recommenda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was high. The reasons for recommendation were academic excellence, active personality, sincerity, class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orked hard at school events and club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and about half of them had classroom executive careers. In the study,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were good at science rather tha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self-evaluation, they highly evaluated good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and evaluated their academic ability and major competence a little low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documents of the students who passed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group and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cellent. They were good at mathematics and science and had good and excellent personality. This analysis will identify more meaningful areas of activity for each academic unit, and will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selection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tudents and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It can be, also, used as a basic data for a design of the General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 KCI등재
      • 바이오차 투입에 따른 토양 입단 형성과정의 미생물 매개 변화

        김유진(You Jin Kim),현준기(Junge Hyun),유가영(Gayoung Yo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 입단 형성은 토양 구조적 안정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토양 생지화학적 과정에 깊이 관여한다. 토양 개량 효과에 대해 널리 알려진 바이오차는 물리화학적 흡착 및 토양 미생물 매개 작용을 통해 토양 구조적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이오차의 투입에 따른 토양 입단 형성과정의 개선효과에 있어서 토양 미생물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온실규모의 실험을 왕겨 바이오차와 밭토양과 논토양에서 각각 수집한 두 가지 다른 토양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처리구로는 바이오차 첨가 토양(BC), 멸균 토양(ClO2), 바이오차 첨가와 멸균 둘 다 진행한 토양(BC+ClO2)를 준비하였으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토양을 대조구(CON)로 준비하였다. 바이오차의 토양 투입은 무게 기준 2.5%로 수행하였으며, 토양 멸균은 고온고압처리와 이산화염소(ClO₂) 용액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실험 기간 전반에 걸쳐 WFPS(water-filled pore space) 50%로 조정 및 유지하였다. 배양 20일 및 35일 후, 토양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2주간 풍건한 후에 wet-sieving method를 통하여 크기에 따라 입단을 분리하였다. 배양 35일 후, 토양 A의 mega/macro-aggregates (>1 mm, 0.25-1 mm) 분포가 CON 보다 BC에서 28%, BC+ClO2에서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차 투입에 따라 큰 크기의 입단들이 증가한 것은 미생물 매개과정으로는 18%, 물리화학적 흡착으로는 10% 정도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바이오차가 토양 B의 입단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micro-aggregates (0.053-0.25 mm)는 멸균 토양(ClO2, BC+ClO2)에서 CON 및 BC보다 더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토양 B는 토양 A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토양 B는 바이오차 보다 기존의 토양 유기물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입단 변화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바이오차-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이 토양 구조 변화를 야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영향은 토양 유기물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교통량과 대기질이 도시 공원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주선영(Sunyoung Joo),이현진(Hyunjin Lee),전주희(Juhui Jeon),서인혜(Inhye Seo),유가영(Gayoung Yoo) 응용생태공학회 2022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세 지점에서 이동 및 고정오염원이 대기질과 도시 공원 토양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지로는 도시에서 질소 침적의 주요 발생원인 이동 및 고정오염원의 여부에 따라 서울시 마포구의 하늘공원 (Site_M), 서울시 강남구의 일원에코파크 (Site_G), 서울시 서초구의 양재시민의 숲 (Site_Y)을 선정하였고, 각 사이트별 교통량과 대기질 농도, 토양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통량은 Site_G와 Y에 이어 Site_M에서 가장 많았다; Site_M과 G는 Site_Y보다 자원회수시설과 더 가까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과 NO₂ 농도가 Site_Y, G에서보다 Site_M에서 많을 것이며, 사이트마다 다른 대기 침적량에 의해 토양 질소 함량도 다를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과 동일하게 PM2.5와 NO₂ 농도는 Site_M과 G에서 높았지만 PM10 농도는 Site_Y에서 약간 높았다. 식물이 주로 흡수하는 무기질소의 형태인 NO₃-의 함량은 세 사이트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NH4<SUP>+</SUP>의 함량은 Site_Y에서 다른 두 지역에 비해 더 높았는데, 이는 대기 침적에 의한 결과라기 보다는 공원 관리 차원에서의 질소 비료 투입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Site_Y에서 다른 사이트보다 낮은 pH를 보인 것 또한 과다한 비료 시용으로 인해 산성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토양 내 NH4<SUP>+</SUP>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Site_M과 G를 포함한 모든 조사 대상지에서 식생이 건강하게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공원 관리에 있어서 과도한 비료 투입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비록 이동 및 고정오염원으로 인해 대기의 PM, NO₂ 등의 농도가 달랐지만 그 영향이 토양의 질소 영양 상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obile and stationary air pollution sources affect the air quality and soil properties in urban parks. We selected three sites of urban parks in Seoul as follows: Ha-neul Park in Mapo-gu (Site_M), Ill-won Eco-Park in Gangnam-gu (Site_G), and Yangjae Citizen"s Forest in Seocho-gu (Site_Y), and compared the results of each site’s traffic volume, air quality concentration, and soil analysis. Traffic volume was high in Site_M, followed by Site_G and Y; Site_M and G were closer to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than Site_Y. Hence, we hypothesized that PM and NO₂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were higher in Site_M than Site_G and Y, causing different soil nitrogen content among sites due to different atmospheric deposition.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he concentrations of PM2.5 and NO₂ were higher in Site_M and G than Site_Y, while Site_Y had higher PM10 than other sites. The soil NO₃ -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sites, whereas the soil NH4<SUP>+</SUP> content was extremely high in Site_Y. This high content of soil NH4 <SUP>+</SUP> is thought to be due to acidification from excessive fertilization. Lower soil pH of Site_Y further supported the evidence of heavy fertilization in this site. Overall nitrogen dynamics implies that soil nitrogen status is more influenced by park management such as fertilization rather than atmospheric deposition. Despite of lower soil NH4 <SUP>+</SUP> content of Site_M and G than Y, vegetation vitality looked similar among three sites. This indirectly indicates that excessive fertilizer input in urban park management needs to be reconsidered. This study showed that even if the air quality was different due to mobile and stationary sources, i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oil nitrogen nutrient status of the adjacent urban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