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조류 세포수 정량 지표를 위한 피코시아닌 측정법 비교 연구

        박예림 ( Park Ye Lim ),오은지 ( Oh Eun Jia ),남수한 ( Nam Su Han ),정고운 ( Jung Go Un ),권재현 ( Kwon Jae Hyu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국내에서는 심각한 녹조현상으로 인해 환경부에서는 남조류 발생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히 대응하는 조류경보제를 실시하여 상수원 하천과 호소를 관리하고 있다. 조류경보제는 유해남조류 세포수를 대상으로 관심(1,000cells/mL이상), 경계(10,000cells/mL이상), 대발생(1,000,000cells/mL이상)의 기준으로 발령된다. 남조류는 조밀하게 군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세포수 계수에 숙련도 및 시간을 요하므로 최근 남조류가 가진 고유 색소인 피코시아닌(Phycocyanin, PC)의 농도를 측정하여 남조류 농도를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PC 농도 측정에 대한 공정시험기준이 없어 Sarada et al.(1999)이 제안한 기법을 주로 사용하며, PC의 고유분광특성을 이용하여 Simis et al. (2005)와 Simis et al. (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620 nm 파장에서 나타나는 PC 흡수계수 통해 PC의 농도를 추정한다. 현재까지 PC 측정법에 대한 연구 사례는 다양하나 사용되는 측정법은 통일성이 없으므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PC 측정법을 비교하여 최적의 남조류 PC 측정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PC 측정법을 비교하기 위해 낙동강에 주로 분포하는 유해남조류의 배양액을 조류경보제의 관심, 경계 단계로 희석한 다음 조건별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Lim et al.(2016)의 연구에서 제시된 PC 추출법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로 초음파파쇄기 사용 유무와 두 번째로 GF/F에 여과한 여과지 사용 유무, 세 번째는 동결 및 해동과정 유무에 따라 추출된 PC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20nm와 65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Bennett and Bogorad(1973)이 제시한 피코시아닌 농도 식에 따라 산출한다. 또한 PC 농도 추출이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해 현미경을 이용하여 남조류 세포수를 계수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조류의 최적화된 PC 측정법을 제시하여 현장시료에 대한 적용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조류경보제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PC 농도와 남조류 세포수의 관계를 통해 남조류 세포수 정량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정량적 분석을 위한 남조류 개체수와 클로로필a 및 피코시아닌의 상관관계 분석

        오은지 ( Oh Eun Ji ),박예림 ( Park Ye Lim ),남수한 ( Nam Su Han ),정고운 ( Jung Go Un ),권재현 ( Kwon Jae Hyu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하천과 호소에서 부영양화가 진행됨에 따라 남조류(Cyanobacteria)의 대량 증식으로 인한 녹조현상(algal bloom)이 문제 되고 있다. 남조류의 대량증식은 Geosmin과 2-MIB의 생성으로 이취미를 유발해 정수 처리 비용을 증가시키며, 친수활동의 제한, 빛과 산소의 차단으로 인한 물고기의 폐사, 수생태계 균형을 해치는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남조류의 모니터링을 위해 조류경보제를 도입하고 조류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류 측정 방법으로는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현미경 검경을 통한 계수와 동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전문성의 필요와 인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남조류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류의 생물량을 평가하는 유력한 지표인 클로로필a(Chlorophyll-a)와 남조류에 함유된 색소인 피코시아닌(Phycocyanin)을 남조류의 정량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남조류의 관련 연구는 남조류 개체수와 수질 인자간의 연구, 클로로필a간의 상관성 연구가 다소 이루어진 바 있으나 남조류의 정량적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조류 개체수와 클로로필a 및 피코시아닌의 상관성을 파악해보았다. 연구지점으로 하절기에 부엽식물 및 녹조가 번성하는 평강천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평강천에서 총 5지점을 선정하여 채수를 진행하였다.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근거하여 클로로필a를 측정하고, 현미경계수법을 통한 동정 및 계수를 수행하였다. 피코시아닌은 Ha et al.(2016)의 연구에서 제시한 피코시아닌 추출법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조류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남조류 개체수와 클로로필, 피코시아닌의 농도를 비교하고 상관성을 분석해보았으며, 이는 남조류를 정량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토양 탄소 저장 증진 솔루션: 토양 미생물과 탄소 분획

        유가영(Gayoung Yoo),박예림(Ye Lim Park),현준기(Junge Hyu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기후변화 완화 전략 중 하나로 토양 탄소 저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 탄소 저장은 단위면적 당 저장된 총 탄소량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토양 탄소가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 물리화학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갖다는 사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토양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으로 분리하여 토양 내에서 기능적 의의를 갖는 fraction으로 나누는 토양 분획은 토양 내 탄소가 저장되는 과정의 이해를 돕고 생태계 맞춤형 탄소 저장 증진 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지, 농경지 및 도시 토양에서 총 탄소 및 분획별 탄소량을 정량하고 미생물 효소 활성도 차이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탄소 저장이 현저히 저하된 도시 토양에서 탄소 저장을 증진시키는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년 이상 유지된 초지, 농경지와 도시공원 및 가로수이다. 각 대상지에서 0-15cm 깊이의 코어 샘플을 채취하여 밀도와 크기에 기반한 토양 분획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fraction은 Light fraction(LF), occlu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POM), 그리고 mineral-associated organic matter(MAOM)이다. 또한, 총 및 분획별 탄소량과 세포외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효소는 hydrolase인 β-glucosidase, β-cellobiosidase, β-xylosidase와 phenol oxidase이다. 그 결과 총 토양 탄소 저장량은 초지>농경지>도시공원>가로수 순이었으며, 안정한 형태로 저장된 탄소인 MAOM의 비율은 초지=농경지>도시공원>가로수 순이었다. 토양의 hydrolase activity는 토양 탄소 저장량이 클수록 높았으며, oxidase activity는 오히려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도시 토양의 높은 oxidase activity는 높은 pH 및 자연생태계와는 다른 탄소의 질과 관련이 높았다. 도시토양의 C/H 비는 초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데, 이는 도시 토양에 포함된 여러 유기 오염물질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탄소저장량이 가장 낮았던 가로수 토양의 탄소 저장증진을 위해 띠녹지 조성이라는 관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가로수만 있는 토양에 비해 띠녹지 조성을 통한 다층식재가 총 탄소 저장량을 198% 증가시켰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토양 분획을 살펴본 결과, 증가의 원인은 거의 LF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띠녹지 조성에 의해 증가된 토양 탄소 저장은 쉽게 분해되는 형태에 국한되어 있으며 안정한 형태의 탄소 저장으로 전환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가로수 토양에 저장된 탄소가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LF 비율에 비해 POM이나 MAOM의 비율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추가적인 관리로는 압밀완화 등의 토양 구조개선, 가로수 식재 시 마사토 투입과 함께 점토질을 함유한 토양 개량제 추가, 바이오차 투입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토양탄소 저장증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총 탄소의 변화 모니터링만으로는 부족하며 토양 미생물 분석과 분획을 통해 저장된 탄소의 질과 안정한 형태의 탄소저장이 증진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