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정은(Jungeun Cho),김원국(Wonkook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본 논문에서는 ACL(Agent Communication Language)를 기반으로 한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Mollet을 제안하고 코드와 데이터의 이동성을 중점을 두어 이를 OS 버그 패치 시스템에 적용하여 본다. Mollet의 메시지 전송과 에이전트 이동은 FIPA에서 표준안으로 정의한 ACL을 사용함으로 다른 에이전트와의 호환성을 높이고 있으며 전송 과정에서 노출을 막기 위하여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다. 이동성, 협상, 보안, 인증, 등록 등의 에이전트가 가지는 공통적인 속성과 각 에이전트만이 가지는 속성을 모듈화함으로 확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JDBC 사용으로 데이타베이스와의 투명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 Mollet은 하나의 호스트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속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Mollet을 OS 버그 패치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공식 패치 서버 검색을 자동화하고 신속하고 간편한 패치를 제공함으로 시스템의 보안과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시스템 관리자의 부담과 관리 비용을 줄인다.
조정은(Cho Jungeun),최현정(Choi Hyunjung)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감사품질이 기업의 보유현금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감사품질이 높은 기업은 경영자의 재량권이 감소하게 되고, 시장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영자가 보유현금을 사용하여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내릴 유인이 적을 것으로 판단하여 보유현금의 가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고품질의 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회계법인은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적인 운용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금과 같은 자산의 횡령 등 기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을 적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시장에서도 감사품질이 높은 기업이 보유하는 현금의 가치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고품질 감사인은 높은 품질의 회계정보를 통하여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외부에서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경영자도 이를 의식하여 보유 현금을 비효율적으로 운용할 유인이 감소하며, 시장에서 평가하는 보유현금의 가치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대형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를 받거나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높은 경우 피감 사기업의 보유현금의 가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경영자와 외부 투자자들 간의 정보비대칭 현상이 감소하고, 경영자가 보유현금을 사적이익 및 효용을 얻기 위해 유용하지 않도록 감독하고 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품질 감사를 통해 시장에서 기업이 효율적으로 현금을 운용할 것으로 기대하여 보유현금의 가치가 증가하는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외부감사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통제하는 효과적인 외부지배구조 역할을 담당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udit quality affects the value of cash holdings. Among the assets held by the corporation, cash can cause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 and shareholders in that the cash does not receive much external control compared to other assets and is easy for managers to exert discretions. According to free cash flow theory, a manager in a company with excessive cash may use funds to maximize private utility and make opportunistic investment decisions which could destroy corporate value(Easterbrook 1984| Jensen 1986| Stulz 1990| Lie 2000). Recently, studies on the value of cash holding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examine how cash, which can opportunistically used by managers in comparison with other assets, is evaluated in the capital market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value of cash holdings have suggested that firms with a high probability of abusing cash for managerial pursuits of private interest have a lower value of cash holdings. In other words, the value of the cash held by the company and the value of cash level evaluated by external investors are not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 high audit quality that reduces information asymmetry and agency problem improves the value of the cash holdings of the audited firm 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use of cash for pursuing the manager s private interest. High-quality audit improves the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rket and reduce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investors (DeAngelo 1981). In other words, the financial statu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are reported transparently, and more specific and detailed accounting information is provided, so it is easy for investors to understand the efficient use of their cash holdings. In addition, high audit-quality firms can more effectively identify and report problems that arise from internal accounting controls (Ashbaugh-Skaife et al. 2007). Therefore, if audit quality improves,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s likely to operate effectively, and managers would be less likely to use corporate resources such as cash inefficiently to gain private benefits. Finally, high-quality audits can provide timely disclosure of losses incurred by the company, enabling to effectively monitor cash which could be used for inefficient investments by managers(LaFond and Roychowdhury 2008| Francis and Martin 2010). In other words, the external audit performed by the independent auditor mitigates the agency problem caused by th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shareholders, thereby acting as an effective external governance. As a result, investors expect companies with high audit quality to more likely to use their cash efficiently, which will result in higher cash value perceived in the market.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listed companies from 2001 to 201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value of cash holdings was higher for firms audited by Big 4 auditors compared to firms audited by non-Big 4 auditors. We also find that firms that received audits from auditors with industry expertise have higher value of cash holdings in the market. This suggests that Big 4 audit firms and auditors with industry expertise who provide high quality audits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reduce the agency problems that may arise between management and external shareholders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thereby playing a role of preventing the ineffective use of cash in the audited compani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investors expect firms with high audit quality to show a more efficient use of cash holdings by managers, resulting in higher market value of cash holdings in those firms. In addi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external audit as an effective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to control managers’ opportunistic decision-making.
서비스기업의 고객경험관리 및 운영역량 측정지표의 개발:
조정은(Jungeun Cho)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운영역량에 대하여 운영관리 분야에서 많은 실증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이 제 조업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는 학문적인 논의가 부족하였다. 특히 운영역량의 구성차원에 대해 논의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서비스 마케팅 분야에서 발전되어 온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같이 운영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도구가 아직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이 제시한 운영역량 측정모형을 서비스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하고,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고객경험관리를 운영관리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를 서비스 조직의 운영전략 차원에서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Although the ability to achieve operational excellence along multiple capability dimensions such as cost, quality, delivery, and flexibility simultaneously is increasingly regarded as a core of competitive advantage, but measuring the overall service operations capability has been frustrating because there is no generally recognized metric tailored for service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a metric for operations capabilities including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which is getting important as the modem economy has been shifting from product-dominant paradigm to service-dominant paradigm.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hotels through phone call and 102 data sets were collected. Statistical tests are appli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metric and we could confirm them.
조정은(Jungeun Cho),김원국(Wonkook Kim),김상욱(Sangwoo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본 논문에서는 응용 서비스 영역에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인터페이스 에이젼트 프레임워크 MOBIG(MOBile Interface aGent framework)을 설계한다. JAVA를 이용한 이동 인터페이스 에이젼트는 학습에 의한 지식 베이스를 가짐으로 개인적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KQML을 이용한 에이젼트간 통신으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높인다. MOBIG을 동영상,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된 NOD(News On Demand)에 적용하여 본다.
조정은(Cho Jungeun),장교식(Jang Kyosik)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58 No.-
2015년 4월 22일,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협정?에 가서명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 및 이해관계인들은 다소 불평등했던 기존의 한미 원자력협정에 비해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하여서는 안전 및 막대한 비용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여러 부분에서 불명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많은 나라들이 원자력의 이용을 축소하는 정책을 펼치고 안전규제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도 우리나라는 중국, 인도, 러시아와 더불어 원자력이용의 지속적인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원자력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규제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즉, 안전한 원자력의 이용을 위한 주된 전제조건인 방사능 오염 방지와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에 대해 제도적 보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신설하여 원자력안전을 강화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대통령 소속의 위원회가 국무총리 소속으로 되고, 선진국들의 규제기관과 달리 완전한 독립성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적절한 규제를 위해서는 규제기관의 독립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많은 원자로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 수조가 2020년 전에 포화 상태가 되지만 아직까지 정부는 원자로 수명연장에 필요한 추가 시설을 지정하지 않았다. 그 대신,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방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재처리방식은 아직 개발 중에 있고, 이미 여러 나라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이고서도 실패하였기 때문에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 미국은 원자력 선진국으로써 많은 국가들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의 경우, 정부기관으로부터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으며, 원자력의 부정적 측면인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관리도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On April 22, 2015, the new Cooperation Agreement on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was initialled by the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governments. Many experts and interested parties have estimated that it is a great step forward, other parties have expressed concerns. Since particular issues concerning nuclear spent fuel were raised, a clear regulation should be set up. The tragic accident at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in 2011 has caused another reconsideration such as reduced use of nuclear energy or reinforcement of safety regulation. Despite this, the Korean government aims to expand use of nuclear energy along with China, India and Russia. Thus, appropriate regul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In other words, the regulatory system regarding radioactive contamination prevention and saf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should be supported as preconditions for the nuclear safet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in order to strengthen nuclear safety. However, the current government has downgraded the Commission as an organiz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Furthermore, the Commission has not been independent from government agencies, unlike similar agenc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independence of the regulatory authority should be strengthened for appropriate regulation. Besides,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specified additional facilities needed for reactor life extension in spite of saturatio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storage tanks. The government tries to solve the problem by reprocessing nuclear spent fuel instead. Unfortunately, this method is being developed and has failed in other countries. The United States has become a role model for many countries in terms of atomic energy. For instance,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has been guaranteed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agencies. Nuclear spent fuel has been managed thoroughly as well.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we learn some lessons by studying the U.S. nuclear regulatory system.
조정은(Jungeu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선행연구에서는 노동투자비효율성이 정보비대칭이 심하고, 경영자와 외부 투자자들간의 대리인 문제가 클수록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노동투자의 비효율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경영자가 기업가치를 훼손시킬 수 있는 기회주의적 의사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비효율적으로 노동투자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기업들의 회계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낮아짐에 따라 노동투자 비효율성이 높아질수록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감소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노동투자효율성은 기업의 실제 노동투자수준과 예상되는 적정노동투자수준의 차이로 측정하여 이 차이가 커질수록 노동투자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동투자에 대한 비효율성이 증가할수록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의 경쟁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인력에 대한 투자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업일수록 회계이익에 대한 정보 유용성이 감소한다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occurs as the information asymmetry becomes severe and the agency problem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investors increases.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managers will make opportunistic decisions that can damage corporate value in companies with high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decreases as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increases as it is less likely that investors in the market use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companies in which labor investment decisions are made inefficiently. Labor investment efficiency is measu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level of labor investment and the expected level of optimal labor investment. Larger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level of labor investment and the expected level of optimal labor investment is considered as higher inefficiency in labor investment. Using data of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18,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decreases as the inefficiency of labor investment increases. This research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investment inefficiency in labo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reduces the information usefulness of reported ear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