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환경 언어치료의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조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양지희 ( Yang Ji-hee ),박성지 ( Park Sung-j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이후 실시되고 있는 치료지원제도 중 언어치료 지원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충남지역 초·중·고 특수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지원을 수업운영, 진단·평가, 협력적 팀 접근으로 구분하여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 환경 언어치료의 효과, 필요성, 문제점 및 해결과제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내용은 기술 분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환경 언어치료의 수업운영 실태에 따르면, 언어치료는 주 2회로, 주로 교과시간(국어, 사회 등)에 개별 치료의 형태로 보조인력 없이 실시되었다. 진단평가 실태를 살펴보면, 대상학생들은 불명확한 발음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수교사는 언어재활사에게 대상학생의 현재 수행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시작 전 언어재활사가 표준화검사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언어재활사의 의견에 따라 언어치료 목표가 결정되었다. 언어재활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팀 접근은 매 회기 언어치료 수업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부모 상담은 주로 전화를 통하여 수업내용을 가정에 안내하였다. 둘째, 학교 환경 언어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46%의 특수교사가 언어치료의 내용이 전 교과내용에 도움이 되고, 치료를 받기 위해 학교 밖으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어주었다는 점에서 그 효과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특수교사들이 어려워하는 조음중재에 대한 자문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언어치료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치료지원제도가 다시 국가 수준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에 재편성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문제점으로는 협력적 팀 접근에 있어서 특수교사와 학부모 모두 언어재활사와의 소통 시간이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언어재활사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공적인 학교환경 언어치료를 위한 해결 과제에 대한 의견으로는 언어재활사의 부족문제를 해결하자는 요구사항이 가장 많았고, 협력적 팀 접근을 보다 강화하자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operation state of speech therapies in schools located in Chung-nam and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therapies, and thereby lay the better foundation for speech therapy service in schools. Based on the survey of 20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speech therapies in schools in the categories of class oper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cooperative teach approach, and explo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in the categories of the effects of speech therapies in schools, the necessity, the problems and issues. The results of this work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state of speech therapies in schools were analyzed. Speech therapie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and mostly in class (e.g., national language class, and social subject class) or after school. The therapies were conducted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were performed individually. And, any assistant was not used in therapy. Second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speech therapies in schools was analyzed. 46%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contents of speech therapies were helpful for the entire teaching contents. Speech therapies in schools helped to save the students concerned trouble moving out of schools to receive the therapies, and also helped to receive counsel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from speech therapi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better treatment to speech therapists institutionally to solve the problem of a lack of speech therapists. In terms of solutions to the problems preventing successful speech therapies in schools, some questions requiring free-description answers were given to study subjects. The answers were analyzed with key words.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quirements of solving the problem of a lack of speech therapies were the highest and that opinions about the enhancement of a cooperative team approach and opinions about betterment of treatment to speech therapists were followed.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be helpful for seeking a better direction to perform speech therapies in schools successfully.

      • KCI등재

        경계선 지능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직유의미이해능력

        양지희(Ji-Hee Yang),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위언어능력의 결함이 있다고 알려진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직유의미 이해능력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대상은 학령기 경계선지능을 가진 언어발달지연아동 12명과 동일 언어연령 일반아동 20명이었다. 모든 아동들은 의미직유 유형과 관념범위직유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20개 직유문장을 읽고 3개의 보기중에서 해당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내는 보기를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연아동은 언어연령 일치한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모든 직유 유형에서 문장 의미를 적절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여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그러나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오류 패턴은 일반아동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연아동은 직유의미이해에 있어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나, 이해 패턴은 일반아동과 유사한 유형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in simile comprehension skills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delay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and general children who were matched language 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language development delayed children with BIF and 20 general children who were matched language age. All children read the 20 simile sentences that could be categorized into meaning simile types(into idiom similes, non-idiom similes) and the scopes of ideas simile types(extensive similes, intensive similes). After then, they chose the most appropriate meaning of the simile sentence among the three examp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anguage development delayed children with BIF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 of performance in the simile comprehension task than general children at similar ages, but the error patterns of the two groups were similar.

      • 창업멘토링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양지희(Ji-hee Yang) 한국미래융합교육학회 2023 미래융합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mpirical research on meta-bus by exploring educational use of the meta-bus platform in terms of start-up education based on examples of youth start-up mentoring programs using the meta-bus platform 'ZE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developed a meta-bus platform-based youth start-up mentoring program and operated a program for eight young start-ups participating in the youth start-up support project to find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fter operation.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is as follows. First, when developing meta-verse-based programs, it is necessary to motivate learning and improve immersion through gamification el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educate meta-versus program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nd used by professors, learners, and educational oper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nd operated a meta-bus startup mentoring program that reflects complementary points of online startup mentoring,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taverse startup mentoring program, and derived educational utilization measure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metaverse startup mentoring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startup mentoring.

      • KCI등재SCOPUS
      • 멀티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실감 미디어 표출 기법

        양지희(Yang, Ji-hee),김영애(Kim, Young-ae),박구만(Park, Goo-ma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6

        최근 다양한 실감 미디어 기술과 표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개인 방송에서 제작자 및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시청자의 실감성 체험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멀티 제스처가 필요한 실감 미디어를 멀티 디스플레이, 시점 선택, 3차원 객체 복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및 제작자의 편리성을 위해 필요한 제스처에 대한 종류를 분석하였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제스처를 인식하고 실감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화학물질안전의 소셜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양지희(Ji-Hee Yang),이익모(Ik-Mo Lee),황용우(Yong-Woo Hwang),천영우(Young-Woo Chun),문진영(Jin-Young Moon) 한국위험물학회 2018 한국위험물학회지 Vol.5 No.2

        Big data analysis on chemical safety can be used to predict risks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However, since big data alone is unstructured data, it is necessary to build an ontology to convert to valuable data. In order to construct the ontology of the chemical safety field, words were collected from 45 research reports and papers, and classified and layered. As a result, the large categories were preventive factor, accident risk factor, result factor, and social relation factor. Then, ontology was constructed by subdividing into middl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e ont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of big data in the prediction and policy of chemical safety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