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孔子의 飮食觀에 나타난 調和之道에 관한 硏究 : 『論語』를 중심으로

        왕열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論語』에 나타난 孔子의 음식관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孔子의 음식관을 말할 때 『論語』 「鄉黨」편에서 나온 ‘兩不厭’, ‘十不食’, ‘三少食’은 피할 수 없는 명제이다. 기존 연구자들은 공자의 음식관에서 ‘兩不厭’, ‘十不食’, ‘三少食’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論語』에서 나온 安貧樂道 사상과 배치된 부분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시각으로 孔子의 음식관에 접근하였다. 기존연구자들의 해석은 개인 내재적인 養生계열과 사회적인 安貧樂道 계열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論語』에서 등장한 총 40장의 음식에 관한 문장을 중심으로, 공자의 음식관을 개인적 음식관, 사교적 음식관, 정치적인 음식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공자의 개인적 음식관. 孔子는 몸을 상할 수 있는 것을 먹지 않고 건강에 좋다면 거두지 않고 맛의 조화를 추구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건강하게 먹는 것은 일종의 내재적 조화에 대한 추구이다. 둘째, 공자의 사교적 음식관. 공자는 집안 식생활에서 어버이에 대한 奉養이 擴充되고서 사회적 식생활에서 “敬”과 “讓”을 강조하고 서로를 존경하고 友愛하며 조화로운 식생활을 추구했다. 공자가 군주를 대할 때 군신간의 禮와 등급의 구별을 강조하며, 제사음식을 대하는 데 있어서 제례음식을 통해 선인들에 대한 공경과 감사를 강조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회적인 조화를 도모한 것이다. 셋째, 孔子의 정치적 음식관. 이 부분은 공자가 계급제도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君主에게 요구한 것이다. 군주는 庶民에게 기본적인 양식을 보장해야 한다. 지배층은 식생활에서 물질적 자원을 향유하지만 물욕에 빠지지 않도록 음식에 관한 사욕을 억제할 수 있는 禮를 지켜 절제해야한다. 음식의 구분을 통해서 국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孔子의 음식관은 개인적인 차원부터 국가적인 차원까지 ‘조화’로 결론지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조화의 기본요건은 계급체계의 안정이다. 이에 孔子의 음식관은 계급체계의 모순을 완화시키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SF 영화 속 기술적 타자의 아브젝시옹(abjection)에 따른 재현방식의 변화 연구 :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작품을 중심으로

        왕열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현재 인류가 경험하고 있는 삶의 방향에 대하여 지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 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는 아직 초기인 만큼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을 제외하고는 실제로 체감하는 정도는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영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가 인공지능 혹은 이를 통한 가까운 미래사회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뒀는지 살피고자 한다. 나아가 미래사회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 방향성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 긍정적인 측면으로 발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SF 영화 속 소재로 차용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의 본질은 첨단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변화 속에서 인공지능과 인간이 과연 공존할 수 있는 존재인지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지만, 좀 더 근본적으로는 인공지능에 관한 다각도의 연구를 통해 우리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대다수 인공지능을 다룬 영화들에서 이들 존재는 보편적으로 기술적 타자로 여겨져 왔다. 이에 영화 속 인공지능의 정체성은 외형적으로는 인간과 닮은 형상을 취하지만 기계이며, 그렇다고 해서 기계로 인식하기에는 인간보다도 더욱더 인간적인 모습을 취한다. 또한, 기계이면서도 그들의 행위는 인간의 삶을 너무나 동경하는 모습으로 재현된다.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개념에 따르면 주체가 불완전한 존재에게 느끼는 혐오감, 불결함, 공포감, 두려움 등과 같은 철학적 관념은 많은 공포영화나 SF 영화, 특히 인공지능이 등장하는 영화들에서 보이는 감정들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드러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공지능이 등장하는 SF 영화를 살펴보면 이 같은 혐오감과 불결함과 같은 감정을 일으켜 관객에게 불안한 심리를 갖도록 만드는 타자화된 존재는 숭고와 혐오(공포)의 이중적 감정을 재현함과 동시에 타자화된 인간의 억압된 무의식을 형상화한다. 이에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서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적 의미에서 타자화된 존재는 바로 주체할 수 없는, 저지할 수 없는 욕망의 환유적 움직임의 산물이 된다. 이에 인공지능이 등장하는 영화의 보편적인 서사는 인간과 대결 구도를 펼치는 진행 방식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는 초반에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보이지만, 인공지능 존재가 점차 진화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모습과 나아가 인간의 존재까지도 위협할지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에 공포에 휩싸이게 된다. 이 같은 감정은 마치 공포영화 속 괴물에 의해 언젠가 나 역시도 희생자가 될 것이란 생각에 괴물을 두려운 존재로 바라보는 시각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SF 영화 속에서 인공지능 존재를 재현하는 방식에서도 영화는 처음에는 이들 존재를 인간과 매우 유사한 이미지로 재현하여 우리에게 친근함을 제시하지만, 이내 불안한 감정이 시작되는 지점부터는 인간과 확연히 구분되는 기계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이들 존재를 이질적인 존재로 만들어 버린다. 이를테면 공포영화 속 괴물처럼 더럽고, 흉측하며, 기괴한 형상의 기계적 이미지를 그대로 노출하는 방식을 통해 그동안 친숙했던 존재를 일순간 낯설게 만들어 이들이 타자화된 존재라는 사실을 각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낯선 존재이기는 하지만, 결국 영화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들이 개인 주체의 심리적 현실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우리 사회에 속한 집단의 성립과 안정적 유지를 위해 이질적 타자성을 지닌 개인이 아브젝트화되는, 이른바 ‘사회적 아브젝시옹’의 의미가 담겨있음을 이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주어진 타자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곧 우리 사회를 탐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서 알 수 있듯이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타자화된 존재와 주체와의 비교를 통해 철저히 계급화된 모순된 현실사회를 비판하고 있으며,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면을 은유적 표현으로 공개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가야 할 시대적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대다수 영화는 암울하고 묵시록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우리 인류가 경험하게 될 미래가 꼭 긍정적이지만은 않는다는 사실을 디스토피아적인 분위기로 재현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인공지능이 등장하는 SF 영화의 타자성에 대한 핵심은 주체가 되는 인간은 자신이 전지전능한 창조자라는 과대망상증에 걸린 인물로서 그려짐과 동시에 자신도 모르게 AI를 동경하는 인물이 되어 영화에서는 신에 도전하는 인간의 욕망을 재현한다. 영화는 이를 통해 인간의 AI 제조 기술이 어디까지 발전할 것인지, AI가 인간과 가까워진다면 어느 수준까지 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과 경고를 동시에 던진다. 더불어 인간이 가진 기억과 인간이 산다고 생각하는 현실이 진실인지에 대한 질문도 한다. 생명의 창조자가 되고자 했던 인간의 욕망은 자유의 의지를 보이는 인공지능을 폭력에 의한 평생 억압이란 테두리에 가둬 놓는다. 이는 인공지능을 소재로 하는 영화들이 보이는 공통된 재현방식이 된다. 그러나 대다수 영화가 유사한 재현방식을 가진다고 해서 결말마저 같은 유형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대다수 영화가 끝까지 살아남는 존재로 인류를 선택하고 있지만, 몇몇 영화에서는 끝까지 살아남는 존재로 인공지능 존재를 선택하는 예도 존재한다. 이는 과학기술, 특히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점차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의 발전에 따라 이 같은 재현의 변화를 보이는 것은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관계성을 입증하려는 시도로 인공지능 기술이 현실화하는 시점에서 과연 이들이 서로 공존 가능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며, 더는 인공지능을 타자화된 대상으로만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emerging a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paradigm for the direction of life that mankind is currently experiencing. However, as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i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still in its infancy, the extent to which it is actually felt is weak except for those working in related fiel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kind of perception we hav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or the near future society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research on mov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future society and suggest ways to develop in a positive aspect by looking more closely at its direction. The essence of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borrowed as a material in SF movies to be covered in this study, is the question of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can coexist in the midst of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more fundamentally, it can be seen that it is to grasp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rough various stud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most of the films deal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o far, these beings have been universally regarded as technological others. Accordingly, the ident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ovie takes a shape resembling a human on the outside, but it is a machine, even so, it takes on a more human appearance than a human to recognize it as a machine. Also, even though they are machines, their actions are reproduced in a way that longs for human life. According to Julia Kristeva's concept of abjection, which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aversion, uncleanness, fear, and fear that the subject feels towards imperfect beings can be found in many horror films and science fiction films, especially those featuring artificial intelligence. It reveals characteristics very similar to emotions seen in the field. From this point of view, looking at SF films featur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being of the other, which causes emotions such as disgust and uncleanness to make the audience feel anxious, reproduces the dual feelings of sublimity and disgust (fear), It embodies the suppressed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who have become the other. Thus, in the dramatic sense that occurs in the narrative process of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the otherized being becomes the product of the metonymic movement of uncontrollable and irresistible desire. Accordingly, it is common for the universal narrative of a movie featur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show a progression method that unfolds a confrontational composition with humans. 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shows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but in the process of gradual evolu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ings, they are terrified of vague anxiety that they may threaten a more humane appearance than humans and furthermore, even human existence. This feeling can be seen as similar to the view of looking at monsters as fearful beings, thinking that one day I will also become a victim by the monsters in horror movies. Even in the way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produced in science fiction films, the film initially presents these beings as images very similar to humans, suggesting familiarity to us. However, from the point where uneasy feelings begin, mechanical images that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humans are provided, turning these beings into heterogeneous beings. For example, through a method of exposing mechanical images of dirty, hideous, and bizarre shapes like monsters in horror movies, it is to make familiar beings unfamiliar for an instant and imprint the fact that they are otherized beings. However, although they are strangers, the message they want to convey in the film goes beyond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individual subject, in which individuals with heterogeneous otherness become abject for the establishment and stable maintenance of groups belonging to our society. It can be said that it contains the meaning of so-called 'social abjection'. Therefore, an in-depth study of the otherness given to them can be a process of exploring our society. In the end, as can be seen from these characteristics, the film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riticize the contradictory real society that is thoroughly classed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ed beings and subjects, and metaphor the other side of rapidl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t can be seen a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times to move forward by disclosing it in a negative expression.Therefore, in order to convey this message, most movies create a gloomy and apocalyptic atmospher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act that the future that mankind will experience is not necessarily positive is reproduced in a dystopian atmosphere. In the end, the key to the otherness of SF films featur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at humans, who are the subject, are portrayed as megalomaniacal figures who claim that they are omnipotent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he unknowingly becomes a person who longs for AI, and in the movie, he reproduces the human desire to challenge God. Through this, the film simultaneously throws questions and warnings about how far human AI manufacturing technology will develop and to what level AI can evolve if it becomes close to humans. In addition, it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e memories humans have and the reality that humans think they live in is true. Human desire to become the creator of life confines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shows free will to lifelong oppression by violence. This becomes a common representation method seen in mov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just because most films have similar representation methods, it does not mean that even the ending shows the same type. Most of the movies choose human beings as beings who survive to the end, but in some movies, there are examples of choo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eings as beings who survive to the end. This can be said to be characterized by a gradual change in line with the trend of an era in which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Showing such a change i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s an attempt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y can form a relationship that can coexist with each other at the point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ecomes a reality. It reminds u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no longer be viewed only as an object of otherness.

      • 韓·中 영화 속 여성 캐릭터의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교 연구 : 韓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中영화 <河东狮吼>를 중심으로

        왕열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시아권을 넘어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한류열풍을 타고 “엽기녀” 신드롬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아시아 각국에서 일어났다. 이후 중국 홍콩, 타이완, 베트남,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흥행돌풍을 일으켰고, 전지현은 엽기녀의 기상천외한 갖가지 행동을 잘 소화하며 열연하여 아시아에서 한류열풍의 주역이 되었다. 또한 이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이끄는 미국 메이저영화사 드림웍스가 배급권과 함께 영어판 리메이크 권리를 매입하여 관심을 끌기도 했다. 이에 따라 세계 많은 나라에서는 <엽기적인 그녀>를 패러디한 자국판 “엽기녀”영화, 드라마 제작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河东狮 吼>는 중국누리꾼들이 공인하는 <엽기적인 그녀>중국판으로 불리울 만큼 “엽기녀”패러디에 성공한 영화이다.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인 여성상은 남성적인 파워와 배일에 가려진 수동적인 삶을 살고 있는 모습이다. 동방문화 특히 중화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역대로 유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각 국은 사회적인 배경 및 문화존재 배경을 유교전통에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유교전통에 대한 뿌리가 깊다. 하지만 2001년 한국에서만 관객 570만 명을 돌파하면서 ‘엽기녀’신드롬을 일으킨 한국 영화 <엽기적인 그녀>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여성 문화적 관심을 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河东狮吼>을 통해 조명한 만큼 양국의 영화 비교를 통해 여성의 이데올로기 특징을 발견하고, 양국의 문화에 대해 올바르게 다가갈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국 영화가 한국영화를 모방하여 제작하게 된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엽기적인 그녀>의 이데올로기 특성이 무엇인가? 셋째, <河东狮吼>의 이데올로기 특성이 무엇인가? 넷째, 두 여자 주인공의 이미지에 나타난 공통점이 무엇인가? 다섯째, 두 여자 주인공의 이미지에 나타난 차이점이 무엇인가? 여섯째, 한. 중 영화 속 "엽기녀"가 사회에 준 영향이 무엇인가 하는 부분이다.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중국영화 <河东狮吼>은 모두 전통적인 여성 이미지에 대한 전복이며,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제도에 따라 움직이던 전통질서에 대한 부정이다. 또한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라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 동조한 여성자아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으로 여성 지위 확대의 중요한 징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영화는 사극과 현대극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비교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엽기녀’는 근래 스크린 및 안방극장에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했지만, 중·한 ‘엽기녀’ 열풍 영화를 주제로 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에서 <엽기적인 그녀>와 그 후속인 <조폭마누라>를 다룬 논문 등이 제기되었고, 중국의 일부 잡지에서 <엽기적인 그녀>와 <河东狮吼>를 비롯한 “엽기녀” 현상을 다룬 연구가 몇몇 등장했지만,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한·중 “엽기녀” 현상의 학술적인 비교분석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엽기적인 그녀>와 <河东狮吼>는 전례 없이 과장된 수법을 동원한 영화지만, 영화를 통해 한·중 양국의 유교사상이 전통여성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윤리관, 전통여성상의 파괴가 이루어진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엽기녀’ 열풍의 대표영화인 두 영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엽기녀’ 현상을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영화 속 전통 관념의 흔적들을 비교하여, 두 문화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중국영화 <河东狮吼>를 선정,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 났다. 현시대 전통적인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여성에 대한 척도는 차츰 파괴되고 있으며 여성은 자아의식의 성장을 이루어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존재로 세상을 살고 있다. 또 여성에게 주어진 여러 가지 유교적 판단 표준이 달라지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참여의식이 높아짐과 더불어 여성은 남성과 똑같은 사회주력으로 진보하고 있다. 하지만 과장적으로 표현된 엽기녀 형상과는 달리 아직도 집단무의식속과 여성자체의 의식 속에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여성관이 존재하고 있는 점은 한국이나 중국 모두 마찬가지이다.

      • 韓國語 ‘-었-’과 中國語 ‘了’의 對照 研究 : 意味ㆍ統辭를 中心으로

        왕열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ntrastive Study of Korean '-었-' and Chinese '了' : Focusing on the meaning and syntagme Korean and Chinese respectively belong to different grammar system. Therefore, their grammar expressions have own characteristics.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usually uses affix after predicate or prefinal ending to show grammar relationships. However, the Chinese is regarded as an isolated language, it is accomplished by mainly using word order and function word. The '-었-' of prefinal ending in Korean and the 'le' of auxiliary word in Chinese are grammar points that are both used very much frequently. It is difficult for new learners how to understand exactly and use properly. The common ways for learning language is contrastive analysis. On the basis of predecessors's researching theory,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these two aspects from point of semantic and syntactic. And then try to find out the various characters of '-었-' and 'le', to presen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uch clearly. Firstly, Chapter One elaborates the contrastive analysis purpose of the '-었-' in Korean and the 'le' in Chinese. Meanwhile, summarizes the antecedent research situations from Korean and Chinese learners in this field and introduce simple research methods. Chapter Two, do contrastive analysis for Korean '-었-' and the point of syntactic of Chinese 'le'. Here mainly for both tenses and styles, as well as other semantics expect tense and style, these three aspects are analyzed. Chapter Three, mainly do analysis from Korean '-었-' and the point of syntactic of Chinese 'le'. Although have some similarities, however, there are a lots of differences. So, this part mainly emphasizes both differences in order to do deeply contrastive analysis. Chapter Four, sum up the above contrastive analysis of results. Generally speaking,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Korean '-었-' and Chinese 'le' from these semantic and syntactic two points. It is earnestly hoped that Korean and Chinese learners can avoid Mother language of influence and correctly comprehend both differences so that exactly apply to practice. Also it is useful for Korean teaching by this article researching.

      • 중국 도시정주아동이 유동아동과 갖는 교우관계 :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

        왕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도시정주아동과 중국 내 대표적인 이주 아동 집단인 유동 아동에 주목하고 그들의 교우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특히, 중국 도시정주아동이 유동 아동과 갖는 교우 관계의 영향 요인 중 가정 배경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교육추적조사(China Education Panel Survey: CEPS) 2014년의 자료를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도시정주아동이 유동 아동과 갖는 교우 관계는 각 가정 별 환경이 가진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 직업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경제적으로 부유할수록, 부모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도시정주아동은 유동 아동 친구를 적게 사귀는 행동 패턴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통합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개선을 위한 교육적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항공물류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베이징수도국제공항 중심으로

        왕열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경제의 급속한 글로벌화로 인하여 국제무역은 더욱 더 발전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글로벌화가 가능했던 가장 큰 원인은 항공물류산업이 있었기 때문이고, 이로 인하여 급속한 경제성장을 통해 국가와 국가 간의 무역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었다. 세계 항공수요는 2011년 9.11테러, 2003년 사스, 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 및 지속된 경기침체와 항공유가의 급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와 연관된 항공화물시장과 아시아 내의 항공화물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더욱이 시장과 경제의 자유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항공산업은 무한한 성장 잠재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은 규모 및 설비 면에서 중국내에서 가장 크고, 항공기 이착륙 횟수 및 여객 수에서도 가장 높은 실적을 올리고 있는 국제공항이다.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의 상업시설 총 면적은 현재 아태지역 공항 중 가장 넓으며 상점 수는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이어 2위이며 다원화·명품화·특색화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은 여객 위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많은 장애요인으로 인해 현재 항공화물처리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이가질 수 있는 기회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요소에 대한 극복이나 회피 또는 베이징수도국제공항 항공물류업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계 항공물류시장의 전반적인 동향과 중국의 항공물류 시장 및 공항 발전 계획에 대해 살펴 본 후 미국멤피스국제공항과 한국 인천국제공항을 비교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물류인프라 측면에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기초시설의 개선 및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항공사 유치 및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류허브공항 지향을 위한 배후단지를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운영 측면에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공항운영기관인 베이징수도국제공항사 내에 물류전담조직을 확대하고 물류 전문 인력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항당국의 협조를 통해 합리적으로 공항사용료 등을 책정하여 항공화물 허브화를 촉진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항공사들은 전략적 제휴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RFID 시스템을 활용하여 항공화물 처리능력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항공물류정책 측면에서는 정부의 지지와 지도가 필요하다. 첫째, 항공화물의 수출입 통관절차 및 제도를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관세자유지역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항공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AEO 제도를 도입하고 AEO MRA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China’s entry into WTO and Beijing’s successful bidding for hosting the Olympic Games have made China’s economy develop rapidly. Due to China’s development, as the aviation industry of China flourishes greatly, now the Capital Airport faces more brand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an ever. As a window of modern economic development, airports can reflect the trend of this industry development which is also an important backbone industry of local economy and even national economy. Concurrently, the Capital Airport occupies a very important place in national airport industry with its own feature and advantage. Therefor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apital Airport has its own practical meaning. Standing from a strategic angle and based on the connection theory with the reality, this study analyzes Beijing Capital Airport’s goal, and proposes the concrete strategic plan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hub strategy of Beijing Capital Airport, first, the features of the large hub airports around the world should be analyzed. Then, the Beijing Capital Airport hub strategic situation induces the strategic plan for becoming a world hub airport. After analysing the successful hub airport instance of the world and referring government's strategy for the capital airport, the direction of advancement is pointed out. The airport positions its strategic direction as the most important comprehensive hub airport in China, with full function of a national airport, and is developing it into one of the largest comprehensive hub airports in Northeast Asia. The research findings recommend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Beijing Capital Airport. First, it should be simplified import and export entry process for smooth logistic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requesters, the policy for tariff free zone and foreign investment immature should be provided. Third, modernizing logistics professional personnel within Beijing Capital Airport, strengthening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increasing the flight the route should be provided. Fourth, construct globalization networks with strategic alliance should be set up. Finally, the combined transportation enterprise should be provided to expand aviation cargo foundation implementation.

      • 페미니즘 의식과 심리적 안녕감이 페미니즘 광고에 미치는 조절효과

        왕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인간의 생활방식이 바뀌게 됨에 따라 사람들의 전통적인 의미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소비자로서의 여성의 지위에 일정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여성 소비자를 회유하기 위해 광고가 여성을 주체로 삼기 시작했다. 또한 여성 마케팅 변화의 중심축은 바로 페미니즘(Feminism)의 큰 흐름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연구까지 더해지면 더 효과적인 페미니즘의 마케팅 전략이 창출되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페미니즘 광고가 유효하다면 어떤 수용자에게 더 유효한지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성별에 따라 남성과 여성을 따로 그룹핑하고 변인들이 ANOVA로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광고형태에 따라 일반광고와 페미니즘 광고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균치를 통해서 상이한 변인들을 적절한 집단을 나군 후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하는 집단은 페미니즘 의식 높은 집단과 늦은 집단, 안녕감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그룹에 각각 적용하였다. 2*2*2의 실험 참여자 간 설계(between subject design)로 구성해서 가설에 따라 종속변인인 광고태도, 공유의도, 브랜드태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항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전체 조사 대상으로 광고형태(페미니즘 광고 vs 일반 광고)* 페미니즘 의식(높은 집단 vs 낮은 집단)*안녕감(높은 집단 vs 늦은 집단), 두 번째는 남성 조사 대상으로 광고형태(페미니즘 광고 vs 일반 광고)*페미니즘 의식(높은 집단 vs 낮은 집단)*안녕감(높은 집단 vs 낮은 집단),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성 조사 대상으로 광고형태(페미니즘 광고 vs 일반 광고)*페미니즘 의식(높은 집단 vs 늦은 집단)*안녕감(높은 집단 vs 낮은 집단) 등으로 구성하여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결과를 보면, 첫 번째는 전체 조사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는 페미니즘 이슈를 포함한 광고는 일반광고보다 수용자는 페미니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가 더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또한 안녕감은 광고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도 미친다. 한편 페미니즘 의식과 안녕감, 페미니즘 의식과 광고형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효과에 대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형태, 페미니즘 의식 및 안녕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는 여성 조사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는 광고형태, 안녕감 그리고 페미니즘 의식은 다 광고효과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런데 페미니즘 의식과 안녕감, 페미니즘 의식과 광고형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공유의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는 남성 조사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는 광고형태, 안녕감 그리고 페미니즘 의식은 다 광고효과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페미니즘 의식과 안녕감, 페미니즘 의식과 광고형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효과에 대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광고형태, 페미니즘 의식 및 안녕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페미니즘는 시대와 사회가 발전하면서 여성의 지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여성 마케팅의 독창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효과적인 페미니즘 마케팅 전략을 창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 심리적 요소인 안녕감을 포함시켰다. 안녕감은 삶의 질과 만족감을 나타내는 주요 하위요인으로, 일정한 범주에서 페미니즘과 수많은 사람들의 삶에 대한 자신의 만족감을 연결시킴으로써 페미니즘과 사회 사이에 더 많은 연관성이 있는지를 탐구했다. 동시에 여성이 페미니즘의 주체이기 때문에 여성과 여권 간의 연계에 대해서는 자명하다. 그러나 남성과 페미니즘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에는 아직 취약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남성과 페미니즘을 탐구하였으며 페미니즘 마케팅을 위한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 페미니즘을 포함한 더 많은 매개 형식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해야 한다는 것이 측면에서도 입증되었다. Nowadays, with the drastic change of human lifestyle compared with the last ten decades, the women are increasingly beginning to replace men as the main consumers. In order to attract female consumer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any advertising companies have an increasing trend that they start to build more positive and influential female advertising images. In addition, we can also believe that the key of this change in female marketing is from a general tendency of the Feminism. From this point of view, an organised, systematic and reasonabl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is topic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more effective female marketing strategy. The most important idea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 if the feminist advertisement is effective, it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which recipient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mentioned hypothesis, the advertisements for the questionnair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forms of advertising: ordinary advertising and feminist advertising. The variables are also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feminist awareness group, low feminist awareness group, high sense of tranquility group and low sense of tranquility group. Also gender is separated into male and female. It consists of 2 * 2 * 2 between subject design, and th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three important elements : advertising attitude, sharing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shall interact with each other. There are also three analysing models: the first survey of all respondents includes three parts – advertising form (feminist advertising VS ordinary advertising) * feminist awareness (high group VS low group) * and sense of tranquility (high group VS low group).The second takes the female consumers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including advertising form (feminist advertising VS ordinary advertising) * feminist awareness (high group VS low group) * sense of tranquility (high group VS low group). And the last takes the male as the main research subject,also including advertising form (feminist advertising VS ordinary advertising) * feminist awareness (high group VS low group) * sense of tranquility (high group VS low group). In this way we can find the real effect of subordinate variables. According to the specific results, the first conclusion implemented for the whole survey respondents is, the ads including feminist focusing issues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than the general ads. On the one hand, a sense of peace has a relative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between feminist consciousness and sense of peace, feminist consciousness and advertising form , is rather significant for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Between two different advertising form – feminist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peace, however, there is no obvious interaction that can be observed. Secondly, the conclusion of the female survey shows that the advertising form, tranquility and feminist consciousness , all of them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dvertising effect. On the contract ,the interplay between feminist consciousness and sense of tranquility, feminist consciousness and advertising form, makes sense for Shared purpose. Thirdly, the result of survey conducted by all male respondents shows that the advertising form, tranquility and feminist consciousness all have impact on the advertising effect as well.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feminist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peace, feminist consciousness and the form of advertising, is really meaningful to the effect of advertising. In addition, there is no obvious interaction between advertising form, feminist consciousness and tranquility.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femin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status of women, which has endowed women-oriented marketing. Therefore, in order to conduct reasonable and systematic research, and create a more effective feminist marketing strategy, the psychological factor, sense of tranquility, is included into the research.The sense of tranquility is the main factor that reflects life satisfaction, so linking them together to explore whether there is more connection between feminism and society is significant. At the same time, since women are the main subjects of feminism, it is evident about the linking between women and women's rights. However, the explor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males and feminism is still very weak.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males and feminism is explored to provide more possibilities for feminist marketing. It also proves that deeper exploration from media such as feminism is needed in the future research, to bring more researches on the topic of women.

      • Reduction of Bromate and Perchlorate in Water by Modified Nano Zero-Valent Iron

        왕열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Nano zero valent iron (NZVI) is often used to treat various pollutants in groundwater and soil, such as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heavy metal ions, antibiotics and dye wastewater. NZVI has the advantages of high reactivity and large specific surface area. However, due to the magnetism among the NZVI particles, it is easy to agglomerate,and its high reactivity makes it easy to oxidize in contact with oxygen. In order to make NZVI technology more practical, researchers try to improve the agglomeration and oxidation of ZVI particles by loading or adding dispersants. In this study, the liquid-phase reduction method for preparing nano iron by traditional chemical method is improved. Poly vinyl pyrrolidone (PVP),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and starch (starch) are selected as three stabilizers of nano iron and NZVI. The NZVI iron and its materials not only have good dispersion in aqueous solution, but also have good antioxidant capacity. I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novel modified NZVI under aerobic conditions. The natural water containing bromine ion is oxidized by ozone to form bromate. Bromate is identified as 2B potential carcinogen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Cancer (IARC). The natural perchlorate mainly comes from the cost of raw materials and the artificial synthesis mainly comes from rockets, fireworks and so on. They are recognized as universal, potential and persistent harmful substanc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bromate and perchlorate removal technology is particularly urgent. The removal ability and kinetic mechanism of bromate and perchlorate a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the modified NZVI is prepared by liquid phase reduction method. That newly modified process has better dispersion and stability. The effects of three surfactants, PVP, starch and CMC regarding the preparation and the dispersibility of modified NZVI are studied. The effects of surfactant type, ultrasonic time, surfactant dosage, ethanol concentration and pH value on the preparation process are discussed as well.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persion stability of NZVI first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with the extension of ultrasonic time and each surfactant have the best ultrasonic time and concentration. The dispersion effects of different surfactants from high to low is PVP>starch>CMC. The results of SEM, XPS, BET and XRD show that NZVI prepared by 0.2wt% PVP have the best dispersibility, the particles size is the smallest, with an average of 18nm,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32.152 m 2 /g, the percentage of ZVI increases and the diffraction peak of Fe0 appear sat 44.8° with high crystallinity and no obvious oxidation phenomenon. The optimum dispersion process factors of NZVI prepare in aerobic environment are as follows: 10 min ultrasonic time, 0.2wt%PVP concentration (mass fraction), 60%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bromate and perchlorate with modified NZVI,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the amount of nano particles,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bromate and perchlorate and the initial value of solution. Increasing the amount of new modified NZVI can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nano iron, thus increasing the contact between nano iron and bromate and perchlorate. The removal experiments of pollutants were carried out. When pH=5 and PVP-NZVI dosage is 25mg/L, the removal rate of bromate with initial concentration of 5mg/L can reach more than 90% within 60min; when pH=4 and PVP-NZVI dosage is 25mg/L, the removal rate of perchlorate with initial concentration of 0.5mg/L can reach more than 90% within 60mi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modified NZVI has high removal effect on bromate and perchlorate. By fitting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removal of bromate and perchlorate by PVP-NZVI, it is found that the removal process conforms to the second-order reaction kinetics. The reaction rat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PVP-NZVI dosage, but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pH value. The following research is the removal of bromate and perchlorate by NZVI in continuous flow experiment. The research will be also nvestigate whether the removal effect of NZVI decreases after storage for a certain time. The regeneration and reuse performance of NZVI will be studied as well. 브롬을 포함하고 있는 자연수는 오존처리에 의해 브롬산염으로 산화된다. 브롬산염은 국제암학 회에서 잠재적인 발암물질인 2B로 규정되어 있다. 과염소산염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로켓,폭죽 등 주로 인위적으로 발생한다. 이 오염물질들은 전세계적, 잠재성, 지속성을 지닌 위해성 물질이다. 그러므로 브롬산염과 과염소산염의 제거 기술개발은 시급성을 지니고 있다. 나노영가철(NZVI)은 높은 반응성과 비표면적이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하수와 토양의 다양한 오염물질들(유기염소화합물, 중금속 이온, 항생물질, 염색폐수등)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노영가철의 자성으로 인해 쉽게 뭉쳐지고, 산소접촉하에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산화 되기 쉽다. 실용적으로 나노영가철을 제조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산제의 첨가에 의해나 노영가철의 응집과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나노영가철 제조를 위해 수용액 상태 환원법을 이용하였고PVP, CMC, 전분이 나노영가철의 안정제로서 사용되었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영가철은 수용액에서 높은 분산성을 유지하고 아울러 높은 산화방지 성능을 가졌다. 호기성 상태의 나노영가철 제조공정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개질된 나노영가철에 의한 브롬산염과 과염소산염의 제거능력과 역학적 메커니즘을 조사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 연구는 액상환원법에 의해 개질된 나노영가철을 제조하였다. 개질된 나노영가철은 더 나은 분산성과 안정성을 가졌다. PVP, CMC, 전분과 같은 세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와 분산성 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계면활성제 종류, 초음파노출시간, 계면활성제 농도, 에탄올 농도, 그리고 pH 변화가 나노영가철 제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나노영가철의 분산 안정성이 먼저 높아지고 점차 낮아짐을 관찰하였고 각각의 계면활성 제의 최적의 초음파 노출시간과 농도를 확인하였다. 분산효과는PVP >전분 >CMC의 순서로 나타 났다. SEM, XPS, BET, XRD 분석결과에 의하면 0.2wt% PVP로 제도한 나노영가철이 분산성이 가장 우수하고 입자의 직경이 가장 작았으며 평균 직경은 18nm 이었다. 비표면적은 32.152m 2 /g 이며 영가철 이온함유량이 증가되고 FeO 의회절 피크는44.8로 나타나고 뚜렷한 산화현상이 없다. 호기성상태의 나노영가철 제조를 위한 최적의 공정 조건은 초음파 노출시간 10 분, 0.2wt% PVP (질량분율), 에탄올 농도 60% 이다. 개질된 나노영가철을 이용한 브롬산염과과염소산염 제거공정에서 실험조건은나노입자의 용량, 초기 브롬산염과과염소산염 농도이다. PVP-NZVI의 양을 증가시키면 나노철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나노철과브롬산염, 과염소산염과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다. pH 5 이고 25mg/L PVP-NZVI 일때초기농도가5mg/L브롬산염의 제거율은 60분이내 90% 이상을 보였다. pH 4 이고 25mg/L PVP-NZVI 일때초기농도가0.5mg/L 과염소산염의 제거율은 60분이내 90% 이상을 보였다. PVP-NZVI에 의한 브롬산염과 과염소산염의 제거에 관한 실험데이터 피팅 결과는 2차반응식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속도는 PVP-NZVI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