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V 뉴스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의 몰입(Flow)에 대한 수용자 반응 연구

        김종욱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the era of big data, people live within an active media environment where they participate in accessing what they want using diverse technologies and media, a change from a passive media environment in which data are transmitted in only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viewing rate of terrestrial TV news has continuously declined under the information pollution that is also called ‘information overload’ 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n thi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age. In the past, TV news delivered information with just images and the written word. Recently, however, elaborate, eye-catching visual expression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VR) have been often adopted to draw in TV viewers. Gye Bo-gyeong(2007) mentioned immersion and interaction as the core factors of VR and proposed that the vividness and interactivity realized with these technologies would strengthen flow by making the virtual space seem more real. The purpose of VR infographics used by news producers to deliver information is obvious. It satisfies TV viewers’ high expectations and makes news more realistic and attractive in this interactive era. Furthermore, it aims to derive flow from the audience in a natural manner by helping them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omplicated and diverse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mission system of VR infographics in the TV news and its classification by production type. In addition,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Flow of VR Infographics in TV News’ was analyzed to get direct and objective results through analysis of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the transfer of psychological information called ‘flow.’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A Study of the Audience’s Response to the Flow of VR Infographics in TV News,’ it is not easy to make the audience, which may experience confusion due to information overload in thi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era, achieve active and positive flow. However, the VR infographics target facilitating rapid audienc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by increasing their interest and immersion in diverse approaches and helping them to recognize information at a glance. The study result found that VR infographics is better than general infographics in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data by increasing the audience’s flow (reality, presence) and increasing the effects of the senses. In other words, it is able to allow the audience to engage in flow in an active and positive manner with the technical system of VR infographics after extracting core information in visualizing information. Lastly, the active and positive VR infographics ha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expressing the transfer of TV news. First, from a theoretical aspect, a study on how VR info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ws is processed could be a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video messages which have recently become more complicated. In terms of the transfer of information, in addition, a study of audience response to visual, auditory and information -constructive and immersion components would be very meaningful. Moreover, it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a news program along with theoretical development on ‘Effects of Flow in Transfer of TV News.’ 빅 데이터(Big Data) 시대인 오늘날 수용자들은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수동적 미디어 환경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다양한 기술력과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는 능동적 미디어 환경 속에 살아가고 있다. 또한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정보의 과다, 정보의 홍수로 표현되는 정보 공해(Information Pollution)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지상파 TV 뉴스의 시청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과거 TV 뉴스가 단순히 영상과 문자를 통해 정보를 전달해 왔다면, 최근의 TV 뉴스는 가상현실(VR) 등을 이용한 시청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화려하고 재미있는 시각적 표현 기법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계보경(2007)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핵심 요소를 몰입감과 상호작용(Interaction)이라고 말하며, 이와 같은 기술들로 구현되는 생동감(Vividness)과 상호작용은 가상 공간의 현실감을 느끼게 하여 몰입을 높인다고 했다. 뉴스 제작자들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는 목적은 명확하다. 영상 시대의 시청자의 높아진 눈높이를 충족시키고, 인터랙티브 시대에 맞는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을 이용하여 뉴스가 좀 더 사실적이며 매력적으로 보이고, 시청자의 주의를 끌며,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 수용자들의 자연스런 몰입(Flow)을 유도하자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V 뉴스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의 전달 체계와 제작 유형별 분류를 살펴보는 한편, 시각적, 청각적, 정보적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몰입(Flow)이란 심리적 정보 전달의 분석을 통해 직접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TV 뉴스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의 몰입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 문제 1. 뉴스 가상현실 인포그래픽 수용자의 개인적 특성, 인지도, 중점요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수용자의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으로 본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에 대한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다. 시청 횟수로는 매일(40.0%), 1주일에 1, 2회 이상(40.0%)이 가장 많았고,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을 볼 때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요소로는 연령별, 성별, 학력별 모두 정보적 요소(42.1%), 시각적 요소, 몰입 요소(실재감, 현실감, 현존감) 순으로 나타나, 인포그래픽의 여러 구성요소 중 인포그래픽의 주 기능인 정보 전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연구 문제 2. 뉴스 가상현실 인포그래픽 표현 구성요소인 시각적, 청각적, 정보적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2-1] 가상현실 인포그래픽과 일반 인포그래픽은 시각적 구성요소인 이미지(영상, 2D, 3D, 그래픽),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에 대한 몰입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시각적 구성요소의 몰입 정도를 보면 가상현실 그래프형(이미지 t=17.313, 타이포그래피 t=7.246)과 가상현실 도표형(이미지 t=15.246, 타이포그래피 t=9.063)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상현실 인포그래픽 표현이 일반 인포그래픽 보다 시각적으로 좀 더 몰입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기타 의견으로는 너무 많은 정보 표현은 기사 내용 전달에 있어 주목도를 떨어뜨리며, 과한 시각 표현 또한 정보의 내용 전달보다는 시각 이미지만 기억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었다. [가설 2-2] 가상현실 인포그래픽과 일반 인포그래픽은 청각적 구성요소인 멘트(Ment)와 배경음악(BGM)·효과음(SE)에 대한 몰입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청각적 구성요소의 몰입 정도를 보면 가상현실 그래프형(멘트 t=6.920, 배경 음악·효과음 t=7.373)과 가상현실 도표형(멘트 t=8.674, 배경 음악·효과음 t=7.250)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상현실 인포그래픽 표현이 일반 인포그래픽보다 청각적으로 좀 더 몰입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상 [가설 2-1], [가설 2-2]의 검증 결과,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의 시각적 구성요소(3.70±0.731)는 청각적 구성요소(3.19±0.875)의 몰입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F.W. Sernedely(2010)는 인간의 감각이 정보를 받아들일 때 인지 정착도가 청각이 10%, 시각이 20%, 시각과 청각을 모두 활용하여 받아들인 경우는 65% 즉, 청각의 6.5배 시각의 3배가 된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가상현실 인포그래픽의 시각적 요소가 청각적 요소 보다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청각을 모두 활용한 경우 그 영향력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가설 2-3] 가상현실 인포그래픽과 일반 인포그래픽은 정보적 구성요소인 주목도(Attention), 정보습득(Information Retrieval), 이해도(Understanding), 회상도(Recall)에 대한 인지적 몰입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가상현실 그래프형(주목도 t=13.268, 정보습득 t=7.115, 이해도 t=9.634, 회상도 t=12.837)과 가상현실 도표형(주목도 t=12.458, 정보습득 t=9.001,이해도 t=10.429, 회상도 t=12.805)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각적으로 눈에 잘 들어온다’ 항목인 주목도와 ‘인포그래픽이 기억된다’는 회상도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박

      •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 및 도구 개발 :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조슬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고의 목적은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서술했고, 선행 연구를 검토 했다. 선행연구로는 크게 평가 범주에 관한 연구, 숙달도 평가에 관한 연구,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목표와 대상을 정했고, 범주를 설정, 그리고 주제와 기능을 제시했다. 평가 범주는 크게 정확성과 적절성으로 나누어서 설정했다. 정확성에는 발음과 문법, 적절성에는 담화 능력과 사회문화적 이해력으로 나누었고, 담화 능력 안에 어휘 사용과 담화 구성으로 묶었다. 기능과 주제는 국립국어원에서 배포하는 교재들을 분석해서 빈도 순으로 정렬한 후 높은 빈도순으로 설정했다. 3장에서는 평가 방식으로 CBT를 기반으로 한 말하기 숙달도 평가를 선택했고 각 문항의 유형과 예를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말하기 평가는 단일 시험이다. 토픽처럼 등급별로 시험을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험을 보고 그 점수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것이 비용이나 시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경제적이라 생각했기 때이다. 문항수는 10문항 소요시간은 약 30분으로 설정했다. 문항 유형은 KPE시험, 전나영(2007), 박동호(2012) 등을 참고하여 문항별로 수준을 나누고, 제가 연구할 시험이 중급 수준 이상의 수험자이기 때문에 중급 이상부터 고급까지의 문항유형으로 10문항을 설정하고 평가 범주별로 제시했다. 그 후 각 문항별로 예시를 제시한 내용이다. 그리고 채점방안을 마련했다. 채점등급은 1급부터 6급까지 나누었고 각 등급별로 세부 내용을 기술했다. 평가 범주별로 각 25%씩 비율을 적용하여 문항별 최소 4점, 최대 10점씩 총 100점 만점으로 평가 등급을 내리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분야에서 더욱 효율적인 평가 방법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런 연구들을 합리적인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초석을 다지려는 하나의 시도이자 하나의 안으로 보고, 실제로도 표준화된 말하기 평가 도구가 개발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and a tool of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chapter 1,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preceding researches are explored.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an assessment category, proficiency evaluation, and achievement evaluation. In chapter 2, goals and subjects of this study are determined. Then, assessment categories are set up, and their themes and functions are suggested. The assessment categories are divided mainly into accuracy and adequacy. The accuracy category contains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the adequacy category contains discourse competence and sociocultural comprehension, which includes vocabulary usage and discourse construction. Functions and themes in materials distribu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d selected. In chapter 3, CBT-based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selected as an assessment method, proposing types and examples of each question. The proficiency assessment which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is a single test. Unlike TOPIK, a test by grade, it seems economical in terms of cost of time to take a single test and classify grades according to scores. 10 questions in 30 minutes of run-time are set. Referring to KPE test, Cheon Nayoung(2007), and Park Dongho(2012) the types of ques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vels. Since examines with intermediate level or more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10 questions from intermediate to high level are suggested by assessment category. After that, examples of each question are listed, and grading measures are presented. From 1 to 6 grades, detailed contents are described. For assessment level, each category has 25% of full 100 marks, and each question has from minimum 4 marks maximum 6 marks. Lastly, in chapter 4, results of the study and more efficient assessment method and improvement in th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test are proposed. Korean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one of the fields that have not been researched enough. Although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that this study doesn’t include various learner groups, it can be a cornerstone to develop proper assessment tools. I anticipate actual proficiency assessment tool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학교도서관의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모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도서 보관 장소가 아닌 학교교육 과정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주이용자인 학생 및 교사가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교도서관의 위치로 운영자인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고 전국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써 첫째, 학교도서관의 ‘소재건물, 층수, 건물 내 위치, 면적’ 등의 요인들은 사서를 대상으로 한 학교도서관의 위치 만족도 조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도서관과 소음시설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사서들의 위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시설과의 근접성에 따라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 전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도서관 위치와 활성화의 관계에 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동성에 따라 사서들의 위치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도서관 이동성에 따른 사서들의 전체적은 도서관 위치 인식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또한 도서관 위치 변경 필요성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서관 내 시설보유 유무와 도서관과 다른 시설과의 연계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내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사서들은 타 시설과의 연계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서관내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서들은 타 시설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서관 활용수업에 따라 도서관 일일 평균 이용자 및 평균 대출권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서들이 인식하는 학교도서관의 적합한 위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확장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의 이동성이 좋은 본관, 건물 중앙부, 1층에 위치하여야 하며, 1층에 조성이 어려울 경우 2층에 설치하여야 한다. 셋째,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소음시설과는 먼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설치 또는 재설치 할 경우 전문인력인 사서와의 협의를 통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school library is now playing a greater role as a curriculum-oriented space instead of just a repository for books.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the awareness of librarians in these libraries to find the most optimal location for the school library to ease use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targeted school librarians around South Korea, and previous studies about school library facil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factors such as 'buildings, floors, position in building, and size' of school libraries appeared to make a larg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ans. Second, the location satisfaction of librarians appeared to be high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chool library and noisy parts of the facilit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 satisfaction of librarians following the school library mobility of students, and the entire library location awareness of librarians following the school library mobi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This correlation repres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library location change necessit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library possessed the entire facility and in the awareness of librarian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brary and other facilities. Although librarians in libraries with other facilities recognized positive aspects about the connection with other facilities, librarians in libraries without other facilities listed negative aspects about the connection with other facilities. Fifth,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daily average library use and average number of borrowed books following the library use class. Based on this study’s result, the proper location for school libraries according to librarians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installed in an expandable place in order to reflect chang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school library should be placed on the 1st floor,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in the main building where students' mobility is good. If it is hard to form on the 1st floor, it should be installed on the second floor. Third, it should be installed far from the noisy parts of the facility for users to enjoy a quiet and pleasant environment. Fourth, when installing or reinstalling the school library, the user's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of utmost importance through consultation with librarians, the professional manpower.

      •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현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사회문제 중 개인주의적 성향 증가, 탈공동체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또래 유아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배려적 사고를 올바르게 형성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비교집단 간 차이와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형성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제시한 인성덕목 여섯 가지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가 포함되어 있는 동화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화를 선정하였다. 인성동화를 선정한 후 미술, 게임, 동극, 요리, 뒷이야기 꾸미기 활동 중 동화의 내용과 주제에 부합하는 활동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20회차 협동활동을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협동활동을 수정·보완하고, 충청북도 C시의 현직 유아교사 5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3명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50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각기 다른 어린이집으로 임의 선정한 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이후 협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만을 실시 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배려적 사고 하위요인인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활동에 참여하기 전 유아들은 ‘무시하기’, ‘욕심내기’, ‘경쟁심 갖기’ 등의 모습으로 타인에 대한 경쟁심을 갖고 교구를 사용하는데 있어 욕심을 보였지만, 협동활동 프로그램 적용 이후 ‘다름을 인정하기’, ‘배려하기’, ‘함께하는 우리’ 등의 모습으로 타인을 이해하려는 모습과 타인의 긍정적인 면을 인정하며 배려하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들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공동체 경험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을 존중할 줄 아는 배려적 사고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에게 협동활동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와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기술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만 4세 유아들의 모습을 심도있게 나타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동화의 활용방안과 협동활동의 적용에 도움을 제공하고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paper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for guiding children to cooperate as a part of effort to present the solutions against the increasing tendency of individualism and de-communization phenomenon among serious social issues occurring to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This paper aims to help the children to build the proper considerate thinking for others and understanding the self by applying those cooperative activity. For identifying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such considerate thinking. The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Second, What is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observ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cooperative activity implemented in this paper selected the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among the picture books having the contents about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and filial duty, six virtues of characters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After determining the picture books, the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ontents and themes of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mong art, game, juvenile drama, cooking and creating sequel. Then, the cooperative activity for 20 classes was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eliminary research. 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resent in the city C in Chungcheongbuk-do and 3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lanned cooperative activity. Thus,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ly configured. The subjects were 50 children of full 4 years old in K and S day care centers in the city C. It was very difficult to do random sampling. Thus, two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nd the homogeneity between both groups was secu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after discus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program planned in this paper,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discussion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main program,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of considerate thinking, value adding thinking, emotional thinking, behavioral thinking, normative thinking and empathic think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experience the cooperative activity. The children were greedy when using learning tools with competitive spirit against others including 'ignoring', 'being greedy' and 'being competitive'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program, but showed the attitude for trying to understand others and accepting and considering the positive aspects of others including 'accepting difference', 'considering' and 'We sharing each other'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analysis on the program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had the positive impact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on building the considerate thinking understanding the self and respecting others' emotion through community activit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nsiderate thinking and characters by providing the experience for cooperative activity to the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described the attitudes of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in more details which could be observed in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by appl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help the application of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and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activity.

      • 포맷 수입 예능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들의 시청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TV 예능 프로그램 중국판 런닝맨 <달려라 형제>를 중심으로

        유우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최근 중국에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포맷 수입 예능 프로그램 <달려라 형제>(중국판 <런닝 맨>)의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주요 시청동기와 시청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기반으로 시청자들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게임형 예능프로그램 <달려라 형제>를 시청하며, 그로 인해 얻게 되는 만족도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시청동기와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이런 결과가 기존 논의와 유사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게임형 예능프로그램 <달려라 형제> 프로그램의 주요 시청 동기는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관심’과 ‘기분전환’, ‘시간보내기’, ‘정보획득’ 요인 등 4개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가장 핵심 동기는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관심’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로그램 장르와 구성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들 시청 동기는 시청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포맷 수입 예능 프로그램 시청동기 중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관심’ 요인은 시청 만족도에 대해 정(+)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 전환’ 요인과 ‘정보 획득’의 요인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시청동기 요인 중 ‘시간 보내기’ 요인은 시청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순히 시간을 보내기 위해 <달려라 형제>를 보는 사람은 프로그램 구성과 전개에 관심을 갖는 적극적인 시청자들에 비해 시청 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Since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for the Format-Imported entertainment programs’ audience, so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Chinese version <Running Man>, targeting a variety ages of viewers to look into their viewing behaviors, motivations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find out the purpose why the audience watching the Format-Imported entertainment programs and for this kind of purpos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s. Then found wha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ewing motivations and the satisfaction. First of all, the analysis shows that the viewing motivation factors of Chiness version <Running Man> are ‘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change the mood’, ‘to spend time’ and ‘information acquistion’.‘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ll. Secondly, the result demonstrate that the viewing motivations ‘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 ‘change the mood’, and ‘information acquisition’ d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 factor ‘spend time’ do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summary, this research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Format-Imported Entertainment Programs’ 4 viewing motivation factors and the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it's satisfaction.

      • Anti-aging Effects of Fermented Solanum melongena L. Peels Extract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its Cosmetics Development

        이주화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skin, being the outermost organ of the human body, provides a crucial barrier against various external stimuli. Skin exposure to ultraviolet radiation is known to induce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ributing to skin aging. ROS promotes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leading to collagen degradation. Numerous studies have focused on inhibiting ROS, revealing natural substance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The peel of Solanum melongena (eggplant) is rich in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demonstrat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haracteristics. Lactobacillus plantarum, a type of probiotic, is known for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aging efficacy of bio-converted eggplant peels (BEP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Hydrogen peroxide (H2O2) treatment was employed to induce oxidative stress in HDFs. BEPs showed no toxicity up to 100 ppm concentration in HDFs. BEPs also demonstrated wound healing efficacy in H2O2-damaged HDFs. BEPs decreased ROS levels and increas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H2O2-damaged HDFs. BEPs inhibited phosphorylation levels of ERK, p38, JNK, and NF-κB,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p16, p21, and p53 in H2O2-damaged HDFs. BEPs up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and SOD1 in H2O2-damaged HDFs. Furthermore, BEP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and IL-1β. Cream-type cosmetics containing BEPs were performed stability testing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Taken together, BEPs possess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ore than non-fermented EPs, making them an effective ingredient in anti-aging cosmetics. 피부는 우리의 몸에서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기관으로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한다. 피부는 외부 자극 중 하나인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때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하며 피부노화를 초래한다. RO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ROS를 억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항산화 효능을 갖는 천연물이 발견되었다. 가지(Solanum melongena)의 껍질에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이 존재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은 유산균의 한 종류로서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에서 발효된 가지껍질추출물 (Bio-converted Eggplant Peels, BEPs)의 항노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HDFs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해 H2O2 처리했다. BEPs는 HDFs에서 100 ppm까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H2O2로 손상된 HDFs에서 상처 치유 효능을 입증했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의 ROS level을 낮췄으며,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증가시켰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에서 ERK, p38, JNK,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했으며 마찬가지로 p16, p21 그리고 p53의 발현도 하향 조절했다. BEPs는 H2O2로 손상된 HDFs의 type I collagen과 SOD1의 mRNA 발현량을 상향 조절했다. 또한 BEP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IL)-6 및 IL-1β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또한 BEPs를 포함한 크림 타입 화장품은 여러 온도 조건에서 안정성 테스트가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BEPs가 항노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항노화 화장품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 In-situ 열중합을 통한 에피설파이드기를 지닌 고성능 LIB용 겔 폴리머 전해질의 합성 및 특성 연구

        전민혁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With the advent of an era in which all objects, from small objects to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are powered by batterie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high output, and high stability has increased.Electrolyte, one of the battery compon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lifespan, and efficiency of the battery, but currently commercialized liquid electrolytes have potential safety problems such as electrolyte leakage and explosion. Therefore, as research on solid electrolytes and gel polymer electrolytes progresses as an alternative, electrolytes based on poly(ethylene oxide) (PEO) are attracting great att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solid polymer electrolytes, there are still problems of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due to the strong interaction between oxygen and lithium, and poor ionic conductivity due to high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Therefore, this paper uses a poly(ethylene sulfide) (PES) structure that is cured with 'Thiirane', in which oxygen in the epoxy structure is replaced with sulfur, and has a lower bonding strength to lithium ions with a lower electronegativity than that of oxygen, thereby improving the smooth flow of lithium ions. In addition, it maintains an amorphous state by reducing the crystallinity within the polymer due to a shorter curing time than epoxy, and is expected to provide excellent interfaci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Polymer chains were produced using LiFSI as an initiator, and structur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H-NMR and FT-IR.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EC/DEC solvent, the produced electrolytes showed an ionic conductivity of 1.31x10-4 S/cm at room temperature and a lithium transference number (TLi+) of 0.83 at 50℃, and TGA and DSC Measurements showed a wide range of thermal stability from –41℃ to 150℃. In addition, in the case of electrolyte GPE-2, the LFP//Li battery shows an excellent discharge capacity of 140mAh/g at 50℃. After 100 cycles, the coulombic efficiency shows excellent performance of over 98%, and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electrode surface through SEM,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tability of LIB.

      • 아그로박테리움과 유전자총을 이용한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식물체 생산 체계 확립

        백선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팔레놉시스의 대량증식 체계와 Agrobacterium 및 particle bombardment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 노화지연 식물체를 생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량증식 체계 확립에 대한 실험에서 식물 재료는 강산농원에서 분양받은 ‘KNO21’ 품종을 사용하였고 배지 종류 실험 (VW, HCa, Knudson C, Orchimax)을 실시하였을 때 VW 배지에서 재분화율이 74.0±2.2 %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액체 고체 형태에 따른 PLB의 생장을 비교한 결과 고체배지에서 신초발생율은 36.3 %로 액체 배지보다 1.7 %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에 따른 PLB 생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농도 (0, 10, 20, 30, 40, 50 g/l)실험을 실시한 결과 10 g/l에서 30.3 %로 신초발생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PLB의 갈변 억제에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ascorbic acid (0, 50, 100, 150, 200 mg/l)와 activated charcoal (1 g/l)를 처리하였다. 생육과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처리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생육과 갈변을 8주간 관찰하였다. 갈변 억제는 ascorbic acid 200 mg/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생육은 ascorbic acid 150 mg/l에서 가장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activated charcoal 1 g/l처리에서는 무처리구보다 갈변이 높은 것을 확인하여 activated charcoal의 갈변 억제 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다. 형질전환 실험에서는 Agrobacterium 매개 방법과 유전자 총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형질전환 시 BASTA를 이용하여 1차적 선발을 위해 비 형질전환체를 가지고 0.01, 0.05, 0.10, 0.15 % 처리한 기본 VW배지에 증식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BASTA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개체들이 4주차에서 대부분이 고사하여 최적의 농도를 0.01 %로 선정하여 형질전환 선발을 진행하였다. Agrobacterium 접종 처리에서는 침봉처리 실험에서 (침봉, 무침봉) 무침봉처리가 1.87±0.75 %로 침봉처리보다 형질전환 효율이 높았으며, 균 OD600 농도 처리 (0.5, 1.0, 1.5, 2.0)에서는 OD600 0.5에서 13.19±4.01 %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접종시간 비교 실험 (5, 10, 20, 30분)에서는 30분에서만 1.18±0.50 %로 형질전환체를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총 실험에서는 이격거리 (3, 6, 9 cm)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이격거리 6 cm에서 약 25 %, 삼투압 처리실험에서는 0.2 M mannitol + 0.2 M sorbitol에서 20.7±1.5개의 PPT 저항성 PLB를 확인하였으며, bombardment 횟수 (1, 2, 3회)에 따른 형질전환 비교실험에서는 2회에서 10.3 ± 1.5개의 PPT 저항성 PLB를 확인하였다. 1차적으로 선발된 PLB를 이용하여 분자적인 분석을 한 결과 ORE7 gene (936 bp)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형질전환 된 개체를 가지고 재 분화를 한 후 순화까지 완료된 발육이 좋은 몇 개체에서 꽃봉오리가 맺힌 후 정상적으로 개화를 하였다. 비형질전환체와 ORE7 유전자를 가진 개체간의 특이한 사항은 없었지만 꽃봉오리 개수가 ORE7 유전자를 가진 개체에서 4-5개 가량 더 많은 것을 확인하여 이는 유전자의 발현으로 인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위의 결과들을 가지고 팔레놉시스의 대량증식 체계 및 형질전환체 생산에 대한 체계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system of Phalaenopsis and transformation system using Agrobacterium by using particle bombardment methods, and produce aging delay plants. In the experiments for establishing the mass propagation system, a ‘KNO21’ cultivar given by Kangsan Farm is used as a plant material. When media type tests (VW, HCa, Knudson C, Orchimax) are performe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n VW media is 74.0±2.2 %, which is the best. As the results of comparing PLB growth on a liquid or solid media, the shoot regeneration percentage on the solid media is 36.3%, which is higher than that on the liquid media by 1.7 %,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observed. We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ucrose concentrations (0, 10, 20, 30, 40, 50 g/l) on PLB growth. As the results, the shoot regeneration percentage is 30.3 % on 10 g/l. Based on these results, we treat them with ascorbic acids (0, 50, 100, 150, 200 mg/l) and activated charcoal (1 g/l)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to suppress browning of PLB. We observe growth and browning for 8 weeks as the experiment to find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group for growth and browning suppression. It is found that browning suppression is the most effective in ascorbic acid of 200 mg/l but growth is the fastest in ascorbic acid of 150 mg/l. Since it is found that browning is higher in the group treated with activated charcoal of 1 g/l than that in a control group, activated charcoal is not effective for browning suppression. We use an Agrobacterium-mediated method and a gene gun for transformation experiments. First, we observe the propagation of non-transformants on basic VW media treated with 0.01, 0.05, 0.10 and 0.15 % for the first screening when transformed with BASTA. As the results, most of cultivars are died in all treated groups except a control group without BASTA in the 4thweeks. Thus, we carry out the screening for transformation at 0.01 % as the optimal concentration. In groups treated with Agrobacterium,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is 1.87±0.75 % in groups without needle holders and it is higher than that in groups treated with needle holders. When it is treated with bacterial OD600 concentration (0.5, 1.0, 1.5, 2.0), a group treated with OD600 of 0.5 shows the efficiency of 13.19±4.01 % which is the highest. We perform experiments to compare inoculation time (5, 10, 20, 30 minutes) and we find transformants with the efficiency of 1.18±0.50 % only in 30 minutes. We perform distance (3, 6, 9 cm) experiments using a gene gun, we find about 25 % in the distance of 6 cm. In the experiments treated with osmotic pressure, 20.7±1.5 of PPT resistant PLB is found in 0.2 M mannitol + 0.2 M sorbitol.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compare transformants depending on bombardment frequency (1, 2, 3 times), 10.3±1.5 of PPT resistant PLB is found in 2 times. As the results of molecular analysis using PLB selected as the first screening, we identify ORE7 gene (936 bp). In several transformants with excellent development where acclimation is completed after re-differentiation, they put out buds and these buds normally develop into flower. There is nothing significant between non-transformant and transformants containing ORE7 gene, but transformants containing ORE7 gene have more buds by 4-5 than non-transformants. It may be caused by the gene expression. Our results will be useful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system of Phalaenopsis and transformation production system.

      •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교수방법 중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연계하여 유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실험․비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누리과정 지도서와 수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여 본 프로그램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누리과정 자연탐구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에 부합하는 동화를 선정하고 그와 연계하여 이야기 나누기, 미술, 게임 등 적절한 통합 활동을 포함하여 20회로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만 5세 담임교사 3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에 대한 각 활동은 세부내용에 적합하도록 계획․실행하였으며, 수학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과정을 거친 후 연계된 통합 수 프로그램을 직접 실천해 보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48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어 바다반 24명은 실험집단, 하늘반 24명은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에는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스토리텔링 과정만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누리과정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더니 유아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습득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가 생겨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유아들의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데 혼란을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figured an integrated math program in which young children can directly participate through storytelling, a teach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earned great popular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is progra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To configure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goals and directions were established after a survey of the NURI curriculum textbooks and previous studies in math education.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a total of 20 classes including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story sharing, fine arts and games after selecting fairytales that pair with natural and mathematical exploration in the NURI curriculum. The program was corrected and improv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feasibility was approved by three professionals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5-year-old preschooler teachers. A final version was then completed.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theme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and calculatio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space and figure’, ‘basic measurement’, ‘understanding of rules’ and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ult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for each theme were plann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 detailed plan. They were designed for young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math program after going through a math storybook-based storytelling proces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48 5-year-old preschoolers at ‘D’ Kindergarten in ‘I’ City were chosen. Because of difficulties in random sampling, the ‘Bada’ class and ‘Haneul’ class (24 children each)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nd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ensured. During the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a storytelling lesson only was given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related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far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erms of self-efficacy scores as wel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designed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as applied, therefore, young children were faster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showed an interest in math,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In addition, the program allowed young children believe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tasks with confidenc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some confusion and difficulty in carrying out storytelling math and an integrated math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specific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teachers who want to introduce a program like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