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Gemcitabine/Cisplatin을 이용한 동시 화학 방사선 요법

        옥철호(Chul Ho Oak),김자경(Ja Kyung Kim),장리라(Lee La Jang),문대성(Dae Sung Moon),장태원(Tae Won Jang),정만홍(Maan Hong Jung),조성환(Sung Whan Cho),정태식(Tae Sig Je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3

        목 적: 국소 진행성 폐암에서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 요법이 표준 요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항암제의 그 사 용시기와 방법에 있어서는 확립된 바가 없어서 gemcitabine, cisplatin 병용화학요법과 동시 방사선치료의 치료효 과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요법시 gemcitabine 500 mg/m2, cisplatin 30 mg/m2 요법은 2주 간격으로 환자의 순응도에 따른 방사선치료 기간의 변동을 감안해서 3∼4회 치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흉부방사선치료는 1일 1회 1.8 Gy 씩, 주5회 분할조사 하였으며, 원발병소와 종격동 및 전이를 나타낸 림프절을 포함한 부분에 50.4 Gy를 조사 후 질환이 진행되지 않았을 경우 원발 병소에 18 Gy를 추가 조사하였다. 공고 화학요법은 3주 간격으로 2∼3회 치료하였다. 치료반응의 판정은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요법 후와 공고 화학요법 후에 각각 WHO의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했다.결 과: 29명의 대상 중,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요법 후 완전관해는 1명(4%), 부분 관해는 20명(69%)이었고 공고 화학요법이 마친 후 치료 판정에서 완전 관해는 3명(10%), 부분 관해는 21명(72%)이였다. 중앙 생존 기간은 16개월(2.4∼39.2개월)이고 1년 생존율은 62.7%, 2년 생존율은 43.9%, 3년 생존율은 20%이었다. 치료 도중 독성의 빈도는 3도 이상의 과립구 감소증이 11명(37.9%)이었고 3도 이상의 식도염이 15명(51.7%)이 발생하였다. 2도 이상의 폐렴은 6명(20.7%)에서 발생하였다.결 론: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gemcitabine 500 mg/m2과 cisplatin 30 mg/m2의 2주 간격 투여와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높은 치료반응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3도 이상의 식도염과 폐렴이 예상보다 많이 관찰되어 이에 대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항암제의 용량조절, 방사선조사량의 조절과 특수 방사선치료방법들의 개발이 필요하리라고 판단되었다. Purpose: In cases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is the leading therapeutic modality. However, much controversy exists about the chemotherapeutic regimens and radiation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hree or four cycles of gemcitabine (500 mg/m2) and cisplatin (30 mg/m2) were administered every two weeks while 50.4 Gy of irradiation was administered in 28 fractions (once/day, 5 treatment days/week) to the tumor site, mediastinum, and the involved lymph node region. In addition, a booster irradiation dose of 18 Gy in 10 fractions was administered to the primary tumor site unless the disease progressed. Two or three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were performed with gemcitabine (1,200 mg/m2, 1st and 8th day) and cisplatin (60 mg/m2) every three weeks. Results: A total of 29 patients were evaluable for modality response. Response and treatment toxicities were assessed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nd consolidation chemotherapy, respectively. One patient (4%)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whereas 20 patients (69%) achieved a partial response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ing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three patients (10.3%) achieved complete responses and 21 patients (72.4%) achieved partial respons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range 3∼39 months)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6 months (95% CI; 2.4∼39.2 months). The survival rates in one, two, and three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were 62.7%, 43.9%, and 20%, respectively. Complications associated to this treatment modality included grade 3 or 4 esophagitis, which occurred in 15 patients (51.7%). In addition, an incidence of 24% for grade 3 and 14% for grade 4 neutropenia. Lastly, grade 2 radiation pneumonitis occurred in 6 patients (22%). Conclusion: The response rate and survival tim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biweekly gemcitabine (500 mg/m2) and cisplatin (30 mg/m2) were encouraging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However, treatment related toxicities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further modification of therapy seems to be warranted.

      • SCOPUSKCI등재

        성별에 따른 원발성 폐선암 환자들의 차이

        박은호 ( Eun Ho Park ),장태원 ( Tae Won Jang ),장리라 ( Li La Jang ),백종현 ( Jong Yun Paek ),옥철호 ( Chul Ho Oak ),정만홍 ( Mann Hong Jung ),장희경 ( Hee Kyung J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2 No.3

        연구배경: 원발성 폐 선암은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해 흡연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 암종으로 폐 선암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폐 선암으로 처음으로 진단된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혈액학적, 흡연력, 돌연변이, 병리조직, 생존 기간 및 치료방법에 따른 반응 등을 조사하여 폐 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남녀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총 438명의 환자 중 남성이 259명(59.1%), 여성이 179명(40.1%)으로 남성이 많았고, 50세 이전에서의 남녀 유병률은 여성이 25.8%로 남성의 17.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 흡연율은 남성이 86%, 여성이 18%로 남성에서 월등히 높았고(p=0.000), 전체 중간 생존기간은 남성이 639일, 여성이 823일로 여성에서 높았다(p=0.01). 전혈구검사상 혈색소가 12 g/dL 미만인 경우는 여성이 64.6%로 남성의 32.4%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종양 표지자 중 CEA가 5 ng/ml 이상인 경우는 여성이 68.1%로 남성의 32.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0). 병기에 따른 남녀 구성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EGFR 및 K-ras 돌연변이도 남녀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직학적 소견상 기관지 폐포암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던 경우는 여성에서 20명(11.2%), 남성에서 13명(5.0%)으로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5). 수술을 받은 76명의 환자를 다시 항암치료를 받은 군(57명)과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군(19명)으로 나누어 생존기간을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항암치료를 병행한 군에서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01), 수술만 받은 환자군에서는 남녀간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술과 항암 치료를 병행한 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가지지 못했으나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생존기간이 더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4). 결론: 폐 선암 환자에서 남녀 성별에 따라 혈액학적, 흡연력, 기관지 폐포암의 구성 비율, 전체 중간 생존 기간 및 치료 방법에 따른 남녀 생존 기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폐 선암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이러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incidence of adenocarcinoma of the lung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it has been generally been accepted to be relatively unrelated to smoking with a female preponder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related pathological and survival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linical information of patients diagnosed with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at Kosi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05 was performed. The patient`s demographics (age, gender), smoking history, stage, serum tumor marker, pathology classification, EGFR mutation, K-ras mutation, treatment methods, and survival time were analyzed. Result: Of the 438 patients, 179 (40.9%) were female. The median age at the diagnosis was 58 years for females and 59 years for males. However, 25.8% of women and only 17.7% of men were under 50 years of age (p=0.02). The distribution of the disease stage was similar in both men and women. The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component was diagnosed more often in women (11.2%) than in men (5.0%).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1), and women had a superior therapeutic response to a combined treatment of surgery and chemotherap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genders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moking history,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component, overall survival, and survival after combined treatment of surgery and chemotherapy. Therefor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diagnosing and treating adenocarcinomas of the lung. (Tuberc Respir Dis 2007; 62: 203-210)

      • SCOPUSKCI등재

        식도-종격동 누공을 동반한 식도결핵

        박은호 ( Eun Ho Park ),장태원 ( Tae Won Jang ),박무인 ( Mu In Park ),송준영 ( Jun Young Song ),최인수 ( In Su Choi ),옥철호 ( Chul Ho Oak ),정만홍 ( Maan Hong Jung ),권진환 ( Jin Hwan Kwo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2 No.6

        The esophagus is a rate site for rarely involved site of tuberculosis. The most common cause of esophageal tuberculosis is secondary involvement from adjacent tuberculous lymphadenitis. Esophago-nodal or esophagobronchial fistulas may be formed when tuberculous lymph nodes erode the adjacent esophageal or bronchial wall. We report a patient diagnosed with esophageal tuberculosis, which was complicated by an esophago-mediastinal fistula, by endoscopy, sputum acid fast bacilli (AFB) stain,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and an esophagogram.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agents and chest CT and endoscopy showed that the fistula had closed completely. (Tuberc Respir Dis 2007; 62: 531-535)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폐암환자의 경기관지 생검조직에서 MAGE 및 GAGE 발현

        정만홍(Maan Hong Jung),김지호(Ji Ho Kim),김지혜(Ji Hae Kim),박기룡(Ki Ryong Park),옥철호(Chul Ho Oak),조현명(Hyun Myung Cho),장태원(Tae Won Jang)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1

        N/A Background: There has been significant pr ogress in the identification of tumor associated antigens. Among the tumor associated antigens, MAGE (melanoma antigen), BAGE, GAGE, PRAME, NY-ESO were named as cancer/testis specific antigens since they are only expressed in the testis or cancer cells. Because of their relative specificity, they have been considered as the appropriate targets for the specific immunotherapy, or the early diagnosis of several cancers. In bronchogenic cancer, these antigens would be useful as a promising candidate in the screening test or immunotherap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MAGE and GAGE genes in the bronchogenic cancer tissues obtained by bronchoscopy. Methods: In five normal bronchial and 26 cancer tissues obtained by bronchoscopic biopsy from 26 bronchogenic cancer patients, total cellular mRNA was extracted. Then RT PCR was run in 35 cycles, with two different kinds of primers designed to detect the several subtypes of MAGE DNA simultaneously and the similar process to detect GAGE DNA was also done. Concurrently, DNA sequencing of the isolates was done in portion to prove the isolates are cloned MAGE and GAGE DNA. With probes confirmed by DNA sequencing, the isolates were reevaluated by Southern blotting. Then the expression of MAGE or GAGE in the bronchogenic cancer tissues was evaluated by the tissue types and clinical staging. Results: In the five controls, MAGE or GAGE was not detected in any specimen and beta actin was not expressed in 4 cases, suggesting the specimen might be too small to detect beta actin by 35 cycles of PCR. In the 26 cancer tissues, the expression rate of MAGE and GAGE was 42.3% (11/26) and 42.3% (11/26) respectively and MAGE or GAGE were expressed in 17 cases (65.3%). Neither clinical staging nor tissue types were associated with the expression of MAGE or GAGE. Bet a actin was not detected in 11 cases of cancer specimen, but MAGE or GAGE were expressed in 10 cases of them. Conclusion: Using these primers in detection of MAGE or GAGE genes in the bronchoscopic cancer tissues obtained by bronchoscopy biopsy tissues seems to be effective or complimentary method in screening of bronchogenic cancer patients, who would be the candidate for the possible immunotherapy.(Korean J Med 62:58-68, 2002)

      • KCI등재후보

        필리핀 뚜게가라오 지역에서의 마을보건원 훈련 프로그램 개발 사례

        김정민(Jung Min Kim),이혜연(Hye Yeon Lee),박대진(Dae Jin Park),옥철호(Chul Ho Oak),전만중(Man Joong Jeon),유병철(Byeng Chul Yu),고광욱(Kwang Wook Koh),이용환(Yong Hwan Lee)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3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 단기적으로 시행 가능한 마을 보건원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일개 지역에서 운영, 평가해봄으로서 훈련프로그램의 실제 적용가능성과 효용성을 평가해보고 향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지역은 필리핀의 최북단에 위치한 카가얀주의 주도인 뚜게가라오시와 그 인근지역으로서 옥수수와 쌀농사를 주로 짓는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다. 마을 보건원 훈련 대상자는 뚜게가라오시 인근마을에 거주하는 25세 이상 40세 미만의 기혼자로 현지 언어로 읽고 쓰기가 가능한 사람으로 제한하여, 15개 마을 32명을 선정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 외에서 시행된 마을보건원 훈련프로그램의 분석과 필리핀의 보건지표상의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들에 기반을 두었으며,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평가지를 개발하여 32명중 29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마을 보건원 훈련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접근전략을 필리핀의 보건지표와 현지 협력조직에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목적은 뚜게가라오 지역의 건강수준 향상이며 이를 달성하기위한 투입, 과정 및 산출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마을 보건원 훈련프로그램들의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선정기준, 훈련의 내용 및 방법, 지급해야 할 물품목록, 추적 관찰방법 등의 세부항목을 설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지의 협력조직과 함께 시범운영하였다. 32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7.9세였으며 현지 언어로의 읽고 및 쓰기가 가능했다. 현지사정으로 인해 훈련은 집중적인 강의와 실습위주로 하루만 진행되었다. 평가를 위해 평가설문지를 개발하였다. 훈련프로그램에의 준비정도와 주제선정 등에 대한 만족도와 지식, 기술의 습득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를 10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강의의 주제선정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86점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훈련방법에 대한 만족도, 기술의 습득정도, 준비정도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평균점수가 높았다.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평균 8.95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의 사정으로 인해 프로그램이 하루일정의 강의와 실습위주로 운영되었고, 지급한 물품의 미비와 평가의 방법이 단순한 만족도 조사에 불과한 제한점이 있으나, 연구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지식, 기술의 습득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훈련에 대한 열의는 높았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현지에서 마을 보건원 훈련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심화과정의 운영과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보건수준이 열악한 지역의 일차보건 서비스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ecute the village heath worker(VHW) training program which based on short term overseas medical volunteer and medical mission. Methods: Through case studies of previous VHW program and review articles about the state of medical volunteer and medical mission, we developed the VHW training program. Pilot test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Tugeugarao city, Phillipines on July, 2008. The subject were 32 persons from 15 villages around Tuguegarao city. After training we surveyed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training and the degree of getting knowledge and skills. Results: Through article review, we got the common subjects of previous VHW training program and the limitations of overseas medical volunteer and medical mission. We developed VHW training program aiming to community health promotion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hange. The main text was "Where There Is No Doctor" of Hesperian Foundation. The program executed through 1 day intensive lecture and practice.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8.95±1.70 on 10 point rating scale. Conclusions: We strongly expect VHW training program can be available as new model of short overseas medical volunteer as well as medical mission if we could systemize it with the confirming subject before training , management after training and continuous support through connection with the field.

      • KCI등재후보

        호흡기 ; 여성 폐암 환자에서 Gefitinib과 Erlotinib 치료 성적 비교

        문대성 ( Dae Sung Moon ),장태원 ( Tae Won Jang ),옥철호 ( Chul Ho Oak ),정만홍 ( Maan Hong Jung ),김도현 ( Do Hyun Kim ),최인수 ( In Soo Choi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2

        목적: 우리나라에서 비소세포폐암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여성 폐암은 대부분이 비흡연자이고 선암이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티록신 키나아제 억제제가 동양인 여성에서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gefitinib과 eroltinib은 작용기전은 비슷하나 용량의 차이가 있어 각각의 치료 성적이 보고자 마다 조금씩 달라 두 약제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2월 2007년 4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받은 여성 폐암 환자들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한달 이상 gefitinib, erlotinib을 복용하고 치료 평가가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 약물투여 기간, 독성의 발생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는 42명이었고, gefitinib 치료군은 26명, erlotinib 치료군은 16명이었다. 나이의 중간값은 58세였고, 85%가 비흡연가, 83%가 선암이었으며, 병기는 IIIb가 13명(24.0%), IV가 16명(76%)이고, 생존일 중앙값은 793일이었다. gefitinib으로 치료한 군이 26명(62%)이었고, 이 중 18명(69.2%)이 3차 화학요법으로 이 약제를 사용하였고, erlotinib을 사용한 16명 중 12명(87.5%)이 2차약으로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치료 반응율은 14명에서 부분 관해를 보여 33.3%의 반응율을 보였고, 안정성 병변을 포함한 질병 조절율은 76.2%이었다. gefitinib군의 치료 반응율은 39%, erlotinib군 31%이었으며 양군 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고, 평균 생존 기간이 각각 651일, 510일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약제 투여 기간의 중앙값은 gefitinib군에서 186일, erlotinib군이 262일로 erlotinib군에서 길었으나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피부 독성은 gefitinib군이 27%, erlotinib군 75%로 erlotinib군에서 많이 나타났다. 결론: Gefitinib군과 erlotinib군의 치료 반응율과 생존기간 및 약제 투여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Erlotinib군에서 피부 발진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Background/Aims: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lung cancer: most females with lung cancer are non-smokers and they are diagnosed with adenocarcinoma.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TKIs) are more effective in female lung cancer patients, but the results with gefitinib and erlotinib differ. This study compared the therapeutic response and toxicity of gefitinib and erlotinib in female lung cancer patients.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information on patients treated with gefitinib or erlotinib for more than one month at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from February 2004 to November 2007. Results: Forty-two patients (26 gefitinib vs. 16 erlotinib) were enrolled during this period. Their median age was 58 years. Thirty-six patients (85%) were non-smokers and 35 patients (83%) had adenocarcinoma. There were 24% at stage IIIb and 76% at stage IV.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793 days. In the gefitinib group, 69% of the patients received 3rd-line chemotherapy, while 12 of 16 (87.5%) in the erlotinib group received 2nd-line chemotherap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response rate (gefitinib 39% vs. erlotinib 31%, p=0.524), median survival time (gefitinib 605 days vs. erlotinib 510 days, p=0.455), and time to progression (gefitinib 186 days vs. erlotinib 262 days, p=0.660). Rashes were more common in the erlotinib group (73.3% vs. 27%, p<0.001).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rate, overall survival, and time to prog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Rashes were more common in the erlotinib group. (Korean J Med 76:179-185, 2009)

      • SCOPUSKCI등재

        Pyrazinamide에 의한 전격성 간부전

        문대성 ( Dae Sung Moon ),장태원 ( Tae Won Jang ),옥철호 ( Chul Ho Oak ),정만홍 ( Maan Hong Jung ),유찬희 ( Chan Hui Yoo ),송준영 ( Jun Young Song ),김성은 ( Sung Eun Kim ),김자경 ( Ja Kyung Kim ),장리라 ( Lee La Jang ),이은영 ( Eu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5

        Standard antituberculous therapy, including isoniazid (INH), rifamp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PZA), is widely used to treat active tuberculosis. The most important side effect is hepatotoxicity. In a standard four-drug regimen, PZA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rug-induced hepatitis and was dose-related. The incidence of drug-induced hepatitis is high at doses of 40∼70 mg/kg per day but has fallen significantly since the recommended dose was reduced. Liver toxicity induced by PZA is rare at doses of 25 mg/kg per day or less. PZA-induced fulminant hepatic failure is also rare but fatal. We report a case of fulminant hepatic failure caused by a re-challenge of PZA. (Tuberc Respir Dis 2007;63:435-439)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