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골 이식술로 치료한 상완골 과간 분쇄 골절 불유합

        오진록 ( Jin Rok Oh ),이창호 ( Chang Ho Lee ),권기연 ( Ki Yeon Kwon ),정회정 ( Hoi Jeong Chu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Nonunion of comminuted distal humeral fracture is troublesome problem to orthopedic surgeon. We report a case of 59 years old woman, who suffered nonunion of comminuted distal humeral fracture previously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and screws concomitantly autoiliac bone graft. We reconstructed humeral condyle with fibular inlay graft inside cortical shell of intercondylar bone fragmen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 in radiological and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성인의 상완골 원위부 과간 분쇄 골절

        오진록 ( Jin Rok Oh ),윤여승 ( Yeo Seung Yoon ),이동규 ( Dong Kyu Lee ),허만승 ( Man Seung Her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원위 상완골 과간 분쇄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에서 수술 방식에 따른 치료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수술적 치료를 했던 원위 상완골 과간골절 환자 2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년 4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수술부 도달법, 금속판의 종류 및 내고정 위치에 따라 Broberg와 Morrey의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적 평가는 우수 7예, 양호 6예, 보통 1예, 불량 1예였다. 운동범위는 평균 굴곡구축 7도, 후속굴곡 106도였다. 경주두 도달법을 사용한 경우 평가 지수가 86.6점, Campbell의 후방도달법을 사용한 경우 90.5점이었으며, 재건 금속판과 1/3 반통형 금속판을 이용한 경우 내고정 실패의 1예 (기능지수 57점)를 제외하면 기능지수가 평균 86.3점을 보여 금속판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후방과 측방을 고정한 경우 기능 지수가 88.9점이었고, 후방과 후방을 고정한 경우 기능 지수가 86점이었으며, 측방과 측방을 기능 지수가 97점을 보여 측방과 측방을 고정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증례수가 적어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원위 상완골 과간 분쇄 굴절의 치료에서 수술부 도달법에 따른 치료 결과의 차이는 없었고, 사용된 금속판의 종류 및 고정 방식에 따른 치료 성적의 차이도 없었다. 따라서 골절에 대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수술적 방법이면서 동시에 시술자에게 익숙하고 환자의 수술 조건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esults of communited intercondylar fractures of the distal humerus that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4, we reviewed fifteen cases of intercondylar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six month to 5 year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Broberg and Morrey`s functional scale according to surgical approach, type of plate and location of plating. Result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s follows; seven excellent, six good, one fair and one poor. The mean range of motion in elbow joint was 7 ~ 106°.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6.6 points through olecranon osteotomy, 90.5 points through Campbell`s posterior approach.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91.6 points in cases using 2 reconstruction plate, 78 points in cases using 1 reconstruction plate and 1/3 semitubular plate, and 86 points in case using 1 reconstruction plate and lag screws.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8.9 points in cases by posterior and lateral fixation, 86 points in cases by both posterior fixation and 97 points in case by both lateral fixation. Conclus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eatment outcome according to surgical approach, different plate and location of plating.

      • KCI등재

        제4, 5 중수골 기저부 관절 내 골절의 조기 고정술과 지연 유합술간의 비교

        오진록 ( Jin Rok Oh ),이창호 ( Chang Ho Yi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1

        목적: 제4, 5 중수골 기저부 관절 내 골절에 대해 조기 고정술을 시행한 군과 지연 중수-수근관절유합술을 시행한 군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조기 고정술을 시행한 21예와 골절 후 발생한 불유합의 치료로 수근-중수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9.9개월, 최종 추시 시 단순방사선 사진으로 골유합 여부를 확인하고 DASH-questionnaire, VAS pain scale, 악력 및 제4, 5수지 중수-수지 관절의 운동 범위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기 고정군과 지연 유합군 모두에서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임상적 결과 중 관절운동 범위, DASH-questionnaire, VAS pain scale에서 조기 고정군이 지연 유합군에 비해 유의하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value<0.05). 결론: 제4, 5수지 중수골 기저부 관절 내 골절은 조기 고정술이 지연 유합군에 비해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이므로, 조기 진단에 따른 적절한 고정술을 통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between early fixation group and delayed fusion group in treatment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4th, 5th metacarpal ba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6, 21 cases of early fusion and 11 cases of delayed fusion of 4, 5th carpometacarpal join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o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verage follow up period is 39.9 months. Bony union was checked by plain films at follow up. DASH-questionnaire, VAS pain scale, grip power and range of motion of 4th, 5th metacarpophalangeal joint were also checked at last follow up. Results: In radiologic study, bony union was confirmed in all cases of two groups. Early fixation group showed better outcomes than delayed fusion group in range of motion, DASH-questionnaire and VAS pain scale with statistical significant (p<0.004). Conclusion: Because early fixation group showed better clinical outcomes than delayed fusion group, early diagnosis and proper surgical treatment are important for better outcomes in treatment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4th, 5th metacarpal base.

      • KCI등재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금속판 내고정술과 외고정술의 비교

        오진록 ( Jin Rok Oh ),조태연 ( Tae Yean Cho ),권성민 ( Sung Min Kwan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 요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로서 요측 굴곡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경피적 핀고정술 및 외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불안정 원위요골 골절로 치료받은 60세 이상 골다공증을 동반한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내고정술(1군) 혹은 외고정술(2군)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후향적 분석을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범위, DASH 점수, BMD 점수는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악력 및 PRWE 점수는 2군에서 높았다(p<0.05).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요측 기울기, 수장굴곡은 1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60세 이상의 불안정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요측 굴곡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관절면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해주어, 수술 후 완관절의 운동을 조기에 허용하며, 핀 주변 감염, 관절 강직 등의 술후 합병증이 낮아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에 유리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compare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volar plating to that of external fixation for treating unstable osteoporotic distal radi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March 2008, 36 patients with osteoporosis over 60-year ol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volar fixed angle plate) and group II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n range of motion and DASH score, BMD score. However, the grip strength and PRWE score were found to be higher in group II (p<0.05). In radiologic evaluation, group I showed higher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ing angle (p<0.05).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Volar-fixed Angle Plate seems to give more stable fixation for distal articular fragments compared to external fixation. it could allow early postoperative exercise and could result in low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such as pin track infections and joint stiffness. Therefore, the internal fixation could be more desirable treatment method to manage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

      • KCI등재

        주상골 골절 및 불유합

        오진록 ( Jin Rok Oh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1

        Fracture of scaphoid is relatively common, and accurate and prompt diagnosis leads to bony union with good clinical outcome. However, it can be easily missed due to vague symptomatic complaints by patients, which in turn leads to negligence of a doctor in making the diagnosis or anatomical shape of scaphoid that causes minute fracture to be ignored while viewing simple radiography. When missed, nonunion of scaphoid gradually progresses to arthritic change in the wrist. Thus when fracture of the scaphoid is suspected, further evaluation should be initiated with care, and if the diagnosis is confirmed, a proper treatment plan must be set with assessment of stability of the fracture fragment. Internal fixation is usually proposed since solid fixation of the fracture provides early return to daily activity. When nonunion of the scaphoid is present, most patients can achieve bony union with avascular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However, if there is sclerotic change, large bone cyst or avascular necrosis of the fracture fragment, internal fixation with bone graft that includes vascular supply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achieve bony union.

      • KCI등재

        가골 신연술로 치료한 무지내반증을 동반한 선천성 제 1중족골 단축증증 -증례 보고-

        황성관,오진록,이두희,Hwang, Sung-Kwan,Oh, Jin-Rok,Lee, Doo-Hee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999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3 No.1

        Brachymetatarsia of the first metatarsal is uncommon. It may occur as a congenital condition. Hallux varus is the name given to a medially deviated position of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with a nonpurchasing hallux in varus position. To have a patient with not only both hallux varus and brachymetatarsia, but for the brachymetatarsia to occur about the first metatarsal, is extreml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brachymetatarsia of the first metatarsal with hallux varus treated by callotasis. Excellent cosmetical and funtional outcome were obtained. So we reporting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자가 비골이식술을 이용한 족관절 유합술: 2예 보고

        이창호,윤원식,오진록,Yi, Chang-Ho,Yoon, Won-Sik,Oh, Jin-R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2

        Recentl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joint replacement therapy, the need for arthrodesis has been decreasing. However, result of joint replacement is not always satisfactory, and most cases are rather indicative to ankle arthrodesis than ankle replacement. Often, ankle arthrodesis can be more beneficial salvage method to treat cases with failure in joint replacement therapy, talar avascular necrosis with massive bone defect, talus fracture with severe comminution and bone defect and ankle dislocation. In cases with large bone defect that need to be treated with ankle arthrodesis using internal fixation, it is difficult to fill the defect with conventional auto-iliac bone or all-bone graft. Thus, we make a report on our experience in treating 2 cases with ankle arthrodesis using auto-fibular bone graft and plate fixation.

      • KCI등재

        손목의 척측 건에 발생하는 문제들

        이정은(Jung Eun Lee),오진록(Jin Rok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손목의 척측 해부학적 구조물은 작고 복잡하기 때문에 손목의 척측 통증에 대한 진단은 어려운 점이 많다. 건과 관련하여 손목의 척측에 통증을 호소할 때는 척수근신건(extensor carpi ulnaris tendon)과 척수근굴건(flexor carpi ulnaris tendon)에 의한 통증을 감별 진단해야 한다. 척수근신건에 의한 통증은 아탈구, 탈구, 협착성건막염과 건병증을 고려해야 한다. 척수근굴건에는 건초가 없기 때문에 척수근신건에서 발생하는 아탈구, 탈구, 협착성건막염이 발생하지 않는 대신에 칼슘 침착성 건염과 결절성 건병증이 많이 발생한다. It is challenging for orthopedic surgeons to diagnose pain at the ulnar aspect of the wrist due to the small and complex anatomical structures involved. Ulnar-sided wrist pain can also result from tendon problems, including extensor carpi ulnaris tendon and flexor carpi ulnaris tendon. Disorders of the extensor carpi ulnaris tendon include subluxation, dislocation, stenosing tenosynovitis, and tendinopathy. Unlike the extensor carpi ulnaris tendon which is prone to subluxation, dislocation and stenosing tenosynovitis from passing through as sheath, a flexor carpi ulnaris tendon is unsheathed, and calcific tendinitis and crystal deposition disease can occur at the distal tendinous portion of the flexor carpi ulnaris tendon.

      • KCI등재

        중수골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고정 방법

        권기연 ( Ki Youn Kwon ),오진록 ( Jin Rok Oh ),곽지웅 ( Ji Woong Kwak )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소 침습적인 고정 방법인 K-강선 고정술 또는 골수강내 무두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중수골 골절 환자에 대해 영상학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중수골 중위 및 원위간부 또는 경부 단순 골절에 대해 K-강선 또는 무두나사를 이용해 내고정을 하여 치료하였던 18세에서 55세 사이의 환자들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들 52예(남자 46예, 여자 6예)에 대해 영상학적 평가(각변형, 단축), 수부 기능 평가(TAM, 악력, 환자의 주관적 기능 평가), 일상 및 직장으로의 복귀 시간, 합병증의 발생 빈도 등의 요소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영상학적 평가, 수부 기능 평가, 합병증의 발생빈도의 측면에서 K-강선 고정군과 골수강내 무두나사 고정군 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일상 및 직장으로의 복귀는 골수강내 고정군이 빨랐다(p<0.05). 결론: 6개월 이상의 추시에서 중수골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치료법인 경피적 K-강선 고정술 및 골수강내 무두나사 고정술은 임상적 결과의 측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일상 및 업무로의 조기 복귀라는 측면에서는 골수강내 무두나사 고정술의 선택을 고려해 볼 만하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of metacarpal fractures treated with two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s: Kirschner wire (K-wire) fixation and headless screw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2 patients (46 males and 6 females; age 18-55 years) with distal metacarpal fractures (middle and distal shaft, including the neck) who had undergone K-wire fixation or headless screw fixation. All subjec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six months. The radiolog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ngular deformity and shortenings. The total active motion (TAM), grip strength, and patients’ subjective functional assessment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hand function. The time taken to return to work (RTW) and adverse event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52 cases, metacarpal fractures treated with headless screw fixation and K-wire fix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sociated with early RTW (p<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treated with K-wire fixation and those with headless screw fixation in terms of the radiologic measurement, hand function examinations, complications, and adverse events (p >0.05). Conclusion: After a six-month follow-up, minimally invasive K-wire fixation and headless screw fixation produced similar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in subjects with metacarpal fractures. Compared to K-wire fixation, however, headless screw fixation led to earlier functional recovery and might be a better option for treating metacarpal fractures in this reg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