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취 고위험군에서 동시에 양측 고관절 무시멘트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단계적으로 양측 시행한 군의 비교

        황성관 ( Sung Kwan Hwang ),권성민 ( Sung Min Kwon ),정회정 ( Hoi Jeong Chung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3

        목적: 동시에 양측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경우 장점도 있으나 마취 고위험군에서는 술 후 합병증이 보고되는 등 논란의 대상이다. 이에 저자는 마취 고위험군에서 동시 시행군과 단계적 시행군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본원에서 동시에 양측 무시멘트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ASA 등급 3, 4 60명의 환자와 단계적 양측 무시멘트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ASA 등급3, 4 60명의 환자를 비교하였다. 통계 유의성의 판정은 p 값이 0.05 이하로 하였다. 결과: 심혈관계 합병증은 동시 양측 시행군에서만 1예 발병하였고, 폐색전증은 단계적 시행군에서 2예, 동시 시행군에서 3예, 수술 부위 감염은 단계적 시행군에서 3예, 동시 시행군에서 2예, 섬망은 단계적 시행군에서 4예, 동시 시행군에서 5예, 탈구는 단계적 시행군에서 2예, 동시 시행군에서 3예 발생하였다. 실혈량은 단계적 시행군에서, 수혈량은 동시 시행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활은 동시 시행군에서 더 빨리 시행되었으나 최종 추시 시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입원 기간 및 비용은 단계적 시행군보다 동시 시행군에서 절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 술 전 평가를 면밀히 한다면 마취 고위험군에서 동시 양측성 고관절 치환술이 안전한 수술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hip replacement (THR) has some advantages, but the efficacy of simultaneous bilateral THR is still controversial in patients with high risk ASA grade. Presently, we compared simultaneous bilateral to staged THR in high-risk patients according to the ASA grad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mpared 60 high risk patients (ASA grade 3 and 4) with simultaneous cementless total hip replacements with a matched group of 60 patients with staged cementless total hip replacements between January, 1991 and June, 2009. Significance was determined to be p-value < 0.05. Results: Postoperative cardio-vascular complication was found in one case of simultaneous THR,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found in two cases of staged THR and in three cases of simultaneous THR. Wound infection was found in three cases of staged THR and in two cases of simultaneous THR. Delirium was found in four cases of staged THR and in five cases of simultaneous THR. Dislocation developed in two cases of staged THR and in three cases of simultaneous THR. Blood loss was higher in the staged group, but the transfusion amount was higher in the simultaneous group. Postoperative ambulation was initiated earlier in staged THR, but at the final follow-up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dmission time and cost were reduced in simultaneous THR. Conclusion: It is considered safe to perform simultaneous cementless bilateral THA in patients with high anesthetic risk, if meticulous preoperative evaluation is done.

      • KCI등재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금속판 내고정술과 외고정술의 비교

        오진록 ( Jin Rok Oh ),조태연 ( Tae Yean Cho ),권성민 ( Sung Min Kwan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 요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로서 요측 굴곡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경피적 핀고정술 및 외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불안정 원위요골 골절로 치료받은 60세 이상 골다공증을 동반한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내고정술(1군) 혹은 외고정술(2군)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후향적 분석을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범위, DASH 점수, BMD 점수는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악력 및 PRWE 점수는 2군에서 높았다(p<0.05).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요측 기울기, 수장굴곡은 1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60세 이상의 불안정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요측 굴곡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관절면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해주어, 수술 후 완관절의 운동을 조기에 허용하며, 핀 주변 감염, 관절 강직 등의 술후 합병증이 낮아 골다공증을 동반한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에 유리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compare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volar plating to that of external fixation for treating unstable osteoporotic distal radi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March 2008, 36 patients with osteoporosis over 60-year ol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volar fixed angle plate) and group II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n range of motion and DASH score, BMD score. However, the grip strength and PRWE score were found to be higher in group II (p<0.05). In radiologic evaluation, group I showed higher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ing angle (p<0.05).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Volar-fixed Angle Plate seems to give more stable fixation for distal articular fragments compared to external fixation. it could allow early postoperative exercise and could result in low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such as pin track infections and joint stiffness. Therefore, the internal fixation could be more desirable treatment method to manage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