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고은 시의 번역 현황과 번역시 연구

        오윤정 ( Yoon Jeong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1

        시는 실제로 번역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시행이나 분연의 문제, 고유어의 특질을 한껏 살린 그 언어사회만의 독특한 시어들, 하나하나의 시어에 내재하는 다양한 의미까지. 이와 같은 시 번역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우리의 시가 외국에 번역 소개되었다는 점은 고무할 만한 일이다. 여기에는 시인뿐 아니라 열정적인 번역가들의 노력이 전제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고은 시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해외에서의 번역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의 시선이 무엇을 주목하고 있는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번역시에 나타난 언어적 특징을 간파하고, 번역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고은 시를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세계 속에 자리매김한 고은의 문학적 성과를 고려하는 동시에 외국에서 수용되는 한국시의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은은 현재까지 10개의 언어로 총 30여 권을 간행했으며, 20여 권이 출판 준비 중에 있다. 이러한 번역시는 대체로 『순간의 꽃』과 같은 단형의 선시와 다양한 한국적 삶을 재현한 『만인보』로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번역텍스트에 있어 주목할 점은 ``무엇이 소거되는가``(번역불가능성)와 더불어 ``무엇이 전달되는가(번역가능성)``의 문제일 것이다. 소거되는 것에 원시의 언어 고유의 쓰임과 함의, 느낌, 행과 연의 배열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면, 전달되는 것에는 주제, 메시지, 총체적인 것으로서의 정서를 들 수 있다. 특히 고은 번역시의 경우 사회적 관습이나 구체적 상황을 드러내는 다수의 사회어는 삭제되면서,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적 언어 내지는 고은 특유의 개인적 언어가 전면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조와 대구를 통한 비약과 반전, 생생한 묘사와 서사를 통한 리얼리티 등의 고은 시의 요소들은 시적 정서와 주제를 전달하며 시의 가독성을 높이는 특징이 된다. 번역은 단순히 한 세계의 문화를 다른 세계에 전파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갖는다. 타인에 대한 관심, 동양에 대한 관심, 선적 세계, 불교적 세계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요구들이 고은의 언어와 만나는 자리에 고은 번역시가 놓여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for examining the translation status of Ko Un`s poems which has been translated overseas up to now and examining which points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in his poetry. Ko Un`s translated poems has been published into 30 books in 10 languages, and an additional 25 are ready to be published. His translated poetry seemed to be mainly abridged to Flowers of a Moment which is a Zen-poetry and Ten Thousand Lives which reproduces Korean`s diverse lives. In translated poetry, some of the important factors are how to be read by foreign readers and how much faithfulness it has in recreating its original. In other words, what we have in concern about the translated text is what has to be eliminated(non-translatability) and what is to be mentioned(translatability). For example, the former can be an unique way using the original language, implication, feeling, and arranging way of lines and stanza, etc.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theme, messages, and general emotions, etc. In Ko Un`s poetry, many parts of social terms which reveals specific situation or social custom are removed, while his unique and personal language is inserted. Jumping and reversal through contrast and couplets, vivid description and epic play a role in conveying a theme and poetic feeling as well as enhancing the readability.

      • KCI등재

        재미시인 연구 -박남수,고원,마종기를 중심으로-

        오윤정 ( Yoon Jeong Oh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본고는 박남수, 고원, 마종기의 시작품을 대상으로 이들이 각자의 ``이민``의 경험과 타자적 정체성을 어떻게 그려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세 시인은 미국으로 이주한 후 이민 생활을 형상화하고, 이민의 경험이 가져오는 정체성의 혼란과 불안 등을 작품화했다. 이는 재미문학 연구의 실마리를 탐색하는 작업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또한 이후 이민 2, 3세대 시문학을 개관하는 출발점이 된다. 박남수 타자의식의 뿌리는 ``실향의식``이다. 고향과 어머니, 그리고 삶의 터전의 상실이 ``새`` 이미지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 안에서 불안의식과 고독함이 직접적으로 그려지며, ``새``는 이러한 정조를 드러내는 주관화된 이미지가 된다. 그가 보여주는 소망과 기원, 그리고 절망과 고독의 이민 자의 서정은 곧 실향자의 그것과 관련된다. 시인 고원은 1965년 이국으로 떠났고, 오랜 시간 귀국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 시인은 고향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열망을 ``물``의 회귀 성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민자의 서정을 표현하며 정열 적인 자연이미지를 창조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향수의 서정을 드러낸다. 마종기는 타자의식을 내면화하고 서정화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그에게 이국생활은 곧 생활인으로서의 선택이었다. 그의 미국생활은 관념적이고 일상적으로 묘사되는 반면, 고향은 상당히 감각적인 이미지로 형상화되고 있다. 그가 상상적으로 재현하는 고향은 감각적인 공간이면서 동시에 그리움과 슬픔의 근원이다.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the 3 poets, Park Namsoo, Ko Won, Ma Jongkee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as an immigrant and their identities as ``the Other`` in their works. Their works reflect the immigrant life and show the uncertainty of the identity in their immigrant lives, which is related to the clue to the Korean-American literature. The source of ``Otherness`` of Park Namusoo is a nostalgia. A ``bird`` image reflects the losing of the home, mother, and the past life as a subject to describe the uneasiness and solitude. The hope and the despair of the immigrant that he shows are common feelings of the people who left their homes. Ko Won left his home in 1965 and couldn`t get back home for a long time. He turns his desire to return home to the image of recurrence of the water through which he expresses the immigrants` emotions. Ma Jongkee internalizes and emotionalizes ``the Otherness`` as a doctor who chose to immigrate. He reproduces home through sensuous images as an emotional space and a reason of the longings.

      • KCI등재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

        오윤정(Oh, Yoon-Jeong)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본 연구는 1980년대 노동시의 시적 가치를 언어와 수사 등 형식미학적 특징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의는, 다른 시기의 리얼리즘 시의 양식이나 시적 수사에 대한 연구가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1980년대 노동시의 시적 언어나 설득의 수사와 같은 형식미학적 측면은 아직 본격적인 연구에 이르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1980년대 노동시는 기존의 시적 문법을 다시 쓰고 원래의 것에 의문을 던지며, 그것의 영역 밖에서 새로운 시 쓰기를 시도했다. 이들 시는 제도적인 사회적 위계질서와 역할을 의심하고 그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하는 지향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시어와는 다른 언어, 노동의 삶에 대한 생생한 묘사, 시적 인물과 상황을 부각하고 여성, 하층민을 아우르는 ‘노동자’라는 계급적 전형을 창조해 간 점, 그리고 그에 서사를 입힘으로써 공감과 참여라는 독자의 읽기를 유도한 점이 이러한 논의에서 중요하다. 무엇보다 노동시의 정치성은 바로 감성적 불일치(불화)의 공간을 창조한 데 있다. 노동자의 삶을 보여주고, 그들의 고백과 감정에 동요하게 하며, 계급적 깨달음과 각성의 세계로 사람들을 이끌어가는 미학적 힘을 노동시는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동시에 기존의 것, 지배문학, 엘리트 문학을 부정하는 반동일성의 정치성을 지향한다. 본고는 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을 노동시의 언어, 시적 수사와 같은 형식미학적 고찰로부터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술성’의 언어와 ‘육체’라는 알레고리의 문제로 나누어 논의할 수 있다. 구술성은 이전 시의 문자성, 읽기 위한 텍스트성에 저항한다. 그들에게 살아 있는 시는 노동의 삶을 이야기하는 시, 노동자의 감성과 언어를 들려주는 시, 노동 현장의 목소리를 직설적으로 재현하는 시이다. 노동시의 구술성은 현장성을 강조하며, 독자의 공감과 참여를 직접적으로 설득한다. 또한 1980년대 노동시에서 독특하면서 독보적인 이미지는 ‘육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노동자의 힘과 노동의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알레고리이다. 노동시의 ‘육체’는 모더니즘의 지성, 서정시의 감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1980년대 노동시는 노동자의 ‘육체’를 새롭게 알레고리화함으로써 노동의 삶을 형상화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l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language and rhetoric of labor poetry in the 1980s. The discussion begins with the following question: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mode and rhetoric of realism poetry, but formal aesthetics such as poetic language and rhetoric of persuasion in the 1980s labor poetry have not been studied in earnest. The formal aesthetics of labor poetry in the 1980s is about the politics and aesthetics of literature. Jacques Rancière found the working principle of forming a political community in the realm of sensibility. He argues that politics and aesthetics participate in the “distributing the sensible system”. The politics he speaks of is the process of distributing speech and noise, and the visible and invisible. Politics is controversial and fluid because it is constitutive and processive. The politics of literature is subversive in that reveals discord over the existing order and reconstructs the sensible system. What is important is how the labor poetry in the 1980s tried to overturn the poetic order of the time, or how it responded to the role of poetry. And it s about how to create a politics of new sensibility aesthetically. At the same time, it has an orientation to achieve politics through aesthetic performance. It is about the change of the sensible system and about the sensible rearrangement of language. This is a strategy of anti-identification that denies the identification of dominant literature and elite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poli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from the form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abor poetry. This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language of ‘orality’ and the allegory of ‘body’. Orality resists the textuality for reading. To the labor poet, real poetry is a poem that tells the life of labor, a poem that tells the sensibility and language of workers, and a poem that directly reproduces the voice of the labor field. The orality of labor poetry emphasizes the fieldness of labor and plays the role of directly persuades readers to empathize and participate. On the one hand, the body is a unique and unrivaled image in the 1980 s labor poetry. This is a major allegory showing the power of workers and the value of labor. The ‘body’ of labor poetry contrasts with the intelligence of modernism or the sensibility of lyric poetry. The study of formal aesthetics on labor poetry in the 1980s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s. It only looks at the theme or the significance of the times, while not looking closely at the popularity of poetry, popular rhetoric and expression, effects and emotions.

      • KCI등재

        김윤성 시 연구 -시적 대상의 내면화 과정을 중심으로-

        오윤정 ( Yoon Jeong Oh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1 No.-

        This study is to review Kim Yoonsung`s poetry through considering a relation between the poetic narrator and the object in his poems. In his poems, the poetic narrator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and the aspect of the relations and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makes the different status of the narrator. A position of staring from a distance is slowly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narrator is transformed into the object as the distance shortened. The poetic object varies from living things like grass, a tree and a bird to a dead matter like stones. The point is that Kim Yoonsung is developing his lyrical condition through this transposition, and it means that his poetry achieved inner reflection and internalization through active transforming into the nature like a flower, a bird and a stone.

      • KCI등재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오윤정(Oh Yoon jeong),장지영(Jang Ji young),유효숙(Ryu Hyo suk),김성원(Kim Sung won),이현주(Lee hyun ju),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건강, 기후 변화, 대기, 물, 생물 다양성, 생태계, 숲, 에너지, 재해 예방 및 축소, 토양의 총 10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10개 준거 가운데 6개의 준거가,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7개의 준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2~3개 단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과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정의와 관점을 진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영역과 내용 체계, 학습 목표, 주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련된 지식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원에서 다양한 주제와 접근 방식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and 2009- 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10 criteria such as health, climate change, atmosphere, water, biodiversity, ecosystem, forest, energy,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and soil. The results showed that 2007-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6 criteria, and 2009-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7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st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roduced. Third, within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perspectives and topics beyond environmental perspective, to issues such as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o as to earn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concept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2007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오윤정 ( Yoon Jeong Oh ),장지영 ( Ju Young Jang ),최경희 ( Kyung Hee Chi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본 연구에서는 7~9학년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5개 단원 가운데 9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생물과 지구과학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었고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롭게 마련되고 있는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진술 및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내용 체계, 학습 목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안에서 자연적(환경적) 차원 이외의 다른 차원인 경제적·사회적·정치적 차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analyses showed that among 25 units, nine of them dealt with the topics and issu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the content had too much partiality for biology and earth science, lacking integration with other areas of scienc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corpo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educational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mention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earning programs on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formulated. Third,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topics beyond natural or environmental issues, to issues such as economical and socio-political so as to br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오윤정(Yoon Jeong Oh),최경희(Kyung Hee Choi) 한국환경교육학회 2012 環境 敎育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6th, 7th, 2007-revised and 2009-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8 criteria such as health, climate change, urbanization and rural development, water, biodiversity and ecosystem, energy,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has 4 criteria, 7th has 2 criteria, 2007-revised has 8 criteria, and 2009-revised has 7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st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roduced. Third, within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perspectives and topics, and learning goal must pursue value education.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죽음과 몸

        오윤정 ( Yoon Jeong Oh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2000년 이후 현대시에 있어 ``몸``은 중요한 화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위 ``미래파``, ``뉴웨이브``로 일컬어지는 2000년대 이후 시에는 몸의 파열과 죽음이 기괴하고 강렬한 언어로 그려지고 있다. 전후의 시가 생성되고 재건되는 몸을 다루었다면, 현대는 파괴되고 분열되는 죽음의 몸에 주목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죽음과 몸의 상관성을 기형도 시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보이지 않는 것을 하나의 오브제로 재현하려는 충동, 이것이 바로 회화의 충동이다. 마찬가지로 기형도는 생생히 돋아오는 죽음의 얼굴과 형체를 재현하고자 했다. 무엇보다 ``죽음``은 그의 시에서 하나의 실체요, 현실이다. 그의 시는 처음부터 끝까지 ``죽음``을 형상화하는 데 바쳐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죽음을 삶으로 순환하지 못하는 비극적 세계관이 그를 지배하고 있었던 것이다. 기형도의 시에서 죽음의 몸은 소통불능의 주제를 드러낸다. 기형도 시에서 죽음이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죽음의 얼굴, 그 실체를 살펴보는 일은 바로 기형도 시의 핵심으로 접근해 가는 길이라 할 수 있다. The ``Body`` in modern poetry defined as -so called ``futurist`` and ``new wave`` since 2000 has been definitely an important factor and its destruction and dying has been described aggressively with grotesque words. In post war poetry, the theme ``body`` had been pictured as refreshed and reconstructed, while it is dying destructed and dismembered in modern poetry. Then, what is the connections between death and body in modern poetry? Here I`m going to reflect on the theme throughout Kee hyungdo`s works. We can notice that the ``death`` in his works is something real and existing rather than ideal or conceptional because his personification approach to the death and the image is making sure of the existence of the death. e.g. his ``death`` equals a body trapped in a fog, a dying or rotten one, or a body engraved with memories of massive death. In this way, the poet`s ``body`` is closer to that of a group rather than to a personal one. We will be able to review unique colors of death in modern poetry afterwards through considering some aspects in relations of death and body in Kee Hyungdo`s poetry.

      • KCI등재

        푸드 마일리지와 식물공장을 활용한 저탄소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오윤정(Yoon-jeong Oh),민주영(Ju-young Min),류희욱(Hee Wook Ryu),조경숙(Kyung-suk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본 연구는 푸드 마일리지와 식물공장을 활용한 저탄소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용 푸드 마일리지 및 식물공장에 대한 저탄소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700여 명의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였으며, 이 중에서 사전 및 사후 검사에 모두 참여하고,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항에 결측 없이 성실하게 답변한 204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푸드 마일리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p<.05), 식품의 운반 거리(p<.05), 식품 운반 과정의 이산화탄소 발생, 운반 과정에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약품의 사용 등 푸드 마일리지가 내포한 의미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을 위한 저탄소 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develop and apply a low-carb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food mileage and plant factories an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The low-carb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food mileage and plant factor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pplied to 7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4 questionnaires with sincere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od mileage (p<0.05), transportation distance of food (p<.05), carbon dioxide production during food transportation, use of drugs to maintain food freshness during transportation has improv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is useful as a low-carb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과학관 역할 및 교육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와 예비 과학관전문인력의 인식 분석

        김진희(Jin hee Kim),오윤정(Oh Yoon jeong),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science museum staff on the role of and education in science museums.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views, we developed a 22-item Likert-type scale questionnaire on the role of and education in science museums, and conducted a survey of 49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30 pre-service science museum staff. From analyzing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role of science museums, especially, display(t=4.796, p<.01), research(t=3.291, p<.01), and education(t=3.409, p<.01) between the two groups. Also, both groups had a lack of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roles of science museums. Las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onnection to school education(t=4.300, p<.01), particularly whether school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policy of science museums(t=3.944, p<.01). Overall, the responses of pre-service science museum staff were higher th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refore, a curriculum about the informal education is needed for pr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museums need to provide professional programs including the pedagogy and the school curriculum for pre- and in-service science museum staff.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와 예비 과학관전문인력 간에 과학관 역할과 교 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여러 문헌을 분석하여 과학관의 역할과 교 육에 대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개발하고 예비 과학교사(49명)과 예비 과학관전문인력(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과학관의 역할(전시, 교육, 연구, 과학문화)에 대해 예비 과학교사와 예비 과학관전문인력의 인식은 전시(t=4.796, p<.01), 교육(t=3.291, p<.01), 연구(t=3.409,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관 역할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예비 과학교사와 예비 과학관전문인력은 교육에 대한 중요도가 낮게 나 타났다. 셋째, 과학관 교육에 대해 두 집단은 과학관 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의 연계성 에 대한 인식(t=4.300, p<.01)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교 현장의 과학교육이 과학 관의 교육 정책에 미치는 영향(t=3.944, p<.01)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이 예비 과학관전문인력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예비 과학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비형식 교육에 관한 과목을 개설하는 등 예비 과학교사뿐 만 아니라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 다. 또한 예비 과학관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분석과 이해 등 학교 현장의 과학교육에 대한 검토 및 교육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