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글로벌 이슈 내용 및 STEAM 교육요소 분석

        김세현(Kim Se hyeon),유효숙(Ryu Hyo Suk),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글로벌 이슈 의 내용과 STEAM 교육요소를 살펴보고 과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글로벌 이슈 교육내용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글로벌 이슈 내용을 분 석하기 위해 국제기구 및 과학 연구기관에서 논의하고 있는 글로벌 이슈의 특징과 내용 등을 분석하여 분석준거를 개발하였다. 글로벌 이슈 내용의 STEAM 교육요소 는 Yakman(2008)의 STEAM 체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2009개정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 이슈 내용은 각 영역(단원)에서의 글로벌 이슈간 연계적 서술과 학생들에게 좀 더 다양한 글로벌 이 슈들이 다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이어서 각 영역별 통합수준을 살펴본 결과 중·고등 학교 과학과에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내용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은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에 글로벌 이슈 내용의 명시적 제시, 글로벌 이슈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을 경우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 글로벌 이슈 해결을 구현할 수 있는 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필요성 등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STEAM educational factors of global issues presented in the 2009 revis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related to instructional contents of glob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global issu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ere developed based o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global issues discussed in relate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ions. Yakman’s STEAM framework(2008) was utilized for the analysis of STEAM educational factors in contents of global issues.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for the contents of global issues in the 2009 revis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nected descriptions among difference global issues in each chapter(unit) and have student deal with more varied global issues. Subsequently, examining the level of integration in each are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ntents in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hould to be introduc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Specific improvement plans that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nclude the following: explicit presentation of global issues contents in the goals for science curriculum; integrated approach to instructional contents when global issue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will solve global issues.

      • KCI등재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이자희(Lee, Ja-Hee),유효숙(Ryu, Hyo-Suk),김진희(Jinhee Kim),최경희(Choi, K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ce curriculum and real operational condition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as the basic data in order to take advantage for alternative school of scienc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al plans. For this, 20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investigated for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were characterized by ecological ideology, life-centered education and living-related education, and also the diversity of students individual education. Thus students mainly learn actual life-centered contents such as ecology and environment , ‘earth and universe, life , and energy . The major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the hands-on activities and practices. The observation evaluation of teacher is also mainly used in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which has a small school size. Second, many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of the lack of laboratories and experimental equipment and demands for science teachers are appeared. 본 연구는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대안학교의 과학교육이 나아갈 방향의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비인가 대안학교 20개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및 운영 상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은 대체로 생태주의 및 생명 중심적인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자연과 실생활에 연계된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 내용으로는 주로 ‘생태 환경’, ‘지구와 우주’, ‘생명’, ‘에너지’ 등과 같이 학생들이 자연과 생활 안에서 직접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내용을 주로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강의법과 실습 및 노작을 통한 학습이 많이 이루어졌고, 강의의 경우에도 발문, 발제, 토론을 통한 수업을 많이 활용하였다. 또, 대안학교는 에세이 평가를 비롯하여, 작은 학교의 특징을 살려 교사관찰을 통한 평가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의 운영 측면에 있어 실험실 및 실험기자재 등 과학교육에 대한 지원 부족과 더불어, 과학을 전공한 교사 수의 부족으로 인해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오윤정(Oh Yoon jeong),장지영(Jang Ji young),유효숙(Ryu Hyo suk),김성원(Kim Sung won),이현주(Lee hyun ju),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건강, 기후 변화, 대기, 물, 생물 다양성, 생태계, 숲, 에너지, 재해 예방 및 축소, 토양의 총 10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10개 준거 가운데 6개의 준거가,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7개의 준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2~3개 단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과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정의와 관점을 진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영역과 내용 체계, 학습 목표, 주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련된 지식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원에서 다양한 주제와 접근 방식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and 2009- 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10 criteria such as health, climate change, atmosphere, water, biodiversity, ecosystem, forest, energy,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and soil. The results showed that 2007-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6 criteria, and 2009-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7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st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roduced. Third, within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perspectives and topics beyond environmental perspective, to issues such as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o as to earn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concept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