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개선 의지의 예측과 이해

        오영열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 수학교육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s underlying Kore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inal beliefs tow- ard reform-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predict their intentions to change traditionall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developed by Fishbein and Ajzen provid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teachers' beliefs, atti- 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ptions of control factors. Data were gathered through a survey instrument from 281 teachers who teach mathematics in a metropolitan city of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 elementary teachers'change in instructional practice is based primarily on their judgements regar- ding the likelihood of occurrences of certain consequences if they engage in teaching mathematics in a reform-oriented way. Tea- chers' perceptions of important others regar- ding the reform-oriented mathematics instr- uction seem to play a minor role in teachers' instructional chang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ontrol factors that prohibit or help teach mathematics in a reform-oriented way do not seem to make significant improve- oment in predicting their intentions to change traditionally-oriented teaching practice. 그룹 1에 속한 교사들은 교사 중심 방식보다는 학습자 중심으로 수학을 가르칠 때 훨씬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이는 반대로 교사 중심 수업 방식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그룹 교사들의 신념은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에 대한 그들의 선호도를 반영한다.<표 Ⅳ-1>에 제시된 행위 신념에 대한 그룹2의 분석결과를 보면, 교사 중심 그룹의 교사들은 그룹 1의 교사들과 비교해 볼 때 수학을 학습자 중심으로 가르칠 때 예상되는 결과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치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이 그룹의 교사들도 학습자 중심의 수학 학습 방식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줄 수 있고, 학생들의 사고력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고 믿고 있으나, 각 문항의 응답에 대한 평균값으로 판단하건데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습 효과를 기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이러한 학습 방식이 학생들의 응용력(-0.25)이나 기본적인 계산 기능(-1.52)을 떨어뜨림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리라는 염려를 보여준다. 주목할 만한 것은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이 한국에서와 같은 다인수 학급에서는 매우 비효율적(-1.37)일 뿐만 아니라 필수 교육과정 분량을 모두 가르치기 힘들 것(-1.23)이라고 생각하는 그룹 2의 교사들의 신념은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의 효율성에 대한 염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마도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에 대한 이 그룹의 교사들의 비우호적인 시각은 교사들의 신념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에 매우 중대한 장애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적으로 수학을 학습자 중심으로 가르칠 때 나타나게 될 예상되는 학습의 결과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에 대해서는 두 그룹의 교사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음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교사들의 행위 신념, 즉 학습자 중심으로 수학을 가르칠 경우에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기대치는 전체 열여섯 개의 문항 중에서 12개 항목에 대해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것은 학습자 중심으로 수학을 가르칠 때 예상되는 결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그룹 1의 교사들이 그룹 2의 교사들에 비해 훨씬 높은 기대 수준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룹 1의 교사들이 그룹 2의 교사들보다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 방식을 크게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어떤 한 수학 수업 방식이 그 반대의 수업 방식보다 더 많은 긍정적인 효과와 더 적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어떤 교사가 믿고 있을 때 그 교사는 후자의 수업 방식보다는 전자의 수업 방식을 선호하게 된다. 나. 주관적 규범의 분석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에 대한 주변의 압력을 의미하는 교사들의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에 대한 분석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행위 신념과 예상결과의 평가에 의한 태도의 분석 방법과 유사하다. 즉, 주관적 규범은 규범적 신념(normative beliefs)과 실천의지(motivation to comply)에 의해 설명된다. 규범적 신념은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에 대한 개인 또는 단체의 요구를 나타내고, 실천의지는 이러한 주변의 요구에 따를 것인지에 대한 의지를 의미한다. 아래에 규범적 신념과 실천의지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문항의 예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표 Ⅳ-2>는 그 ...

      • KCI등재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오영열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교사들의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전문성의 의미와 규준에 대한 고찰하고, 효과적인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리고 수학 교과에 대한 전문성 신장의 과정을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은 양질의 수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및 이를 통한 학습의 질 향상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수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공유된 비전을 형성해야 하며, 수학 교과와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추어야 하고, 또한 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에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 교과 전문성 프로그램들이 갖고 있는 공통된 특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교사들의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들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교사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 이론과 교육 현장의 간극을 줄여줄 수 있는 현장 전문가인 교사 연구자를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합한 수학 교과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을 위한 모델 개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초등수학에 적용된 수학적 모델링 과제 유형 탐색

        오영열,박주경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oday, adapting actively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i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context, mathematical modeling is increasing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school mathematics. However, many teachers have difficulty in applying to the class together with lack of understanding about mathematical modeling. One of the main reasons teach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i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task. Until now, mathematical modeling has been mainly dealt with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nd the modeling tasks for them have become common, so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ase of mathematical modeling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was examined and the applied task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types of problem-centered, table-centered, and complex-type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athematical modeling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and mathematical modeling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provement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mathematical modeling.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에 있 어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며,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수학적 모델링은 점차 학교수학의 필수 영역이 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함께 수학적 모델링을 수업에 적 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사들이 수학적 모델링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특성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 수학적 모델링은 주로 중·고등학교 수준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이들을 위한 모델링 과제가 보편화되어 있어 교 사들은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모델링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적용된 수학적 모델링의 사례를 검토하고 적용된 과제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 학교에 적용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특징으로 문제 중심, 표 중심, 복합 유형이 도출되었다. 문제 중 심 유형은 하나의 문제로부터 과제가 통합적으로 다루어지며, 표 중심 유형은 과제의 정보가 표를 중 심으로 전개되어 표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복합 유형은 서술된 문장, 표, 그림의 형태가 두 가지 이상 제시되는 형태로 대부분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가 이에 포함된다. 모든 학생들에 게 수학적 모델링 과제는 항상 어려움을 야기하지만 그 어려움은 수학적 모델링 고유의 인지적 복잡성 에서 기인하며 바로 그 지점으로부터 모델링 역량을 발달시킬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수학적 모델링을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제 유형을 밝힘으로써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개선과 더불 어 수학적 모델링을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이스라엘과 싱가포르 수학교육에 대한 소고

        오영열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이스라엘과 싱가포르 교육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이스라엘과 싱가포르의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이고, 이러한 가치를 교육 체제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스라엘과 싱가포르에서의 수학교육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스라엘과 싱가포르는 다문화 국가의 특성에 요구되는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교육의 역할과 더불어 경제적 성공에 요구되는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이 중요하였으며, 두 국가의 교육 체제는 이러한 교육적 역할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스라엘과 싱가포르에서 수학은 이러한 맥락에서 매우 중요한 교과로 간주되었다. 마지막으로 수학 교사교육에 대한 이스라엘과 싱가포르의 접근 방법은 명확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some implications from comparing mathematical education of Israel and Singapore. This study examined what values are represented in schooling of both Israel and Singapore and what factors are influenc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of both countries. Education in Israel and Singapore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the survival of the nation and economic success, and the education system is focused on elitism, especially in terms that they have selective system of students and restrictive exams fro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educational system in both countries provides students with little opportunities for social mobility, because students from the low SES families are not equally exposed to educational facilities and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ritical factor affecting students achievement in Israel and Singapore seems to b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the quality of teachers. In particular, it seems that we need to be very careful of uncritically adopting mathematical ideas from both Israel and Singapore, because they both have very different contexts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policies, racial and cultural factors from Korea.

      • A Centralized Packet Scheduling for Single-hop WDM Optical Networks

        오영열,이재용,이상배 에스케이텔레콤 (주) 1998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8 No.1

        A new multi-channel access scheme and associated network architecture for single-hop WDM optical networks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architecture uses Central Scheduling Node (CSN) for transmission coordination among many users, which is one of the key issues in single-hop WDM networks. The data channels, source nodes, and destination nodes are selected by CSN in a very simple manner. Our scheme relieves the processing overhead which is caused in existing distributed scheduling algorithms, at all nodes in the network. CSN is simple in architecture and can be implemented easily. In respect to network performance, the maximum obtainable throughput is up to that of the ideal output queuing because of collision free scheduling by CSN. We use the MQMS(multi-queue multi-server) model for performance analysis.

      • KCI등재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교육

        오영열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대중문화와 수학교육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중문화에 대한 개념과 수학교육에서 대중문화 활용의 의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중문화가 학생들의 수학적 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대중문화를 수학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다루었다.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teaching mathematics. Thus,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cepts of popular culture and the meaning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urrent study analyzed both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how mathematics is represented through popular cul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models using popular culture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about popula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