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준지도 능동 전이 학습을 이용한 인간 행동 인식의 라벨링 절감

        오승민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gun to use deep learning models to conduct research in the field of human activity recognition (HAR). However, there has been a severe lag in the absolute development of such models since training deep learning models require a lot of labeled data. In fields such as HAR, it is difficult to collect data and there are high costs and efforts involved in manual labeling. The existing methods rely heavily on manual data collection and proper labeling of the data, which is done by human administrators. This often results in the data gathering process often being slow and prone to human-biased labeling.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proposed a new solution for the existing data gathering methods by reducing the labeling tasks conducted on new data based by using the data learned through the semi-supervised active transfer learning method. This method achieved 95.9% performance while also reducing labeling compared to the random sampling or active transfer learning methods. 최근, 인간 행동 인식(HAR, Human Activity Recognition) 분야에서 딥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선 많은 양의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라벨을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학습 데이터의 수가 보장되지 않을 경우에는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인간 행동 인식 분야는 데이터 수집이 까다롭고 라벨링 작업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존하여 관리자가 데이터를 확인한 후 라벨링을 진행한다. 이는 종종 데이터 수집 속도를 늦추고 실수로 인한 오기입 등 편향된 라벨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준지도 능동 전이 학습 방법을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라벨링 작업을 줄이는 기존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을 제안했다. 이 방법은 랜덤 샘플링 또는 능동 전이 학습 방법보다 레이블 작업을 줄이면서 최대 95.9%의 성능을 달성했다.

      •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오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활용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투자는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계산하여, 이러한 가치를 기준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 전략이다. 하지만 가치투자는 단순히 주식투자를 매개하는 금융지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자’라는 투자자 주체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가치투자는 투자와 투자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표상을 생산하며 투자자들의 실천과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들의 생애기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행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자는 ‘가치투자의 수행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잃지 않는 투자’와 ‘배우는 투자’를 지향하는 가치투자 전문 교육기관인 ‘A 투자교육연구소’에서 개설한 가치투자 강좌를 참여관찰하였고,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가치투자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2000년대 초반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주 등장을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치투자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의 상징적 인물들의 투자 방식을 충실하게 해석하고 한국적 맥락으로 번역하는 소수의 ‘매개자’에 의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A 투자교육연구소’ 역시 이러한 매개자 그룹 중 하나로,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가치투자 교육을 통해 가치투자를 전파하는 데 일조한다. 투자자들은 반복되는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기대만큼의 수익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가치투자를 통해 주식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기를 원하고, 이를 통해 더 이상 주식투자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버핏 교실’은 가치투자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구체적인 테크닉의 형태로 재가공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합리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실천하는 현명한 투자자라는 윤리적인 주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투자는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정당한 사회적 실천으로 의미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과 논리를 제공한다. 가치투자자들은 돈의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하에서 경제적 자유를 열망한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유력한 방식이었던 직장생활은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노동 환경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이상 매력적인 선택이 아니게 되었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재테크이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증식하려는 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리에 ‘평생직장으로서의 주식투자’라는 상상이 등장하는데, 가치투자는 이러한 상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일상화된 경제적 불안정에 ‘재테크’라는 사적인 자산관리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의 인식, 윤리 그리고 실천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대중투자문화는 다양한 금융적 수단, 재테크 지식과 정보를 통해 돈이 스스로 일하게끔 하라고 요청하면서, 일상을 돈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망으로 가득 채운다. 그리고 돈을 현명하게 투자하고, 사려 깊게 예측하며, 전략적으로 자산을 배치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다. 가치투자는 주식투자를 통한 부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대중투자문화를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oitations of “value investing” -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 by individual investors, has an object of elucidating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Korean Society. Value investing is an investing strategy which trades stocks in accordance with some values produc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a value of a company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value investing is not a simple finance knowledge which mediates the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but it is also the essential points which produce investing subjects called “value investor”. Value investing displays performative effects in that it produces rational and moral representations about the investment and the investor, and transfo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vestors, and furthermor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plans of the investors. In the view of the concrete examination of the “performativity of the investor”, this research - 115 - participates and observes some courses of value investing organized by “A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 this research center aims at “no-losing investment” and “enlightening investment” - , and carries out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of this course. Value investing was starting to get a lot of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It was becau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financial structures of some companies were improved by the restructurings, and in this situation, value stock recorded stable profits. In that time, value investing was popularly introduced and propagated by a few of “mediators” who accurately interpreted - and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emblematic figures of value investing, for example Benjamin Graham and Warren Buffett. “A res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was also one of the mediating groups, and until now it performs a rol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value investing by the education of value investing for individu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who repetitively fail in investment or cannot obtain profits expected, learn the ways of performing the stock investment systematically by value investment, and after these learnings, they expect that no more they would not fail in the stock investment. “Buffett Class” produces the particular knowledge of value investing. “Buffett Class” reformulates this knowledge as some forms of specific techniques and provides these techniques in education programs, thereby “Buffett Class” enthusiastically aims to produce the ethical subject as a smart investor who practices rational and sound investments. Value investing purveys the essential concepts and logics for signifying the stock investment as a justifiable social practice. Value investors aspire to obtain economic freedom in the capitalism which is predominated by the logics of money. After the neoliberal turn - 116 - of Korean society, the employment, which was the only and prime way to obtain economic freedom, is now out of the charming choic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destabilization of the labor. Consequently, individuals pay much attention at financial technique.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want to administer and increase their assets by stock investment, expect to obtain continuous and stable profits by value investing. In the vanished place of the notion of the life-time workplace, the imagination of the “stock investment as a life-time job” emerges, and value investing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concrete strategy and life-plain for embodying this imagination.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he ethics and the practices of the investors who counter-act and defend for themselves with a private strategy of asset-running financial technique in the face of the prevailing economic destabilization after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financial techniques, finan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rdering money to work or operate of itself, fills everyday life of the people with aspirations for making more money. And this culture creates some fantasies in which the investors who invest smartly, predict reflexively, and arrange their assets strategically can succeed in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an essential moment which reproduces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by producing value investors who expect that they can make more money through the stock investments.

      • 공공서비스 가격에 대한 태도가 가격수용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 등록금 인상에 대한 대학생 반응을 중심으로

        오승민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가격에 대한 태도를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은 가격에 대한 태도라는 개념보다는 제품 태도를 나타내는 많은 속성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가격에 대해 민감한 정도, 준거가격을 통한 소비자의 만족과 불만족, 가격 분산, 가격 공정성을 통해 가격에 대해 판단을 해왔다. 가격은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고 민감한 부분이다. 정작 가격태도라는 정의와 가격태도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연구되어진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일반제품에서의 가격에 대한 태도는 형성이 되어 질수가 없다. 그 이유는 태도라는 정의는 특정 대상에 대하여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일관성 있게 반응 하려는 후천적으로 체득된 선편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격태도라는 것이 성립이 되기 위해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점포에 대한 태도 즉 백화점, 재래시장, 할인매장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일관성이 있고 호의적 혹은 비호의적으로 감정적인 요인이 발생을 한다. 그래서 점포, 브랜드, 주변 상황에 의해 태도라는 것이 성립이 된다. 소비자들은 흔히 고가격-고품질, 저가격-저품질이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공공서비스의 경우 소비자들은 높은 가격을 지불하면서 좋은 품질이라고 생각을 할 것인가? 그렇게 생각을 하지 않는다. 소비자들은 공공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반응은 "또올랐네", "짜증나"라는 식의 반응을 보인다. 태도라는 것은 감정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공공서비스 가격에 대한 태도라는 것이 형성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가격에 대한 태도가 수용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발전적 서비스인 등록금에 비추어 설명을 하였다. 공공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있지만 불평행동을 할 수 없지만 등록금의 경우 학생들의 저항이 있기 때문에 등록금에 비추어 설명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등록금 태도는 등록금 수용 과정에 많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등록금 수용 후 행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재미있는 것은 제공자 즉, 학교에 대한 태도가 등록금 수용행동과 수용 후 행동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등록금 태도와 학교는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시 말하면 소비자들은 등록금 태도와 학교에 대한 태도는 서로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학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어도 등록금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 경우 학생들은 등록금 거부를 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 통계학적인 변수에서 남자보다는 여자가, 군필보다는 미필이, 주간 보다는 야간이 더 크게 작용을 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등록금에 대한 태도 즉 가격태도가 소비자들의 수용행동과 수용 후 행동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밝혀 냈고, 가격태도의 중요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어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소속(학생회), 친구, 학교관계자와의 관계, 부모님의 소득, 지방대와 서울대, 국립대와 사립대에 대해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이런 점들을 보완을 한다면 가격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 유교의 사회복지사상에 관한 연구

        오승민 漢城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als with the social welfare of Confucianism that has affected the Asian culture for over 2,000 years. In these days, We Koreans consider Confucianism as a defunct legacy or a worthless one that should be defeated. Thus so many people may have a doubting mind for the value of such studies which related with Confucianism in the realms of modern social welfare. However the spiritual civilization can not be borrowed as differing from the material civilization.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fucian theory and finds the characters and policies of the Confucian social welfare in the system of Confucian theory, not in the modern theories of the social welfre. There are 3 conclusions over the Confucian social welfare. First, the Confucian social welfare has a broad sense of social welfare including not only basic mesures for the existence of the social weak and the people, but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human affairs of public servants. The Confucian stress of social welfare is on the ruling classes as the acive leader, so the people may be regarded as a passive on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And last, There have been familism that underline the role of families in the social welfare. This stress on families' role has made the tradition of self-help in the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e part of the government was the secondary support when families failed to implement their roles of social welfare.

      • 슈퍼 커패시터 응용을 위한 빠른 응답특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전류모드 제어기

        오승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차량 분야에서는 철도 차량이 감속하였을 때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회생 제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회생 제동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슈퍼 커패시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는 전력변환 장치의 경우 슈퍼 커패시터의 고속 충 방전을 위해서 빠른 응답 특성을 갖는 전압 제어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피크 전류 모드 제어 방식이 사용하는데 시비율이 0.5 이상일 때 저조파 발진문제가 발생한다. 이 저조파 발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가공의 삼각파를 사용하는 기울기 보상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 기울기의 범위는 기울기 보상 방법의 입력 및 출력 전압에 따라 달라지므로 입력 또는 출력 전압변경에 따라 기울기를 변경해야한다. 그러나 슈퍼 커패시터는 전압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실제 출력 전압에 따라 기울기를 수시로 변경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입력 및 출력 전압 전 범위에서 저조파 발진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울기 보상을 최대 기울기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대 기울기보상 방법을 사용하면 응답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울기 보상 방법이 아닌 피크 전류와 운전 조건에 따라 결정된 최소 전류 명령을 사용하여 빠른 응답 특성을 갖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전류 모드 제어기를 제안하고, 제안된 방식의 효용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 우수한 전기화학 특성 및 안정성을 지닌 리튬이차전지용 올리빈 구조 양극소재 연구

        오승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s During two decades, lithium-ion batteries had been widely developed by many research groups for adjus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mong them, layered type cathode materials were already commercialized but there are still remaining the problem to solve, such as long-therm cycling, thermal instability issue, and cost problem. For these reasons, the demand for new type cathode materials had been increasing. In 1997, Padhi and Goodenough firstly discovered olivine type LiFePO4 cathode material which have theoretical capacity of 170 mAh g-1. Since then, the LiFePO4 considered and developed because of its several advantages, such as structural and thermal stability caused by strong polyanion bond, low prices, environmental friendliness. However, LiFePO4 has a lower working voltage than other commercialized cathode materials such as LiCoO2, LiNiCoMnO2 because of the Fe2+/Fe3+ redox reaction at 3.4 V vs. Li/Li+. Therefore, LiMnPO4 has been proposed as a candidate cathode material because its redox potential (4.1 V. Li/Li+) is higher than that of LiFePO4. However, this LiMnPO4 material have lower electrochemical properties which caused by poor electronic conductivity (< 10-10 S cm-1) than LiFePO4 (10-8 S cm-1).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electronic conductivity to enhance the properties of olivine type LiMnPO4 materials to replace the commercial layered materia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lectroche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livine type LiMn1-xFexPO4 cathode materials using various synthetic method, uniform carbon coating, and substitution of the transition metal (Fe). In chapter 2, 4 V-class olivine C–LiMn1−xFexPO4 (x = 0 and 0.15) are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followed by ball milling with AB carbon to evaluate the doping effect of iron. The C–LiMn0.85Fe0.15PO4 shows excellent rate capability having discharge capacity of 150 mAh g−1 at 0.5 C-rate and 121 mAh g−1 at 2 C-rate. The capacity retention of the C-LiMn0.85Fe0.15PO4 is 91 % after 50 cycles at 55 oC whereas C–LiMnPO4 is limited to 87 %. The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C–LiMn0.85Fe0.15PO4 electrode is attributed to the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caused by tighter binding on the carbon particles with the LiMn0.85Fe0.15PO4 primary particles as well as by the surface coating of carbon on the primary particles. In chapter 3, Carbon coated LiMn0.85Fe0.15PO4 with micron-sized, nano porous, and high volumetric capacity was prepared using Mn0.85Fe0.15PO4·H2O precursor via co-precipitation method. The C-LiMn0.85Fe0.15PO4 powder has nanometer-sized pores which coated by carbon layer uniformly. The 7 ㎛ C-LiMn0.85Fe0.15PO4 exhibited an higher volumetric capacity of 369.3 mAh cm-3 at the 0.05 C-rate than nano-sized C-LiMn0.85Fe0.15PO4. And also the C-LiMn0.85Fe0.15PO4 showed excellent rate capability from 0.05 C to 3 C-rate compared to nano-sized one. These high volumetric capacity and excellent rate capability of micron-sized C-LiMn0.85Fe0.15PO4 materials comes from nano-meter sized pores in secondary micron-sized particle which have uniform carbon coating layer. In Chapter 4, Core-shell type C-LiMn0.85Fe0.15PO4-LiFePO4 olivine materials are synthesized by a co-precipitation method followed by double carbon coating with different kinds of carbon sources. Through energy-dispersive X-ray (EDX)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the carbon layer is confirmed within the pores and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varied with different types of carbon sources. Among them, the ascorbic acid-pitch mix coated core-shell electrode show the best discharge capacity of 154 mAh g-1 at 1/20 C-rate and 100 mAh g-1 at 5 C-rate with excellent cycle properties at various temperature. This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y is ascribed to the uniform carbon coating layer both inside the pores and on the outside surface us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carbon sources and the structural and thermal stability of LiFePO4 shell. 국문 요지 지난 20년 동안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기 위해 많은 연구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중, 층상계 구조의 양극 소재가 가장 먼저 사용화가 되어 널리 쓰여 지고 있지만 장기 수명, 열 안정성 그리고 가격 적인 측면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종류의 양극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1997년에 Padhi와 Goodenough교수에 의해 처음 발견된 올리빈 구조의 LiFePO4 양극 소재는 170 mAh g-1의 이론용량을 지니고 있으며, 강한 polyanion 결합에 의한 열적, 구조적 안정성, 저가격, 친환경적인 측면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LiCoO2나 LiNiCoMnO2와 같은 다른 상용화된 양극소재와 비교하였을 때, 3.4 V의 낮은 구동 전압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기존 LiFePO4 물질 보다 높은 구동전압을 가진 LiMnPO4 (4.1 V) 소재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LiMnPO4 (< 10-10 S cm-1) 소재는 LiFePO4 (10-8 S cm-1)소재보다 훨씬 더 낮은 전도도를 지니고 있어 이로 인한 낮은 전기화학 특성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층상계 구조의 양극 소재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고전압의 소재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합성방법, 균일한 카본 코팅 그리고 전이금속 치환을 통해 올리빈 구조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 아세틸렌 블랙 카본과의 볼 분쇄법 및 전이금속 (Fe) 치환법을 사용하여 4 V 에서 구동되는 C–LiMn1−xFexPO4 (x = 0 and 0.15) 양극 소재를 합성하였다. 특히 Fe가 치환된 C–LiMn0.85Fe0.15PO4 소재는 0.5 C-rate에서 150 mAh g−1 그리고 심지어 2 C-rate에서도 121 mAh g−1 의 우수한 방전용량 특성을 보였다. 55 oC 고온 수명특성 테스트에서도 Fe가 치환되지 않은 C-LiMnPO4 소재 대비 우수한 91 %의 방전용량 유지율을 50 싸이클 동안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LiMn0.85Fe0.15PO4 표면과 일차입자에 균일하게 코팅된 카본과 전이금속 치환을 통해 4V급 올리빈 구조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공침반응기 합성법으로 합성된 Mn0.85Fe0.15PO4·H2O 전구체를 사용하여 나노 기공을 가지는 고밀도 마이크론 크기의 C-LiMn0.85Fe0.15PO4를 제조하고 그 전기화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C-LiMn0.85Fe0.15PO4는 균일하게 카본이 코팅된 나노크기의 기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노크기의 C-LiMn0.85Fe0.15PO4전극 대비, 7 마이크론 크기의 C-LiMn0.85Fe0.15PO4를 통해 제조된 전극을 테스트 하였을 때, 0.05 C-rate에서 369.3 mAh cm-3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이크론 사이즈의 소재가 0.05 C-rate에서 3 C-rate까지 측정된 출력특성 결과에서도 나노 사이즈의 소재보다 훨씬 뛰어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론 사이즈의 C-LiMn0.85Fe0.15PO4 의 이러한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은 나노크기의 기공에 카본이 균일하게 코팅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앞서 합성된 마이크론 크기의 C-LiMn0.85Fe0.15PO4소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안된 코어-쉘 구조의 양극 소재에 대해 다루었다. 코어-쉘 구조의 C-LiMn0.85Fe0.15PO4-LiFePO4 양극 소재는 공침반응기를 통해 합성되었으며, 다양한 카본의 종류와 양의 조합을 통해 최적화된 소재를 얻을 수 있었다. Energy-disperse X-ray 분석법을 통해 내부 기공과 외부 표면에 균일하게 카본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된 코어-쉘 소재는 0.05 C-rate에서 154 mAh g-1, 5 C-rate에서 100 mAh g-1의 우수한 출력특성을 가지면서 상온 및 고온에서도 우수한 수명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은 내부 기공과 외부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된 카본과 열적, 구조적으로 안정성 LiFePO4 쉘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 국내 BIM 적용 확대를 위한 공공 BIM 발주프로세스 개선방안 연구

        오승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mprov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rdering process for expanding the uses of BIM in Korean construction field. Recently, various prior researches have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B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BIM through K university dormitory project. In addition, it differs from other researches in that it analyzes the problems of domestic BIM ordering system through the real construction project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 through survey of practitioners in each field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 advantage of BIM i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ractitioners in each field by reducing design errors and improving understanding of drawings. However, the utilization of BIM in the domestic market is not used the most. In most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BIM is utilized in the latter half of the project, so that it performs only the role of interference check or process simul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order process, which is separated and contracted by each field of practice,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time and professional manpower to build a 3D BIM model.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maximize the benefits of BIM,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application of BIM in the ordering process to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If the common information system of the design BIM and the construction BIM is established in the basic design stage by improving the ordering proces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the BIM information is checked and corrected for each process so that problems and design errors during construction can be reviewed in advance will b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quality by minimizing the design change and shortening the air due to the separation of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the adjustment of BIM application time. Also, in order to introduce BIM efficiently in the domestic order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lear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BIM to each business field. In order to utilize BIM actively in domestic market, systematic educ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in each field. In this way, if BIM is applied at the early stage of the domestic ordering process to secure inter-process (design and construction) interconnection and clear criteria for the ordering process are provided for each business field, BIM can be introduced more stably in the domestic market.

      •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오승민 가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교사 행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 효능감의 차이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현직 교사 198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는 신은수․유영의․박현경(2004)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는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에 의해 수정․보완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수집방법은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된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구하고,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련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교직경력, 교사학력, 학급연령, 학급인원)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교직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기관의 유형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치원교사가 교사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급연령에서는 만 5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사후검증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학급인원도 15-20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사후검증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교직경력, 학력, 기관의 유형, 학급연령, 학급인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기관의 유형에서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치원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교직경력과 학력, 학급연령, 학급인원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교사-유아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 신념과 교사효능감 기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어적 상호작용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며 다음으로 정서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치원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교직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유치원교사가 어린이집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았으며 교사 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유아와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Oh, Seung Mi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ch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8 teachers wor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Teacher efficacy was examined by using En-Soo Sin et al.’s Scale(2004);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invested by using the revised version(Jeong-Sook Lee, 2003)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Scale(Eun-Hae Lee & Kee-Sook Lee, 1996).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survey questionnaire to teachers. Data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19.0 Program.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tilized for group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Pea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employed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 efficacy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group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mong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teaching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s,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ge and size of the classes),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kindergarten rather than nursery schools and who had more teaching experiences and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backgrounds tended to indicate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group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 of ‘age 5’ and in class numbers of 15 to 20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n-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rther post-hoc tests. Second,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based on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teaching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s,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ge and size of the classes).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indicated high levels of affective interactions, verbal interactions, and behavioral interactions, those were sub-factor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omparison with teachers working at nursery schools; however, these 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erms of teaching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s,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ge and size of the classes.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factor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such as affective interactions, verbal interactions,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liefs of teacher efficacy and expectation of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Specifically verbal interactions were mostly influenced by the teacher efficacy, next to the affective interactions and behavioral interactions. In conclusion, teachers who had more teach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who were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rather than nursery schools tended to indicate high levels of the teacher efficacy. Teacher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Further it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young childre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such as verbal, affectional, and behavioral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