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ㆍ원감 및 교사의 인식 비교

        오경녀(Oh Kyung-Nyeu),이혜은(Lee Hae-eu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현재 공립학교 체제 속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립유치원 교원평가의 실태 및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앞으로 실시될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립유치원 교원의 교육수행 지원과 교원평가체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원들은 현행 교원평가의 실시에 대해 알고 있으나 교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해서는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알고 있지 않았으며, 그외 교사들은 교원평가를 근무지 이동, 성과급 지급 등과 같은 보상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직위에 따라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ㆍ원감은 교원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공정성, 기여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은 교원평가의 적절성, 만족도, 영향력, 기여도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교원평가에 대해서 원장ㆍ원감은 동료와의 관계나 학부모와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하여 기관단위의 평가, 자기평가, 학년도 말, 격년제 이상의 평가 간격 등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원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행 및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통한 공감대 형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참여의 교원평가과정에 대한 숙의과정이 더욱 필요하며,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교원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ssessment by investigating how to actually conduct the teacher assessment what was teaching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and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t awareness about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mos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ve conducted work performance evaluations, som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d no idea about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and others knew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which was used for relocation, and extra payme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assessment itself, necessarily. Teachers had more negative views tha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ut agreed the assessment was necessary. Teachers knew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in general and had negative opinions about appropriateness, management satisfaction, fairness and contributions of teacher assessments, but these assessment influenced them. Third, for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most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knew about the new assessment but most teachers did not.

      • KCI등재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비교

        황해익,오경녀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혁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이 설립유형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수업컨설팅의 주 대상인 공?사립유치원 교사들 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공?사립유치원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컨설 팅에 대한 일반적 인식, 수업컨설팅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인식, 수업컨설팅을 위한 여건 조성 및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공?사립유치원 교사들 간에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의 설립유형별 수업컨설팅에 대한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수업컨설팅에 보다 효율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이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s awareness and needs for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prepare the effective ways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kindergarten teachers in Daegu with questionnaire. The study investigated overall level of awareness about teaching consulting and the process and method, making use of result of teaching consulting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erational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and Teaching Consultant, procedures and methods and prerequisites on practice of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ve higher awareness on Kindergarten Teaching Consulting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inding out the differences on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kindergarten type, it can suggest plan to involve the Kindergarten Teachers effectively in Teaching Consulting

      • KCI등재

        유치원 원장(원감) 및 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황해익,최혜진,오경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ried to find ways of improving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s: First, what is common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Second, what is awareness of procedures and assessment method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ird, what is awareness of assistance activity and use of kindergarten assessment result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kindergarte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267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of teacher's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was higher. Th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are agreement with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all of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wh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원장(원감) 및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이 직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유치원 평가의 주요 구성원들인 원장(원감)과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보다 효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유치원 원장(원감) 131명과 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 유치원 평가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 및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 원장(원감) 및 교사들 간에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치원 평가를 통해 담당하게 되는 역할 및 책임의 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원들의 직급별 유치원 평가에 대한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평가에 보다 효율적으로 유치원 교원들을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

        최혜진 ( Hye Jin Choi ),황해익 ( Hae Ik Hwang ),오경녀 ( Kyung Nyeu 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시행된 유치원 평가가 우선 공립유치원에 먼저 실시되고 사립유치원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여건을 고려하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준비·절차·방법·내용·조력활동 등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사립유치원의 교원들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치원 평가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울산광역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106명과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내용, 유치원평가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은 항목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에 대한 의견과 준비 및 조력에 대한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원들의 유치원 평가 준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awareness on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ried to find ways of improving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137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awareness for importance of kindergarten assessment`s content and domain was most high in the part of ``appropriateness of safety management``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was same,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have same opinion about the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y thought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awareness of private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privat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kindergarten assessment.

      • KCI등재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차이

        황해익(Hwang Hae-Ik),이혜은(Lee Hae-Eun),오경녀(Oh Kyung-Nye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능력이 교수-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고 상, 하집단간 역동적 평가의 훈련검사점수, 전이검사점수, 학습잠재력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능력은 모든 수학내용의 교수-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높은 수준의 수학적 태도는 교수단계를 거치면서 이미 학습한 유형 또는 보다 높은 난이도의 문제해결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낮은 수준의 능력을 상쇄시킬 정도의 교수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 of mathematical attitudes, abilities, and learning potentiality under teaching-learning situ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s problem-solving in the process of dynamic assessment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108 kindergarteners were tested by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s and mathematical attitude rating scal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raining-test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ransfer-test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learning potential score between 4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s and abilities? The level of mathematical attitude and ability both are related to training-test, transfer-test and learning potentiality. Attitudes are the better, teaching effect and learning potentiality are the higher. Also abilities are the better, teaching effect and learning potentiality are the higher. The high-level attitudes can compensate for the low-level abilities under teaching-learning situ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생태적 유아교육전문성 자기평가척도 개발

        황해익 ( Hae Ik Hwang ),하은옥 ( Eun Ok Ha ),오경녀 ( Kyung Nyeu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계의 위기를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이 개인주의적, 사회주의적, 인간중심적 가치에 안주할 수 없으며 교육의 책무성을 지니고 있는 교사 또한 이러한 위기를 인식하고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삶의 방식과 지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서 교육현장의 유아교사들이 생명·생태주의 가치관에 대한 이해와 지식 그리고 이를 유아교육과정 속에서 실천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교사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생태적 유아교육전문성 자기평가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관련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토 및 1, 2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3개 영역, 6개 요소, 총68문항으로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생태적 유아교육전문성 자기평가척도는 최종적으로 2개 영역 5개 요소 총 54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생태적 유아교육전문성 자기평가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및 척도의 신뢰도인 문항내적합치도,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ssess their ecologica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ise in attitude and competence areas. The scale was based on related theoretical reviews and first, second preliminary investigation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response distribution, the contents and factor analysis, and the Cronbach α and item-total correlation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fter analyzing various items, final version of the scale was considered as a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cale included 54 items in 5 sub-categories of two areas and all of the items proved to be appropriate in differentiating ecological expertise and assessing of child teachers.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 were discussed.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 and mod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tise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and looking for assessment plan that expertise being take place through job. To having and developing the expertise, the researchers had to prepare the institutional devices as well organiz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