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원녹지의 배치특성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일본 동경도 에도가와구 공원녹지기반을 사례로-

        염성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2

        도시에 있어서의 공원녹지의 배치 및 조성은 거주환경의 질적 향상과 환경개선에 효과적인 계획개념으로서 많은 방법론들이 도 시계획 및 광역계획에 추진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공원녹지의 계 획방법론과 생태학적 기능에 주목한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하지만 향후, 도시의 환경개선을 위해 공원녹지를 효과적으로 조성 및 배 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가 도시민에게 미 치는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명확히 해야 만 한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 서는 일본의 에도가와구의 두 지구를 대상지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 해 얻은 371부의자료를 바탕으로 t검정과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는 주민의 공원 이용에 있어서의 접근성과 질의 향상으로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 지의 양적인 증대보다 가용할 수 있는 자원과의 연계를 고려한 공 원녹지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유도하여 공원녹지의 가치를 높이는데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Urban park are recognized as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quality of resident’s lives. For this reason, many cities have attempted to introduce green infrastructur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There is a large body of research on the topic; especially studies carried out from ecological perspective and build up method. In order to plan for and establish parks more effectively, and to restructure the green environment in many more c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nfluence parks have on residents.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on-sit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371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two study districts in Edogawa city, Jap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re park quality and accessibility. Finally, green infrastructure maybe utilized as a spatial strategy of importance to heighten values of parks and green spaces in the urban areas, as a potential tool in boosting satisfaction with higher accessibility to park and green spaces for the residents.

      • KCI등재

        해안경관구성요소를 활용한 관광자원활성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고흥 우두~우천마을 일원을 대상으로 -

        염성진,Yeom, Sung-Jin 한국환경과학회 201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8 No.12

        Plans t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coast guard are underway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area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in recent years. As most of the plans have been focused on some specific factors such as geographical or regional conditions, and therefore systematic approaches are needed in corporation with other related projects. This study suggested the measures on activating the coastal tourism resources for Woodoo~Woocheon village in Goheung-gun by using the coastal landscape elements.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environment and tourism resources for coastal regions were investigated in Woodoo~Woocheon village and plans for enhancing connectivity with local resident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cenic values of coastal region, landscape were asse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le coastal tourism resources in the future. Several solutions were suggested to enhance tour values; coastal deck road to enhance connectivity between resources and accessibility of foreign tourists, social communication among local residents and authorities,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al and historic resources in local area. In addition, information signs and new stair ways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ourists. In the future, if the plan for this study was to generate profitability with persistence, it suggested that there was a way to move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profit rate local projects distributed around it.

      • KCI등재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염성진,박청인,Yeom, Sung-Jin,Park, Chung-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Parks and green spaces have various functions for improving urba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have been appli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rban environment. The most popular method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is incrementing the quantity of parks and green spaces. However, it may not be possible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a large c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obtaining land.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study evaluates existing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evaluation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ose plann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ama Newtown, Japan, within two districts with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k systems: concentration and equality arrangement forms. For comparison, on-site questionnaires were used, with 319 residents in the area responding to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study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factors be tween the two district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each of the districts, depending on parks and green space components. For example, the quality of green spa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istrict with a planned concentration arrangement form of parks and green spaces, but, separation of the pedestrian and vehicular syste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strict with a planned equality arrangement form of park system.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were common between the two sites were: accessibility, quality of park, quality of green space,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ular traffics.

      • KCI등재후보

        民設民営オープンスペースの現況と特徴に関する研究 :日本全国の民設民営オープンスペースを事例に

        염성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1 GRI 연구논총 Vol.13 No.2

        . 계속되는 불황과 행정의 경재난 등의 배경속에 일본에서는CSR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시의 오픈스페이스분야에 있어서도 기업과 민간의 활력의 도입되고 있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 의해 개설되어 운영관리되고 있는 민설민영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하여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의 오픈스페이스로서의 역할과 기능, 유용성에 대해 계획론적 지견을 얻음과 동시에 앞으로 한국의 민설민영 오픈스페이스의 방향성과 시사점에 대해 검토하자 한다. 일본의 도도부현청을 대상으로 각지역에 존재하는 민설민영 오픈스페이스를 파악한 결과, 일본 전역에78개소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파악 된 78개소의 민설민영오픈스페이스의 소유주를 대상으로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기위해서 시설현황, 관리운영현황, 설립목적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요시설은 자연자원으로 분류되는 시설이 가장 많고, 입지적 특성으로는 중소규모의 지방자치단체에 입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시설의 면적에 있어서도 도시공원의 종합공원규모의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특징으로부터 재정난으로 인해 새로운 오픈스페이스의 정비가 곤란한 지방자치단체에게는 대규모의 자연자원임과 동시에 방재적기능을 가진 오픈스페이스의 확보라는 면의 있어서 유용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유주의 경우 운영관리에 있어서 불안을 안고 있는 현실속에서 향후, 도시의 오픈스페이스로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행정과의 협정 혹은 유지관리를 위한 행정체계와의 연계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공원녹지 네트워크가 주민의 공원녹지이용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코호쿠 뉴타운 공원녹지네트워크를 사례로

        염성진,이지웅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6 No.4

        공원녹지네트워크는 환경복원과 생태계로서의 가치, 방재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많은 국가와 한국에서도 지역계획 및 도시계획에서 공원녹지네트워크구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뉴타운 개발과 더불어 지구스케일로 기 조성된 공원녹지네트워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 주민의 공원녹지네트워크에 대한 만족도평가를 실시하여 의 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공원녹지네트워크구축계획에 있어서 계획론적 이론과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628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과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원녹지네트워크의 만족도와 그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공원녹지네트워크의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연결성, 공원의 관리, 접근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Green networks are recognized as an effective tool to restructure green environments. They can provide ecological benefits and function as disaster prevention areas, among other purposes.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included in Korea- have attempted to introduce green network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especially focused on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in New town, Japan for enhancement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in large scal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ground theory and database for the future planning of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according to evaluate resident’s satisfaction. The on-sit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628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study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 networks are connectivity, green space and park management condition, acces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주거단지 조성에 있어서의 공공녹지계획의 특징에 관한 기초연구 -일본 타마 뉴타운의 공공녹지체계를 사례로-

        염성진 ( Sung-jin Yeom ) 한국환경과학회 201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7 No.8

        In order to address housing issues, alleviate the concentration of urban populations, and resolve other issue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large residential complex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since the 1970s. The changes to the residential culture due to such development projects propagated rapidly, making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housing in Korea. In developing such large-scale complexes, plans for public open spac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ulat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been mostly the same, only utilizing the spaces remaining after planning other types of spaces.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e case of Tama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a Japanese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that has a similar public open space system in large scale 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In doing so,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public open space plans. In the conclusion, the study first finds that various public open spaces must be reviewed and introduced in term of predicting social demands. Second, the study suggests the policy-makers should actively introduce pedestrian paths as a public open space. Third, the study deduces the planning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original landscape preservation.

      • KCI등재

        보행자전용도로의 이용목적에 따른 만족요인 연구

        염성진 ( Sung Jin Yeom ) 한국환경과학회 201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0 No.9

        As serving people`s activities, pedestrian road systems are basic and necessary facilities in urban structure. To provide and utilize these pedestrian road systems in residential area would enhance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quality of life. For this reason, pedestrian road should be planned by consideration of people`s activity in residential area. Evaluation of existing pedestrian road should be also oriented how people use it and what people do in it. This study amis to investigate functions of pedestrian road system throughout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better pedestrian road system in residential a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omponents of factors affecting on user`s satisfaction,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affecting factors. For this study, the on-sit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267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study areas where locate Toyogaoka and Kaidori, Japan. The collected data were clarified exploratory factors, and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satisfaction by applying quantitative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mapping investigation, Mann-Whitney u-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pedestrian road system is more preferred than surroundings of vehicle roads in residential district area where maintains pedestrian road as open space. In addition, satisfactions of the pedestrian road for each purpose were highly evaluated, because of conformability and convenience for usage. Consequently, the pedestrian road which is secure and greening as an open space is well carried out for the living circulation of residents. It would suggest that pedestrian road have to be managed and planned not a function of circulation but an open spac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