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OCB에 미치는 영향: 한일 비교 연구

        양동민,김은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3

        [Purpose]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which is believed to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orker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Methodology]Five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ior literature review. To verify thes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were tested by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Finding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OCB. Second, power distance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rd, collectivism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for Korean workers, and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Japanese workers. [Implications]This study empirically assessed the moderating effects power distance and collectivism cultural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OCB for Korean and Japanese workers. [연구목적]본 연구는 한일 비교 연구를 통해 변혁적 리더십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 문화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한국과 일본 기업 내 종업원 321명, 541명 각각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한국과 일본 표본 모두에서 조직몰입, 직무성과 및 OCB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권력격차는 일본 표본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반면에 변혁적 리더십과 OCB 간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표본에서는 권력격차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주의는 한국 표본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OCB 간의 관계에 있어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표본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만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문화적 가치를 조절변수로 고려함으로서 변혁적 리더십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이루었다는 점과 함께,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위해서는 한일 각국에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화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고려한 조직 내 정책적 대안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양동민,이미란,최우정,김지태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isaster are increasing and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policy and its application are important. Disaster field survey is one of the important disaster management but field survey has resulted in the incorrect disaster cause analysis because of nonstandard method. In this study, disaster finds survey find problems and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nd road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utilize establishing scientific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일관된 기준의 방재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재난현장조사는 방재정책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나 표준화된 기준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부실한 재난원인 분석 결과를 가져왔다.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현장조사 절차 및 방법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현장조사 기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추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과학적 재난원인분석 체계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핵심자기평가가 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의 매개효과 검증

        양동민,박종민,김형진,심덕섭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27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통해 핵심자기평가, 목표 기대감, 목표 자기일치성, 목표달성 사이의 관계구조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핵심자기평가 개념이 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얻어진 몇 가지 사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자기평가는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은 목표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은 핵심자기평가가 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핵심자기평가는 목표달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목표 기대감 및 목표 자기일치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핵심자기평가는 자신의 행동역량에 대한 믿음을 통해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자신의 관심사나 가치에 부합되는 목표를 자율적으로 추구함으로써 목표 달성에 가까워 질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Drawing upon exis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goal expectancies and goal self-concor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s and goal attai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undergraduate management students at a southwestern Korea univers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revealed that (1) core self-evaluatio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al expectancies and goal self-concordance, (2) goal expectancies and goal self-concorda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al attainment, and (3) goal expectancies and goal self-concordance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s and goal attainment, suggesting that core self-evaluations may have their initial influence on goal expectancies and self-concordance, which subsequently affect goal attain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직무요구 및 직무통제가 일-가정 갈등, 직무탈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동민,심덕섭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2

        Recently, many organizations are faced with dynamic environment and intense competition. Under these situation, employe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re a huge problem that organizations must solve. So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control on work-family conflic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a moderating effect of job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work-family conflict and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job demand, job contro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se relationships,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on data 200 employees in 8 organizations, and after excluding unanswered questionnaires, total of 177 employees data were used for analysis. Job demand was measured by scale with 12 items used by Jackson, Wall, Martin and Davids(1993). Job control was measured by 6 items from Karasek(1979). Work-family conflict was measured by scale from Carlson, Kacmar and Williams(2000) on a 6-item scale. Burnout was measured by 4-item scale from Maslach(1982) and Maslach and Jackson(1981). Turnover intention was measured by 3-item scale from Cammann, Fichman, Jenkins and Klesh(1979). Items are rated on a 7-point Likert-type scale ranging from 1 to 7.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s are us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Sobel test i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Findings show that job demand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rk-family conflict, and job control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rk-family conflict. Job control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work-family conflict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e results also show that work-family conflict positively relates to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work-family conflic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the job demand-control and employees’ attitu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ob demand, control and work-family conflict are major factors for reducing employe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s should reduce employees' excessive task by allocating moderate task, hiring additional employees. Also organization should carry out various family-friendly policies and provide work-family balance to employees. In addition, organizations should give autonomy and empowerment on the employees. We expect that organizations can reduce employe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se ways. Given the small number of samples, this study constitutes an exploratory attempt in nature.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attempting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generalize the recommendations. The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must be validated by further research in diverse research settings. Especially,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various sample which have different workl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so limited by its cross-sectional design and by the use of a single method of data collection.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designs are needed to uncover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contro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ly, for a comprehensive model of this research, future research must consider other variables that might reflect a more complex process than is depicted in our model. 최근 들어 종업원들의 직무탈진과 이직의도는 기업들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직무탈진과 이직의도를 발생시키는 요인과 과정을 설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Karasek(1979)의 직무요구-통제 모델을 바탕으로 직무요구 및 직무통제와 일-가정 갈등, 직무탈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더불어 직무통제의 조절효과 및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8개 기업 177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직무요구는 일-가정 갈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직무통제는 일-가정 갈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과 달리 직무통제는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간의 관계에 있어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갈등 역시 직무탈진과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가정 갈등은 직무통제와 직무탈진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매개가설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종업원들의 직무탈진과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업무배분, 인력 보강을 통해 과다한 직무요구 수준을 낮춰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다양한 가정 친화적 정책을 시행하여 일-가정 갈등 수준을 낮춰야 한다. 더불어 종업원들에게 직무에 대한 통제 및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 역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