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팀 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분화의 원인과 결과: 팀 수준 분석

        심덕섭,윤수걸,조성일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3 No.1

        Leader-Member Exchange (LMX) model of leadership has suggested that members within the same work team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heir level of the quality of leader member relationships. However, the differentiation in leader member relationships has not been examined for its possible team-level effects. In this study, the possible impact of this role differentiation on team members` affective reactions was explored. As hypothesized, teams whose members experienced higher level of LMX tended to have higher overall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 ment, and team efficacy. Contrary to expectation, however, the team-level mean on LMX was not related with team-level variability on LMX.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Champion behaviour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in Korea

        심덕섭,김영배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2

        Adopting an uncertainty-reduction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the impact of champion behaviour on the product developmentprocess and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projects. Champion behaviour is defined as: expressing confidencein the innovation; involving and motivating others to support theinnovation; and persisting under adversity. Based on data from 79product development projects across 34 Korean firms, this studyfinds that champion behaviour positively contributes to projectperformance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by providing marketinformation, material resources, and organisational support. The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가적 리더십이 혁신분위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덕섭,하성욱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innovative climate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we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limat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hile prior studies have usually tackl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y have rarel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ve climate o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on data 225 employees in 5 R&D organizations, and after excluding unanswered items questionnaires, total of 166 employees data is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predicted, a project lea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Second, innovative climate has turned out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us providing evidence that entrepreneurial leaders are likely to exert their influence on followers by affecting their feelings of innovative climat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are indirect, rather than direct, in that they are fully mediated by followers’ perception of innovative climate. That is, implying that one key factor that influenc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entrepreneurial leadership.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프로젝트 팀장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조직의 혁신분위기가 상사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기업가적 리더십이 혁신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소속된 팀원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냄을 실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는 국내 5개 조직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원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166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기업가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혁신분위기는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가적 리더십은 연구개발 프로젝트 팀의 혁신분위기를 통해서만 혁신행동을 유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팀 프로세스가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덕섭,하성욱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0 산업혁신연구 Vol.36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team process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in 5 firms. Findings show that the team process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the time-to-market performance, and the market performance of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Specifically,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is associated with teamwork process, and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 The time-to-market performance is associated with task coordinating process, external linkage process, and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 The market performance is associated with teamwork process, task implementation process, external linkage process, and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ource acquisition process and the market perform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dic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empirically showes that the importance of the external processes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 besides the importance of the project’s internal processes, which prior empirical studies have dealt with.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신제품개발 프로젝트팀의 팀 프로세스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신제품개발 프로젝트팀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5개 조직 82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제품개발 팀의 팀 프로세스는 팀워크, 과업조정, 과업수행, 외부연계, 정보수집, 그리고 자원획득을 도출하였다. 이 팀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성과 구체적으로 기술성과, 시간성과, 시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술성과에는 팀워크와 정보수집 프로세스가 정의 영향을 주고, 시간성과에는 과업조정, 외부연계와 정보수집 프로세스가 정의 영향을 주었다. 시장성과에는 팀워크, 과업수행, 외부연계와 정보수집 프로세스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는데, 예상과 다르게 자원획득 프로세스는 시장성과에 한계적으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한계 상황에서 오히려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Baker & Nelson(2005)의 주장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다루어왔던 팀 내부 프로세스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 추가로 팀 외부 프로세스가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실증하였다. 대체로 외부 프로세스가 내부 프로세스 보다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프로젝트 팀의 구성, 프로세스,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형태적 연구

        심덕섭,최지호,양동민,문연희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2 No.-

        많은 연구자들이 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별 팀 프로세스 차원의 독립적인 효과를 고려하고 있을 뿐, 팀 프로세스 특성에 따라 팀을 구분하는 형태적 접근방법(configurational approach)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81개 대학생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개별 팀이 과업 수행 과정에서 보여주는 독특한 팀 프로세스 스타일에 의해 프로젝트 팀을 분류하고, 이들 군집에 따른 선행 및 성과 변수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팀은 팀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수준뿐만 아니라 각각의 프로세스 조합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둘째, 팀 프로세스 군집 유형은 팀 구성원들의 연령 및 성별 다양성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기능 다양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팀 프로세스 군집 유형은 팀 구성원들의 집단 과업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팀 프로세스 군집 유형에 따라 팀 성과 및 팀 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가 논의되었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ducted research on team process, there is still work that needs to be done. While the majority of team proces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dependent effect of the specific team process components, configurational approach, which categorize teams by the distinctive styles they seem to exhibit in interact with each other to accomplish the task, have not been explored to explain team effectivenes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differentiate the teams by the distinctive team process styles,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hose forms. A total of 81 university student project teams were survey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ject teams differ not only in the general level of team processes to exhibit in interact with each other to accomplish team task but also in how to mix various team processes. Second, project teams that utilized different team process styles differ in terms of functional diversity, but demographical diversity such as age and sex make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eam process styles. Third, project teams that utilized different team process styles differed in terms of preference of teamwork. Lastly, the team process styles used by project teams, in turn, have an effect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 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 검증

        심덕섭,김형진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2

        The growing interest in ethical influence of manager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social demands for ethical management by unethical incidents at home and abroad. Ethical leadership not only affects the employees’ job related attitudes and their job performance, but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culture. However, most of studies on ethical leadership have focused on 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less attention given to the employees’ negative attitude like unethical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ders’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unethical behavior,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we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i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a sample of 224 employees in 15 firm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ollowers’ unethical behavior,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help develop strong ethical leadership patterns within their teams to bolster subordinates’ positiv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Second, person-organization fit has turned out to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job performance, unethical behavior and whistle-blowing intention. This result indicated that ethical leadership directly and indirectly effects on job performance, unethical behavior and whistle-blowing intention through person-organization fit. That is, ethical leadership has an influence on the perception that subordinates are compatible with their own and their organization's goals and values, and consequently shows the effect of reducing unethical behavior and improving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Our study makes key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ethical leadership, suggesting positiv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mediation analysis i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since little research examined indirect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unethical behavior,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job performance through person-organization fi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Given the small number of samples, this study constitutes an exploratory attempt in nature.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attempting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generalize the recommendations. The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must be validated by further research in diverse research settings. Causality could not be claimed due to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designs are needed to settl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follower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Such contextual variables are not fully measured in this study but could be included in future research. 최근 국내외의 비윤리적 사건들에 의하여 윤리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위해 경영자의 윤리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비윤리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함께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국내 지방 소재 15개 조직 224명의 종업원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통해 얻어진 몇 가지 사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비윤리행동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은 직무성과 향상을 이끌며 개인의 비윤리 행동을 줄여줄 뿐 아니라 구성원의 내부고발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조직 적합성은 윤리적 리더십과 비윤리 행동,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조직 적합은 윤리적리더십과 비윤리 행동 및 내부고발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으며,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들로 하여금 자신과 조직의 목표, 가치 등이 부합하다고 지각하는데 영향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비윤리적 행동을 줄이고, 내부고발 및 직무성과를 제고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윤리적 리더십이 규범적 의미에서뿐아니라 실질적으로 부하의 태도 및 성과를 향상시키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윤리적리더십이 윤리적인 기업문화 정착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던 비윤리적 행동및 내부고발에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을 실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연구영역을 확대하는 한편, 리더의 도덕적 의지가 부하의 직무 태도 및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리더십 분야의이론적 공백을 보완하고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에 단편적으로검증되던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효과 연구에 비해, 윤리경영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개인-조직적합성 변수를 고찰한 국내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매개효과 가설을 함께 검증함으로써 윤리적리더십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