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의 공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안윤정(An, Yoon Jung),임윤서(Iem, Yun Se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공감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대학교 여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공감, 진로탄력성,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측정도구를 활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학년에 따라 공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고, 진로탄력성의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전공에 대한 차이 검증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나, 공감과 진로탄력성에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공감, 진로탄력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증명되었다. 셋째, 공감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공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진로탄력성이 둘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한 진로탄력성과 공감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CP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on the subjects of 365 female students from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rough measuring tools for CPS, empathy, and career resilience,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empathy, career resilience and CPS, in terms of grade of femal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mpathy and C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resilience. Also, in terms of major,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empathy, career resilience and C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ird, female students empath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PS.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empathy and CPS. To enhance CPS of femal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verse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raise empathy and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An, Yoon-Jung),서지윤(Seo, Ji-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 권 소재 대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 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정서지 능의 정서조절,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학교 수준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과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종교유무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에서,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 났다.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정서조절이 개인작인신념의 두 하위요인인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능력신념에는 47%, 맥락신념에 22%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맞는 진로선택의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을 높이는 다양한 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요구 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46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gulation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Also,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existenc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n impact on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the explanation concerning capability beliefs(47%) and context beliefs(22%) was persuasive. Therefore, when undergraduate students have to make career decision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encourage personal agency beliefs which are related to motivational factors, the conseq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verif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y kinds of supporting systems to encourag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 KCI등재

        여성택시운전기사의 직무경험을 통한 직업유지 요인 연구

        안윤정(An Yoon-jung),오현주(Oh Hy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1

        본 연구는 부천지역의 여성택시운전기사를 대상으로 직업현장에서 ‘여성’으로서 어떤 직무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적 성고정관념, 여성에게 불리한 직무환경 등 직업유지를 위한 장애요인과 직무만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0명의 여성택시운전기사와 2명의 노조간부, 2명의 인사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여성택시운전기사들은 여성은 운전을 못하거나 길을 잘 모른다는 편견으로 인해 승객으로부터 승차 거부나 부당한 대우를 당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직업적 성고정관념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편견에 노출되어 있으며 주로 취객 남성 손님들의 언어폭력과 성적수치심을 유발하는 성희롱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여성이 남성 직종에 진입하면서 생겨난 성차별적인 요소로서 여성에게 불리한 직무적 특성과 환경에서 비롯되며 직업유지를 위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장시간근무로 인한 체력적인 소진과 스트레스로 인해 여러 가지 만성적인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택시운전기사로서의 직무만족적인 측면은 자기주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특성, 시간활용의 자율성과 능력에 따른 소득, 정년없는 고용안정, 승객들이 가지는 여성운전기사에 대한 높은 고객만족도 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역 내 짧은 이동거리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여성운전기사가 일과 양육을 병행하기 유리한 조건 등 부천의 지역적 특성과 직종과의 연관을 통한 정책적인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업명성이 낮고 비전통적인 직종에 여성이 진출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 여성일자리로서 한계와 가능성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woman taxi drivers in the Buchon location in the taxi driving field (which is nontraditional and of low occupational prestige), the factors of job maintenance, and the prospect of a taxi driver through her job experience. Ten woman taxi drivers, two labor union leaders and two personnel managers were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Woman taxi drivers were facing vocational sex-role stereotypes like women are poor at driving and finding their way. Cab patrons ignored them and refused to take their taxi. They were suffering from stress caused by drunk cab patrons. They were verbally abused and sexually harassed. Before women entered the taxi driving field this was unknown. That is not only essential obstacle for employment but also sexual discrimination. Also, they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 and mental stress because of the long work hours. Nevertheless, they were satisfied with self initiated job characteristics, autonomy of using their time, earnings without discrimination,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without retirement. First of all, they were proud of cab patrons’ satisfaction owing to the faith in woman taxi drivers. Another point to investigate their job experience i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chon where it is a short distance. Although the taxi driver is a nontraditional job, it is not a recommended job for women.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implications for women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which is low occupational prestige and nontraditional. If women are more integrated in non-traditional occupation like taxi drivers, the job image itself can be changed more positively and occupational discrimination by gender can be slowly eroded.

      • KCI등재

        재직자의 개인목표와 소명의식 관계 분석

        안윤정(An, Yoon-Jung),서지윤(Seo, Ji-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재직자의 개인목표에 따른 소명의식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 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금융업, 교육서비스업, 정보서비스업 등) 371명을 대상으로 개인목표와 소명의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력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 이가 드러났다. 종교유무에 따라 개인목표의 사회적 책임감, 자원지원,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유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직형태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담당업무 에 따라서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개인목표의 자기 주도적 사회관계목표에 해당하는 요인들의 상하 그룹에 따른 소명의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개인목표의 통합 적 사회관계목표의 상하 그룹에 따라 소명의식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개인목표의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와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재직자의 소명의식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의 중요 성이 검증되었으며 조직 내에서도 재직자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도록 하는 목표를 인생전반에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goals and perceptions of call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71 workers(finance, educational service, IT service sector)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dividuality of personal goals and presence-transcendent summons and purpose & meaning, prosocial orientation of perceptions of cal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career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resource provision of personal goals and all sub-factors concerning perceptions of calling according to religion existence. Also, the individuality of personal goals and all sub-factors concerning perceptions of cal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rganization type and according to their job, the presence-transcendent summons and purpose & meaning, prosocial orientation of perceptions of cal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oups which have high or low integrative social relationship goals, perceptions of cal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integrative social relationship goals and the perceptions of calling. Therefore, in order to encourage workers' perceptions of call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social relationship goals were verifi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supporting systems to let workers design their life goals through their job in their organization.

      • KCI등재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안윤정(Yoon-Jung An),김동혁(Dong-Hyeok Kim),이제현(Jee-Hyun Lee),이붕주(Boong-Joo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4

        하루 평균 90%를 실내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을 위해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을 제어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으로 제어해 주는 시스템이다. 불쾌지수가 온도와 습도 중 영향이 큰 성분을 찾는 실험에서는 온도를 21도로 고정 했을 시 습도가 1% 변하는 경우 불쾌지수 0.1이 증가하였고 습도를 40%로 고정하고 온도가 1도 변할시 불쾌지수가 1.2씩 변하는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온도가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아냈다. LED실내등과 릴레이 소켓을 메인 제어 시스템에 무선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블루투스의 통신한계 측정실험에서 장애물이 없을 시 최대 70m 통신 가능 했으며 벽이나 철근과 같은 고분자 장애물이 있는 경우 통과하여 통시할 수 있는 장애물이 최대 2개였고, 고분자 장애물 하나를 사이에 두고 통신 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 10m임을 확인하였다. It is a system that controls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dust to make interior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for modern people who spend 90% of the time in indoor. In an experiment of finding which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fluence more to discomfort index, for a fixed temperature of 21, discomfort index increased by 0.1 with a 1 change of humidity, and for a fixed humidity of 40, discomfort index increased by 1.2 with a 1 change of tempera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humidity to discomfort index. In an experiment of measuring communicational limitation of Bluetooth, the communication was possible for at most 30 meters without obstacles. With high obstacles like walls or steel bars, it was able to penetrate at most 2 obstacles and maximum distance which it can communicate was 10 meters for just one high molecule obstacle.

      • KCI등재

        여대생의 성찰을 통해 본 한국사회 여성 리더십의 의미 탐색

        안윤정(An Yoon jung),임윤서(Iem Yun se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여대생에게 여성 리더십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에 있는 여대학생 총 271명의 성찰보고서를 중심으로, 남녀공학의 여학생 51명의 성찰보고서를 보조자료로 활용하여 CQR-M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들의 리더십 경험과 성찰을 통해 분석한 결과 3개 영역, 7개 범주, 14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첫째, 여성 리더십 개념은 ‘리더십에 대한 인식’, ‘여성 리더십에 대한 관점’, 여성리더십 특성은 ‘여성 리더십의 조건’, ‘여성 리더십의 장․단점’ 등 각 2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현실은 ‘여성 리더에 대한 편견’, ‘여성 리더에 대한 성차별’ , 여대생의 경험은 ‘직접적인 리더십 참여활동’, ‘간접적인 리더십 관찰 활동’ 과 여대생의 성찰은 ‘리더십 경험이후 자기성찰’, ‘리더십 관찰이후 타인평가’ 등 각 2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셋째, 여성 리더로의 지향은 ‘일상관계에서의 롤 모델’, ‘사회영역에서의 롤 모델’, 여성 리더로의 대안은 ‘개인적인 노력과 개발’, ‘사회 환경의 변화 요구’ 등 각 2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여성 리더십 인식을 통해 여성 리더로서의 성장가능성과 동시에 그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 리더십을 경험할 수 있는 여대의 긍정적인 측면과 남녀공학에서 여대생들을 위한 특화된 프로그램 등 관련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s research is based upon self-reflecting report of 271 female students of a women s university to analyze the meaning of women leadership. Self-reflecting report of 51 female students of Co-ed University was used as a comparative resource whilst analyzing by using CQR-M. After the analysis, it resulted of 3 regions followed by 7 categories with 14 sub- categories. The further analysis is as follows. Under first region, there are women’s concept of leadership and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which are what frames their perception. The concept of leadership was divided into 2 sub-categories of ‘recognition of leadership’ and ‘perception towards women leadership’, and leadership’s characteristic was divided into 2 sub-categories of ‘demands required for women leaders’ and ‘pros and cons of women leadership’. Second region show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ality, experience, and self-reflection. Reality was segmented into 2 sub-categories, ‘stereotype towards women leaders’ and ‘gender inequality towards women leaders’, Experience was segmented into ‘directly linked leadership activities’ and ‘indirectly linked leadership activities’, and self-reflection was segmented into ‘self-reflection after the experience of leadership’ and ‘evaluation of other leaders’. Third region was categorized into 2, female university student’s leader-inspiring figures and improvements to be a leader. Female university student’s leader-inspiring model were divided into 2 ubcategories, ‘role model in daily life’ and ‘role model within the society’, improvements to be a leader was divided into ‘personal efforts and developments’ and ‘demands due to the change in society’. The possibility of women leaders and its limits were analyzed through female student’s percep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 관계 연구

        안윤정(An, Yoon-J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D대학 신입생 548명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 단계, 정서지능과 진로미래 등의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정서지능의 정서조절, 진로미래의 직업의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라 진로미래의 진로주체성과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의 차이는 진로탐색과 진로몰입이 진로재고려에 비해 정서지능과 진로미래에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다. 셋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과 진로미래에서 부정적 진로전망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이 드러났으며, 부정적 진로전망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정서지능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미래의 일-가정 균형과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활용은 진로미래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서지능의 정서활용과 정서조절이 진로미래의 진로주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발달을 위해 정서지능과 진로미래의 중요성이 발견되었으며, 정서지능이 진로미래를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미래상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in terms of undergraduate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For this purpose, 548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in terms of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regulation of emotion and occupational awareness; concerning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in terms of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areer agency and support. Second, in terms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future inventory-revised between career exploration, commitment and career reconsideration. Third,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emotion intelligenc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except negative career outlook; emotion intelligence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career outlook. Fourth,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emotion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port and work-life balance and use of emo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gency.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송미화(Song, Mi Hwa),안윤정(An, Yoon J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Y와 O 전문대학 재학생 1,35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그릿과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스트레스는 그릿과 진로미래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고, 그릿과 진로미래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릿과 진로미래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미래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진로미래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이며, 그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전문대학생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높이기 위해 진로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그릿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상담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we conducted a two-week survey of 1,358 students at Y and O colleges in Gyeonggi-do. The results show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career stress and grit, as well as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and grit. Mostly, career str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grit and career futures. Additionally, grit and career futures h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grit and career futures. Furthermore, although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s an obvious opposite relationship with career futures, to some extent,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impacts on career futures.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of college students, gri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order to positively affect career future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unselling and education to improve career stress management and grit is suggested.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반응에 대한 성차분석

        김병숙(Kim Byung-Sook),안윤정(An Yoon-Jung),이보비(Lee Bo-B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과 반응을 성차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현재 재직상태에 있는 근로자 383명(남성 205명, 여성 17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의 직무사건별 스트레스 순위 1위는 남녀 모두 ‘갑작스러운 해고를 당할 때’인데 이는 직무불안정의 실업예고 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점수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드러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 직무불안정이 남성과 여성 모두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이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보상부적절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살펴보면 직무불안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장문화, 조직체계 등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반응은 심혈관질환, 우울, 통증, 낮은 자기존중감, 이직, 수행능력저하, 직무불만족 등에 관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ㆍ신체적ㆍ행동적 반응의 평균값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반응의 상관분석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는데, 남성은 직무불안정의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유의미하게 관련되었고 특히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장문화의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 또한 직무불안정의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유의하게 관련되었고 그 중 보상부적절, 직무자율, 조직체계의 요인들이 비교적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던 직무사건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순위는 직무요구, 직장문화, 보상부적절, 직무자율,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순으로 성별 차이가 없었다. 하부요인을 분석해보면 여성이 관계의 신뢰성 부족으로 응답한 비율이 남성에 비이가 없었다. 하부요인을 분석해보면 여성이 관계의 신뢰성 부족으로 응답한 비율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job stressors and reactions from gender differenc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3 workers an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The most stressful incident for both male and female workers was to be fired without any notice. Through the stressors of this job incidents, both male and female workers felt stressed by the factor of job insecurity and female workers were tend to feel more stressed than male workers by inappropriate compensation. According to t-test analysis of the job stressors from gender differences, inappropriate compensation, job demand, job autonomy,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ystem were verified by gender. According to t-test analysis of the job stress reactions from gender, pain, depression, insomnia, cardiovascular disease, job dissatisfaction, low self-esteem, turnover, performance decline were verified by gender. The average of all factors for female workers was higher than male workers'. That means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ed and reacted by job stress.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of job stressors and reactions, 5 job stressors for male workers were correlated to 8 job stress reactions except job insecurity, and more correlated to job demand, job autonomy, organiz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5 job stressors for female workers were correlated to 8 job stress reactions except job insecurity, and correlated to inappropriate compensation, job autonomy, organization system rela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job stress the male and female workers have suffered from during their employment lives, there was no different stressors comparing female workers to male workers, but under sub-factors of stressors, female workers felt more stressed by confidence in relationship than male work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