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반응에 대한 성차분석

        김병숙(Kim Byung-Sook),안윤정(An Yoon-Jung),이보비(Lee Bo-B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과 반응을 성차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현재 재직상태에 있는 근로자 383명(남성 205명, 여성 17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의 직무사건별 스트레스 순위 1위는 남녀 모두 ‘갑작스러운 해고를 당할 때’인데 이는 직무불안정의 실업예고 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점수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드러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 직무불안정이 남성과 여성 모두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이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보상부적절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살펴보면 직무불안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장문화, 조직체계 등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반응은 심혈관질환, 우울, 통증, 낮은 자기존중감, 이직, 수행능력저하, 직무불만족 등에 관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ㆍ신체적ㆍ행동적 반응의 평균값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반응의 상관분석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는데, 남성은 직무불안정의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유의미하게 관련되었고 특히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장문화의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 또한 직무불안정의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유의하게 관련되었고 그 중 보상부적절, 직무자율, 조직체계의 요인들이 비교적 직무스트레스 반응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장 스트레스가 높았던 직무사건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순위는 직무요구, 직장문화, 보상부적절, 직무자율,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순으로 성별 차이가 없었다. 하부요인을 분석해보면 여성이 관계의 신뢰성 부족으로 응답한 비율이 남성에 비이가 없었다. 하부요인을 분석해보면 여성이 관계의 신뢰성 부족으로 응답한 비율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job stressors and reactions from gender differenc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3 workers an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The most stressful incident for both male and female workers was to be fired without any notice. Through the stressors of this job incidents, both male and female workers felt stressed by the factor of job insecurity and female workers were tend to feel more stressed than male workers by inappropriate compensation. According to t-test analysis of the job stressors from gender differences, inappropriate compensation, job demand, job autonomy,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ystem were verified by gender. According to t-test analysis of the job stress reactions from gender, pain, depression, insomnia, cardiovascular disease, job dissatisfaction, low self-esteem, turnover, performance decline were verified by gender. The average of all factors for female workers was higher than male workers'. That means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ed and reacted by job stress.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of job stressors and reactions, 5 job stressors for male workers were correlated to 8 job stress reactions except job insecurity, and more correlated to job demand, job autonomy, organiz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5 job stressors for female workers were correlated to 8 job stress reactions except job insecurity, and correlated to inappropriate compensation, job autonomy, organization system rela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job stress the male and female workers have suffered from during their employment lives, there was no different stressors comparing female workers to male workers, but under sub-factors of stressors, female workers felt more stressed by confidence in relationship than mal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