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안승대(An, Seung-Da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3

        이 연구는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분단은 고착화하여 하나의 체제, 즉 분단체제가 되었다. 분단체제는 남북한에 분단국가를 형성하였으며, 분단국가는 국민들을 분단에 순응하게 만들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의 가시화는 탈분단체제의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통일 교육은 아직도 안보교육, 체제우월성교육, 주입식·일방적 교육, 남한중심의 동질화논리, 분단극복에의 관심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체제의 극복을 중심에 두는 교육이다. 둘째, 분단에 대한 성찰과 분단고통에 공감하는 교육이다. 셋째,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는 교육이다. 넷째, 새로운 민족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교육이다. 다섯째, 남북의 이념과 체제, 가치와 규범을 변증법적으로 결합해 나가는 교육이다. 이를 위한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체계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은 분단의 이해, 성찰과 극복, 새로운 통합을 위한 교육이며, 이는 분단이해교육, 분단극복교육, 통일통합교육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둘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교육내용은 분단의 이해와 분단의 치유 및 해체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셋째, 탈분단 시대 통일교육 은 국가와 민족의 분단사와 개인, 지역, 생애사의 분단사가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함께 구성된다. 넷째, 분단으로 인해 왜곡된 독립운동사와 통일운동사를 복원하고 새롭게 형성하는 민족사의 새로운 형성, 민족 공동체의 새로운 형성교육으로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direction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post divided system in Korea. Division of Korea has changed a system which is called the divided system in Korea. The divided system is composed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divided system was made up of south and north Korea as a divided nations, which compelled the people to adapt their rules. Nowadays, there are a possibilities transforming from divided system to the post divided system since the summit joi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SA and north Korea. Yet,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has a problems that were security education, preponderance of south Korea, grinding education, the logic of homogenization, lack of the willing of overcoming divi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post divided system in Korea as follow: First, A new unification education has focused on overcoming the divided system. Second, A new unification education was an feeling compassion education for the division. Third, A new unification education was an healing education pain by division. Fourth, A new unification education was an forming education new national community in Korea. Fifth, A new unification education was an dialectic education to integrate the ideas, the values, the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안승대(An, Seung Dae) 통일교육학회 2015 통일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학문적 정립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학의 두 구성요소는 통일과 교육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통일교육학은 교육학에서 그 목적을 찾아내고, 통일학에서 그 내용을 탐색 하고자 한다. 둘째, 통일교육학의 교육목적은 시대성·사회성·인간성으로 제시 되는 바, 시대성은 분단시대의 이해와 통일시대의 창출이라는 목표가 있으며, 사회성은 남북한 사회의 이해와 통합, 인간성은 통일민주시민 형성에 각각 그목표가 있다. 아울러 통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이를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셋째, 통일교육학의 성격은 이중성과 복합성, 즉 보수와 진보, 안보와 통일, 이상과 현실, 적대와 동반자적 관계의 특징을 지닌다. 넷째, 통일교육학의 과제로는 분단의식의 극복, 통일지향적 미래지향적 학문으로의 전환, 이데올 로기로부터의 독립, 학제적 학문적 접근의 필요성 등이 제기된다. This thesis is supposed to establis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 will try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establis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s composed of unification and education which are made up of its goals and contents. Second, An educational ideal in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a phase of the time was oriented-unification, a phase of the society was integration of two societies, a phase of the human was democratic citizen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s defined as complexity and duality. Fourt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must settle to some problems that are : overwhelming of divided consciousness, converting to an oriented-unification, getting over an ideology, approaching to an academic view.

      • KCI등재후보

        분단 구조와 분단 의식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

        안승대(An, Seung D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통일인문학 Vol.54 No.-

        이 연구는 분단 구조와 분단 의식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한반도의 분단은 하나의 구조, 즉 분단 구조로 자리 잡았다. 이는 남북한 체제를 아우르는 최상위의 구조로서, 한반도 구성원 모두에게 지배력과 영향력을 미친다. 이러한 분단 구조의 지배력과 영향력은 통일교육에도 결정적인 것이며, 무엇보다도 분단 의식을 형성케 하고 있다. 분단의식은 분단 구조의 부산물이자 한반도 전 구성원들의 무의식마저 지배하는 심층적 심리 구조이자 사회심리이다. 대립적 사고체계, 권위와 지배집단에 대한 순응과 굴종, 배후에서 작동하는 무의식, 민족 구성원을 호명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내용을 지닌다. 남북한 교육은 이러한 분단 의식을 내면화하는 교육, 분단언어교육을 실시해 왔다. 따라서 통일교육은 이러한 분단 의식을 해체하는 교육이어야 하며 구체적인 실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 이데올로기와 분단 의식, 분단 규율을 해체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은 이분법적이고 이원적인 논리를 뛰어넘는 양가공존, 양가긍정의 공간이자 새로운 통일언어를 생성하는 코라의 공간이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은 민주주의와 해방의 과정으로서 주인기표의 생성과정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vided structure and divided consciousness and suggest a subject of unification education. To at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nquiries were suggested. What were divided structure and divided consciousness formed by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under a divided nation circumstances? After deconstructing these, How could an educational subject in a unification education be suggested? The condensed results through above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s: First, unedr a divided nation circumstances, when a free democracy and subjective socialism formed a political idea antagonistically, an educational words in South and North Korea revealed an antagonism mutually. Second, an important subject in a unification education is to deconstruct the divided structure and divided consciousness, and to make an educational alternative plan in a unification education. Third, unification education in a new era is to deconstruct divided ideology, divided consciousness, divided discipline. Fourth, the subject in a unification education is to overcome antagonism to become a khora’s space within connecting, communicating, loving each other. Fifth, unification education in a new era is to form a subject as a master of in a self-consciousness who struggles for a democracy and liberation.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평생교육의 재정립시도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에 비추어 평생교육을 재정립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해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활용하고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국가와 자본에 의해 침범당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 제자리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이념정립과 자율적 영역의 확보, 주체의 정립과 학습자의 역할과 과제를 추구함에 있어서 상호 보완과 협력적 관계에 있다. 셋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에 관한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비판과 성찰이라는 주제어를 공유한다. ②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대화적 관계, 헤게모니적 관계를 그 특징으로 한다. ③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국가와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제 3의 영역, 독립적 영역이어야 한다. ④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다양성과 독립성, 성찰성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이로 인해 상호 보완관계에 있다. 결론적으로, 평생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립할 수 있다.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민주사회와 학습사회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념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학습사회와 민주시민사회는 상호보완 상호협력적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의 결합을 통한 시민학습사회 구현이 주요한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 : First,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been invading by the nation and capital; So, There has been a calling for an urgent needs for on the overcoming this crises. Second, Also, There has been a calling for an urgent needs for calling for an establishing idea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getting an autonomy for it. 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This study concluded as follow : 1)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a common with a key words : criticism and reflection. 2)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rel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common with a key words : dialogue and hegemony. 3)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situated on the third terrain which is self-regulated. 4)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a common characteristics as diversity, self regulating, interdependence. In conclusion,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follow: There has been an ideological and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eory : seeking for democratic society and learning society, so, we seek citizen learning society are urgent need in modern Korea society.

      • KCI등재

        대안적・보완적 교육이념으로서 화쟁의 교육이념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 Da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화쟁사상을 적용하여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해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은 체계와 내용의 부재, 이데올로기적 왜곡의 문제, 교육이념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어 온 문제가 있었으며, 교육이념이 답해야 할 새로운 시대적 요구로는 새로운 민족주의와 민주주의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 지식기반사회의 요구, 생태주의 교육의 요구 등이 있다. 둘째, 화쟁사상은 화해와 통합의 사상이라는 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깨달음의 사상이라는 점, 일심이문의 체계와 일심무애화쟁의 내용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에서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통일과 생태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주의와 다문화교육, 지식기반사회의 창의융합적 지식과 같은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도 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이념으로서의 적합성을 보여준다. 셋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하는 화쟁의 교육이념은 화쟁하는 인간, 화쟁하는 사회, 화쟁하는 교육을 추구한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화쟁의 교육이념은 교육적 원리로 조화롭게 어울리되 무조건 하나됨을 강요하지 않는 불일불이의 원리, 각각의 현상과 진리를 부정하면서 보다 높은 차원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는 긍정과 부정, 개합과 입파의 자재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ducational ideal replacing the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have problems as such: the absence of system and contents, distorted ideology,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and social conflict. Second, The ideas of HwaJaeng is that an ideas of conciliation and coordination, of overcoming a distorted ideology,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and of systemic. Because of this, the ideas of HwaJaeng can take place of the educational ideal of HongIkIngan. Also, The ideas of HwaJaeng is correspondence with unification, ecology and postmodernism that urgent questions in Korea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al ideal of HwaJaeng seeks for human, society and education to harmonize the various disputes, seeks for educational principles not adhering the two and not keeping the one, boundlessness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 KCI등재

        남남갈등 극복교육 : 화쟁사상의 적용을 통하여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7 No.-

        이 연구는 원효의 화쟁사상을 적용하여 남남갈등 극복교육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남갈등은 대북정책을 둘러싼 남한내부의 갈등을 말하며, 이념갈등이 핵심이다. 이 연구는 남남갈등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태극기집회와 촛불집회를 분석하였다. 태극기 집회와 촛불집회는 자신들이 내세우는 이데올로기를 신봉하며, 정치집단의 편향성의 동원은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태극기집회와 촛불집회 참가자는 자신들의 견해와 주장만이 진리라고 믿으면서, 상호 배타적인 인정투쟁을 벌이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화쟁사상을 남남갈등 극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쟁사상은 화해와 통합의 사상이며, 이념갈등의 해소에도 활용할 수 있다. 화쟁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집착, 이데올로기에 대한 삿된 집착인 인집과 법집으로부터 벗어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남남갈등에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는 극복해야 할 인집이자 법집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화쟁방법을 통한 남남갈등 극복교육은 다음과 같다. 이데올로기에 대한 집착, 극단을 버리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다음으로 긍정과 부정의 자재를 통한 모든 논쟁과 주제의 소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여러 주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이데올로기를 대신할 수 있는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생태주의와 같은 공통된 근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남남갈등 극복교육의 특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남남갈등 극뵥교육의 목표는 대립적 사유를 연기적 사유, 생태적 사유로 전환하는 데에 있다. 둘째, 남남갈등 극복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은 화쟁을 활용한 대화법이며, 이는 해체적 대화, 대대적인 대화, 화쟁적 대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ducation for overcoming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through Wonhyo"s ideas of HwaJaeng. The southsouth conflict is a conflict occurred because of disputes on north Korea and on ideology in south Kore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this study analyzed on the Taegeukgi protest to know the reality of south-south conflict on south Korea. The Taegeukgi protest was shown the belief on anti-communism, the obedience on authoritarianism such as leadership of Parkjunghee. Second, Wonhyo"s ideas of HwaJaeng aims to reconciliate and coordinate to disputes. We can use this ideas to sublate a wrong adherence to an ideology. Third, this study aims to apply Wonhyo"s ideas of HwaJaeng and to draw the implication that it helps education for overcoming south-south conflict. It concluded as like this: to deny an adherence to ideology, to communicate between disputes through free affirmation and negation, to understand broadly and develop common resour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overcoming south-south conflict such as: to use the dialogue method, to orient the thought of ecology, democracy and unified nation and to utilize complemented dialogue.

      • KCI등재

        그람시의 시민교육론에 관한 연구

        안승대(An,Seung-Da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이 연구는 그람시 사상에 담겨있는 시민교육적 요소를 분석하여 한국적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시민교육론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시민사회는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의 헤게모니 전략이 평가받고 도전받는 경쟁의 장이며, 시민교육은 대항 헤게모니 구축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시민교육의 주체인 시민은 역사의 창조적 주체이자 의식적 존재이다. 따라서 시민교육의 목표는 이러한 비판적 주체인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며, 이는 변증법적 교육원리로 구체화된다. 이에 따른 교육내용으로는, 지배이데올로기의 허구성 자각, 허구적 이데올로기로부터 철학적 세계관으로의 전환, 개인적 의식을 집단의지로 발전시키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이를 한국 현실에 적용해보면, 분단의식과 발전주의로부터 통일의식과 생태적 가치로의 전환, 수동적 세계관으로부터 변증법적 세계관으로의 전환, 개인주의로부터 공동체주의로의 전환, 이론으로부터 실천으로의 발전과정 등을 들 수 있다. The research of this thesis is to suggests civil education focusing on Gramsci's theory. Gramsci was caught the state for the superstructure, analysed to the civil society and set up its new strategy. Gramsci suggested to the civil society at which the place occurred struggles for hegemony between rulers and ruled. He emphasized the role of civil education in hegemony transition procedure. He defined citizen as a conscious and dynamic subject struggling for acquiring their rights and duty. Based on the development as above, We can mak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ims of civil education si to rear critic citizen and the principle of civil education is dialectic development of cognition. Second, the purpose of civil education gave awakening consciousness by understanding dominant ideological concoction and create and spread new hegemony by civil education. Third, Gramsci thought the civil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on of counter hegemony. Fourth, In Korea, civil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converting the divided consciousness to a unified consciousness, fetishism to a ecology, individualism to a community spirit. Fifth, civil education must go forward to dialectic education to overcome fixed and implanted ideology.

      • KCI등재

        분단인의 이론적 정립에 관한 연구 : 비판이론의 전체주의 이론의 적용을 통하여

        안승대(An, Seung D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8 No.-

        이 연구는 비판이론의 전체주의 이론을 통해서 분단인의 특성을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분단인은 분단국가와 그 지도자에 대한 열광 적 지지와 적극적 동의를 하는 분단지향적 인간이다. 왜 분단 속에 사는 국민(인민)들은 끊임없이 냉전으로 회귀하기를 원하며, 분단권력의 메커니즘을 자발적으로 수용하고 재생산하는지에 대해,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한 결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분단체제, 특히 유신체제와 유일체제는 전체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띠는 사회로서, 이러한 전체주의의 모습, 전체주의 사회가 지향하는 이데올로기와 지배논리는 분단지향적 인간들의 일상사고와 사상 체계를 결정 짓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둘째, 분단사회 속에 살아가는 분단지향적 인간들은 분단국가의 과잉억압으로 인해 본래의 집단적 리비도, 집단적 본능을 상실한 인간으로 전락하였다. 이 속에서 이들의 집단적 리비도와 집단적 본능 즉 민족적 리비도와 민족적 삶의 본능은 왜곡되고 변질되어 왔다. 따라서 이들은 분단국가의 메커니즘을 자발적으로 수용하고 재생산하는 주체아닌 주체가 되며, 부정과 공격성의 논리가 그들의 본능이 됨으로써, 냉전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반공 반북주의의 부정논리, 공격성의 논리를 자신의 삶의 목적으로 받아들이는 분단지향적 인간이 된 것이다. 셋째, 분단지향적 인간은 분단 트라우마와 분단 아비투스를 지닌 인간이며, 이러한 분단지향적 인간의 분단 트라우마와 분단 아비투스 극복은 통일교육의 주요한 과제가 된다. 이러한 분단지향적 인간의 특성, 분단지향적 인간의 본능에 따라 통일교육은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분단지향적 인간의 특성이 증오, 공격성, 죽음의 논리가 중심이 되었다면, 통일교육은 이와 같은 부정의 논리 죽음의 논리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이어야 한다. 통일교육은 이러한 분단지향적 인간의 죽음의 본능, 파괴본능을 삶의 본능, 화합의 본능으로 전환시켜 나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분단을 망각하거나 분단에 무감각한 많은 대중들의 통일본능을 일깨우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둘째, 이와 같은 삶의 본능, 민족의 본능은 민족이라는 집단본능, 민족적 리비도를 부활시켜 나가는 교육이어야 한다. 아울러 집단 트라우마, 집단 아비투스는 세대간 전승되고 확산되는 특성을 지니기에, 이러한 탈분단지향적 인간 교육, 민족적 리비도 형성교육, 민족적 본능을 일깨우는 교육은 통일교육 전체 대상, 전 영역으로 보다 확산되어 나갈 필요성 또한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people through the totalitarian theory of criticism. The divided people are split-minded people who enthusiastically support and actively agree with the divided nation and its leaders. Why people living in division want to constantly return to the Cold War, voluntarily accept and reproduce the mechanism of divisional power, and what are the challe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to overcome it? First, Yoo-sin system and Yoo-il system, is a society with a strong totalitarian tendency, and this totalitarian society"s ideology and governing logic we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d the daily thinking and thinking system of the divided people. Second, the divided people living in a divided society were reduced to human beings who lost their original collective libido and collective instincts due to the excessive oppression of the divided nation. Among them, their collective libido and collective instincts, ethnic libido and ethnic life instincts, have been distorted and corrupted. Thus, they became the main agents, the ones who voluntarily accepted and reproduced the mechanisms of a divided nation, and the logic of denial and aggression became their instinct, and the logic of anti-Communist anti-North Korea aggression for their own purposes. Third, the divided people are human beings with the divisional trauma and divisional habitus, and this divisional trauma and overcoming divisional habitus are the main challe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as the division is prolonged, the appearance of the divided people shows changes but still persists. It is worth noting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as follow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vided people and their instincts. First,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people were centered on hatred, aggression, and death logic,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can overcome this logic of denial and death.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transforms these divided people"s instinct of death, destruction into instinct of life and harmony. Second, this instinct for life, the instinct of the people, should be education to revive the collective instinct of the people, and the national libido. In addition, collective trauma and collective habitu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and spread among generations, so education, education to form ethnic Libido, and education to awaken ethnic instincts need to spread to all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분단 이데올로기와 통일교육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이 연구는 이데올로기론을 통하여 남북한의 분단 이데올로기를 분석한 후, 통일 이데올로기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데올로기는 부정적 의미로 많이 쓰이며, 이 때 이데올로기는 허위의식을 뜻한다. 중립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가치체계・신념체계의 의미로 쓰이며, 긍정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구성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행동으로 이끌어 주는 세계관을 뜻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을 유지하는 허의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이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통일 민족국가의 좌절감을 분단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치환함으로써 국민/인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심리적 차원의 카타르시스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 권력에 열광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행동적 차원의 동원・동기화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또한 반공/반제의 강조와 체제경쟁을 통해 국민/인민을 사회적 차원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마지막으로 분단 이데올로기는 지배 권력의 차원에서 보면, 분단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허위의식을 조장하고 은폐・왜곡하는 기능을 해 왔다. 통일교육은 분단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통일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교육을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통일 이데올로기는 통일과 통합을 지향하는 사상과 이데올로기, 즉 생태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통일 이데올로기로서 생태주의는 큰 자아인 민족과 이웃,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며, 생명과 평화를 지향하는 안보 즉 생태적 안보를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통일 이데올로기 형성을 통해 구성원의 의식을 개혁하고, 통일시민으로 형성해 나가는 적극적 변혁의 과정, 그람시의 유기적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divided ideology and to suggest a unification ideology focusing on the theory of ideology. Theorists distinguish three major versions of the concept of ideology. (1) ideology in the descriptive sense; such thing as the beliefs the members of the group hold, or the set of beliefs (2) ideology in the positive sense; Lenin’s use of ideology to refer to the correct set of beliefs elaborated by the labor movement (3) ideology in the pejorative sense; Marx’s use of ideology to refer to the wrong set of beliefs as a false consciousness. The divided ideology was used as the means for maintaining the divided regime, functioning as a catharsis, motivation, integration and false consciousness, for substituting a defect nation or split nation of nation≠states for treating a special nation-state of North and South. So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 It is necessary to overcome for a unification education of new era and to make an unified ideology because it is urgent for a unification education of new era.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unification ideology for an alternative unification education as a ecology which is searching for unity and harmony between North and South, human and human, human and nature.

      • KCI등재후보

        분단인에 관한 연구 : 이론적 배경과 분화과정을 중심으로

        안승대(An, Seung-Dae)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분단인의 특성을 구조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우선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러한 분단인의 형성 및 분화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인은 분단구조 하에서 분단지향적 의식, 분단의식을 지닌 사람을 일컫는다. 분단인의 의식은 분단국가와 분단 이데올로기의 억압 속에서 형성되며, 이는 역사적 과정 속에서 집단 속에 전승되고 누적되어 온 집단적 무의식이자 사 회적 무의식으로서의 분단의식이다. 둘째, 분단인의 특성은 권력과 국가에 의해 만 들어진 국가주의적 인간형, 권위주의적 인간형, 분단 이데올로기에 복종하고 순응 하는 이데올로기적 인간형, 대립적 사고체계를 지닌 대립적 인간형이다. 셋째, 분단 인은 남한 사회에서 민주화 체제의 등장 이후, 남한과 북한 분단인의 분화, 남한 내부에서의 보수와 진보 세력간의 분화, 과거세대와 MZ세대 간의 분화의 과정을 거쳐왔다. 이상의 논의결과를 토대로 통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분단인의 이해는 통일인 양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절대적 필수요소이다. 따라서 통일교육은 분단인의 의식, 무의식을 이해하는 교육, 분단에 대한 구조적 역사적 이해 교육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둘째, 통일교육은 분단의 역사적 구조적 전개 과정 속에서 왜곡 굴절되어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온 민족의 통일본능인 민족적 리비도를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셋째, 분단인의 구조주의적 이해, 역사적 이해는 분단구조에서 기인하는 분단인의 분단의식을 이해하고 극복해 나가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분단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은 분단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의 한계, 탈구조적 접근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는 통일교육이 될 필요가 있다. 넷째, 냉전구조가 해체되고 남한체제가 민주화되면서 분단인은 다양하게 분화되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분화의 시기, 다양화의 시기에는 통일교 육에 있어서도 다양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즉 남한과 북한의 분단인 분화, 남남 갈등으로 인한 남한 내부의 분단인의 분화, 세대간 분단인의 분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전략으로 통일교육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vision factor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ructuralism, and then examined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division factors.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sional person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divisional consciousness and a divisional consciousness under the divisional structure. The consciousness of division is formed in the oppression of the divided state and the divided ideology, which is a consciousness of division as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social unconsciousness that has been passed down and accumulated in the group in the historical proce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ded people are the nationalist human type created by power and the state, the authoritarian human type, the ideological human type that obeys and conforms to the division ideology, and the confrontational human type with a confrontational thinking system. Third, since the emergence of the democratization system in South Korean society, the divisional people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divisions,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forces within South Korea,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past and MZ generation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results,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ded is an absolute essential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fostering unification people.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divid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unconscious, and struc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division.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liberates and frees the national Libido, the unification instinct of the people who have been distorted and refracted in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development process of division and suppressed unconsciously. Third,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divided people raise the need for education to understand and overcome the divisional consciousness of the divided people resulting from the divisional structure. In addition, the structuralist approach to division needs to be a unification education that simultaneous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structuralist approach to divis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post-structural approach. Fourth, as the Cold War structure was dismantled and the South Korean system was democratized, the division is diversifying in various ways, and various response strategies are also needed in unification education during these periods of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In other words,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organized as an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to the division of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division of division within South Korea due to the conflict between South and South Korea, and the division between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