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과 통일교육

        안승대 한국통일교육학회 2019 통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에 따라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 통일교육은 기존 교육체제의 한계와 모순, 왜곡된 근대화의 문제, 일방적 주입식 교육의 한계를 지님으로 인해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으로의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주의 통일교육의 기본관점으로는 자연, 자유, 자연주의 교육이 있다. 둘째, 자연주의 통일교육의 교육목적은 사회 속의 자연인 즉 분단사회 속의 통일인(자연인)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적 원리로는 소극적 교육과 적극적 교육의 결합, 자연인교육과 시민교육의 결합, 인간성 교육과 통일교육의 통합의 원리가 있다. 셋째, 자연주의 통일교육의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육기는 감각교육을 통한 자연적 발달을 추구한다. 초등교육기는 체험과 경험교육을 실시한다. 중등교육기는 동정심 고양, 동포애 형성교육 등이 이루어진다. 고등교육기는 도덕교육으로서 양심계발 교육, 분단 고통 깨닫기 교육 등이 실시된다. 성인교육기는 시민교육, 정치교육, 민족정신 형성 교육이 실시된다.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role and future tasks for Rousseau s naturalistic view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unification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thought that Rousseau s nature has three meanings, which are nature as man s nature, nature as developmental stage and nature as an opposing sense of society. The nature as stated above is closely related to freedom. Rousseau s freedom is divided into natural freedom and social freedom and then moral freedom. Rousseau s naturalistic education is composed of negative education and positive education. Second, The aims of naturalistic unification education is to develop an naturalistic man in the society as an ideal man. Third, In this view,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unification education are related in negative education and positive education, human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nature education and civil education to specify the meaning of nature and freedom in Rousseau s educational theory. Positive education in naturalistic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not only rational power and moral sense but also patriotism and nationalism since the beginning of adolescence.

      • KCI등재후보

        학교통일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변화된 통일 환경 시대에 학교통일교육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통일부가 발표한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결과를 재분석하였다. 아울러, 고교 통일교육 4개 교과목의 11개 교과서와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지원법을 검토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 첫째, 현행 학교통일교육은 남북평화와 통일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둘째, 고교 ‘한국사’, ‘통합사회’,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교육내용은 대체로 양호하나,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특정 교과서의 내용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교 ‘한국사’ 과목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정부와 비교할 때 변한 것이 거의 없다.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첫째,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남북의 평화와 공영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을 저해하는 교과서,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등의 내용은 즉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부의 구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를 대체할 수 있는 교육부의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President Moon Jae-In took the office,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s well as over-all environment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rough this study, I aim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education on national unification, so as to come up with a promotion strategy to achieve more progress in this front. To this end, I began by studying the results of the 2019 Survey on the Status Quo of School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 analyzed eleven different textbooks on four school subjects included in the current high-school education curriculum for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came up with some important points to note: 1.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ter-Korea peace and unification of two Koreas, our schools invest too little time on the subject. 2. Despite all the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nd the landscape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what we have is an obsolet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standards designed during the precedent (and less pro-unification) administration. 3. According to my analysis on existing high-school textbooks for national unification, a part of the content in the subject Life and Ethics needs an urgent revision. 4. We need to revise the general outline of national curriculum to include more content on ‘human characteristics desired in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and ‘core competences to promote peace and integrity’, launching new subjects related to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with improved organizational standards and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의 성과 분석

        최영표 한국통일교육학회 2004 통일교육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낮아지고 교육성과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일교육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법적으로는 통일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삼아 이메일을 통한 면담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 조사는 부문상으로는 통일교육의 방향과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지원체제별로 준거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통일교육의 방향에 있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내용부분에 있어서는 통일을 준비하는 자세 확립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방법부문에서는 능동적이고 다양한 체험활동이 미흡하여 관심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지원체제는 최근 개선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상존하고 있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통일교육 영역별로는 학교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전자는 2000년 이후 긍정적으로 변하고 질적인 발전이 있었으나 아직까지도 개선하여야 할 문제는 많다고 보고 있다. 한편, 후자는 최근 체제를 정비하여 개선되어가고 있지만 통일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의 차이로 내용상 여전히 갈등이 상존하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쟁점별로 보면, 최근 주변국가 인식에 있어 비판적인 접근으로 혼란스럽지만 민족주의 의식이 고조되면서 새로운 체제로 이행되어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호의적으로 바뀌고 있지만 기존의 우월감이 여전히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남북경제협력에 있어서는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향후 상대적 지원이 보다 많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의 학문적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안승대(An, Seung Dae) 통일교육학회 2015 통일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학문적 정립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학의 두 구성요소는 통일과 교육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통일교육학은 교육학에서 그 목적을 찾아내고, 통일학에서 그 내용을 탐색 하고자 한다. 둘째, 통일교육학의 교육목적은 시대성·사회성·인간성으로 제시 되는 바, 시대성은 분단시대의 이해와 통일시대의 창출이라는 목표가 있으며, 사회성은 남북한 사회의 이해와 통합, 인간성은 통일민주시민 형성에 각각 그목표가 있다. 아울러 통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이를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셋째, 통일교육학의 성격은 이중성과 복합성, 즉 보수와 진보, 안보와 통일, 이상과 현실, 적대와 동반자적 관계의 특징을 지닌다. 넷째, 통일교육학의 과제로는 분단의식의 극복, 통일지향적 미래지향적 학문으로의 전환, 이데올 로기로부터의 독립, 학제적 학문적 접근의 필요성 등이 제기된다. This thesis is supposed to establis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 will try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establis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s composed of unification and education which are made up of its goals and contents. Second, An educational ideal in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a phase of the time was oriented-unification, a phase of the society was integration of two societies, a phase of the human was democratic citizen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is defined as complexity and duality. Fourth, unification education as a studies must settle to some problems that are : overwhelming of divided consciousness, converting to an oriented-unification, getting over an ideology, approaching to an academic view.

      • KCI등재후보

        통일 교과 개설의 필요성 : 범교과학습주제로서 한계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노력은 헌법이 명시하고 있는 국가 과제이자 대통령 의무사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 통일교육은 매우 소극적이고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로 통일 교육의 중심축과 핵심세력이라 할 수 있는 ‘통일 교과’의 부재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와 같이 초ㆍ중ㆍ고교에서 범교과학습주제로서의 통일교육은 계속 이루어져야 하나,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통일 교과를 개설함으로써 통일교육의 중심축과 핵심세력을 확보하고, 정치 논리가 아닌 교육논리에 기초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통일교육과정을 연구ㆍ개발ㆍ보급할 수 있으며, 대학과 사회의 통일교육 및 연구의 활성화와 후속 세대의 양성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1) 교과의 의미와 구성 및 성립 조건, 2) 교과의 구성과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범교과학습주제로서 통일 교육과정의 문제와 한계, 4) 통일교과의 개발 방향과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고교 학점제를 시행하기 때문에 고교에 많은 선택과목의 개설이 요구된다. 이에 통일 교과(목)이 고교 선택 교과목으로 속히 신설될 수 있도록 국가와 교육 연구단체는 통일 교과 교육과정을 속히 개발하고, 이를 편성ㆍ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준비와 조속한 실행이 필요하다. Achieving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is a major task of South Korea as a nation, and doing his/her best to this end is an official duty of the president. Unfortunately,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schools seems rather insufficient and passive. Why is this happening? Primary reason is that we do not have a linchpin or core strength that can take the lead in reforming and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propose tha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upgraded, from just a cross-curricular learning (CCL) subject in public education, to an elective subject starting from high schools. By doing so, we may 1) expect consistent and s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n unification based on educational logics; 2) launch research groups and societies dedicated to the subject; and 3) foster follow-up researchers and educators. Through this study, I aim to give more emphasis on the fact that launching a class subject on unification will not only encourage teachers to serve as a a linchpin to improve and reform the subject education, but also as a core strength to ensure s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I first look into the definition, rol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and justification condition of the term “subject matter”. Then I move on to analyze and review th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CCL subject. Lastly, I explore why we need to come up with a dedicated curriculum on unification and how it can be done.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improvement and reform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by serving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chools to launch a sufficient curriculum for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 이념 정립을 위한 연구

        안승대(An, Seung-Dae)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념을 정립해 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은 민족 민주 평화의 세 가지 가치를 중요시해왔으며, 이는 통일교육의 3대 영역별 교육을 이끌어가는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이 통일지향적인 가치와 태도 함양, 통일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통일교육의 기본이념 핵심이념은 통일의식 형성, 통일인 양성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통일교육이념은 통일의식함양을 기본이념 핵심이념으로 하며, 이를 떠받치는 주요 영역별 교육이념으로는 민족 민주 평화의 3대 이념을 들 수 있다. 둘째, 통일교육의 기본이념인 통일(의식 함양)의 이념과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의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 민족, 통일 무용론 내지는 폐기론은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 이해의 문제, 저항 민족주의로서 한반도 민족주의의 특성을 간과 한 점 등에서 재고되어야 하며, 민족주의는 통일을 지향한다는 점, 민족적 리비도의 부활과정이 통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이념적 자원이다. 한반도의 가장 근본적인 폭력의 원인, 비평화적 현상의 근원이 분단이라고 하였을 때, 통일은 평화의 실현과정 그 자체이며, 통일과 평화는 함께 하는 하나의 여정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통일과 민주의 이념 역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셋째, 통일교육이념은 각각의 교육을 이끄는 지도원리이자 지도이념이다. 기본이념인 통일(의식함양)의 이념은 통일형성교육을, 영역별 이념인 민족 민주 평화의 이념은 각각 통일을 위한 민족교육, 통일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통일을 위한 평화교육 을 이끌어가는 지도이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fication education has valued the three valu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which is an ideology that leads to education in the three major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given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aimed at fostering unification-oriented values and attitudes, and cultivating unification awareness, the core concepts of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as forming a sense of unification and fostering unification peopl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cor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the three major ideologies of national democratic peace are the major educational ideologies that support it.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deology of unification (cultivating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each area, is as follows. Nationalism, unification uselessness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issue of a one-sided understanding of nationalism, the negl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ism as resistance nationalism, and the revival process of national libido. When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viol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ource of non-peaceful phenomena are divi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unification is a process of realizing peace itself, and unification and peace are a journey together. The ideology of unification and democracy is also complementary. Third, the idea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guiding principle and guiding ideology of each education.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is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 democracy and peace, which is the ideology of national unificati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for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의 개선방안

        이병호(Lee Byo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2

        통일부의 「통일교육지침서」는 20여 년 간 국가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기준으로서 여러 역할을 수행해 왔다. 문재인 정부인 2018년 「통일교육지침서」는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으로 문서명을 바꾸고, 발간주기는 필요시, 문서의 성격은 기존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기준 제시에서 방향과 관점의 제시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측면에서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분석·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법적·교육과정적 지위와 의미, 목적과 역할 및 기능을 탐색하였다. 둘째,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문서체제 개선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고찰하였다. 셋째,「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개선 방향과 방안을 설정·제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문서명은「00(년) 평화·통일교육 기준」으로, 발간 주기는 ‘주기적이되 필요시 규정과 절차에 따른 개정’으로, 문서의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통일교육 기준 제시’로, 진술 및 제시 형태는 ‘가능한 국가교육과정 문서체제와 부합되도록’ 등이다. 이외에 ‘평화·통일교육 기준 문서 체제 개선’, 「2021 평화·통일교육 기준」 개발에 대한 조속한 연구와 실행, ‘평화·통일’ 정규과목 개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 For nearly two decades, the Educational Guidelines on Unification (published and revised every year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erved as a valuable set of standards for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2018, during the rule of the Moon administration, the yearly publication had to go through major changes: 1) its title changed into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 2) it will not be updated nor revised on yearly-basis if not necessary; 3) it no longer define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standards but just gives out general direction and basic standpoint for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look into the「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as a part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ystem, so as to define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To this end, I first studied the legal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ublication as a curriculum, as well as its role and purpose. In addition, I contemplated on the improvement model for the document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improve its counter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theme. Finally, I came up with a proposal on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in the publication.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으로서의 평화교육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Dae) 통일교육학회 2013 통일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통일교육으로서의 평화교육의 개념과 차원, 과제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통일교육으로서 평화교육은 적극적 평화를 추구한다. 평화교육은 즉 개인적, 사회적, 민족적, 생태적 차원에서의 폭력인 문화적, 구조적, 물리적, 생태적 폭력을 극복해 나가야 하며, 이는 곧 개인적 평화교육, 사회적 평화교육, 민족적 평화교육, 생태적 평화교육의 과제가 된다. 이는 보편적 평화교육으로서 행복한 자아, 민주시민, 평화민족, 생태인의 교육목표를 각각 지니게 되며, 분단극복이라는 특수적 평화교육의 목표로서 통일자아, 통일시민, 통일민족, 통일생 태인을 각각 추구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첫째, 통일교육으로서 평화교육은 인류보편적인 가치 로서의 평화를 추구하는 보편적 평화교육이자 분단의 폭력적 구조를 극복하는 특수적 평화교 육의 과제를 동시에 담당하게 된다. 둘째, 통일교육으로서 평화교육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폭력의 근원인 분단에 대한 이해와 극복을 도모하는 분단문해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 육으로서의 평화교육은 평화교육이자 통일교육으로서 민주시민교육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추구되어야 한다. 넷째, 통일교육으로서 평화교육은 통일감성을 불러일으키는 교육, 통일감수 성을 형성하는 정서교육, 감성교육, 대화식 교육을 추구한다. Thesis thesis deals with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overcome individual, structural, physical and ecologic violence which occurred to individual, social, national and ecologic level. A general peace education aims at self-fulfilling, making citizenship, peaceful nation, ecologist.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pursues unified-self, unified-citizenship, unified-nation, unified ecologist. After that, I will try to suggest some positive ways to settle this problems. First,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is in the pursuit of not only general peace education but also specific peace education overcoming violence occurred from divided nation. Second,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deals with divided structure the most important violence occurred in our society. Third, peace education as a unification education seeks for feeling education, emotion education, dialogical education give rise to a storm of indignation sensibility loving for unified nation.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통일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김은희 한국통일교육학회 2004 통일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오늘날 통일교육이 국가적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통일의식이 매우 희박하다는 문제를 연구의 동기로 삼아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적용되는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교과학습에 있어 구성주의적 접근법은 학습자의 통일의식을 국가수준의 통일교육 목표에서 제시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현장연구를 통해 검증해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도덕과 교과학습의 통일교육에서 습득한 통일의지 및 태도 형성이 일상적 삶과 연계하여 유의미성을 지니는가를 검토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밝히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저(基底)인 구성주의적 접근법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기법의 교과학습으로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자기 주도적 관심과 흥미를 도출하도록 한다. 둘째, 도덕과 통일교육을 통하여 국가수준의 통일교육의 목표에서 기대하는 방향으로 학습자의 통일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체험 위주의 특별활동을 통하여 도덕과 통일교육의 교과학습에서 습득한 통일의식을 일상적 경험으로 학습과 삶을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대상은 연구자 재직교의 2002학년도 교과담당 학생 425명과 특별활동반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연구에서 선행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기법은 본교의 특성에 맞추어 수업 활용이 가능한 범위로 적용하였으므로 전반적인 구성주의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로 삼기 어려운 제한점을 지닌다.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하되, <연구내용 1>의 결과는 학습활동에 있어 구성주의적 접근법은 다양한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였다. <연구내용 2>의 결과에서는 새 도덕교과서에 의한 교과학습 후의 학생들의 통일의식에 대한 진단은 현 단계 국가수준의 통일교육 내용에서 기대하는 바에 일정 수준 도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내용 3>의 결과에서는 체험 위주의 통일연구반 특별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직접 참여·관찰·활동하여 통일에 대한 자발적인 관심과 탐구정신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교과학습에서 구성한 통일의식이 일상적 통일의식의 경험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연구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2

        학교 평화·통일교육의 활성화와 개혁을 위해서는 현재 범교과학습주제로서 교육뿐만 아니라 독립 교과목 개설이 매우 절실하다. 고등학교 교양과목 ‘평화 와 통일’ 등의 독립 교과목 개설은 기존의 범교과학습주제로서의 학교 평화· 통일교육을 선도하고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과 정 개발과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평화와 통일 및 통합에 진로 관심 이 있는 학생들에게 진로 선택과 진로 준비의 경험을 갖게 한다. 나아가 시민 사회의 평화와 통일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자(2021)의 ‘통일 교과 개설의 필요성: 범교과학습주제로서 한계’의 후속 연구로서,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의‘성격’ , ‘목표’ , ‘내용체계’ 개발을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의 독립 교과 개설과 고등학교 교양과목‘평화와 통일’교육과정 개발에 이론적·실제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o raise public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ring us closer to achieving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a cross-curricular learning subject to an independent subject matter in public education. The upgrade will encourage more people to take the lead in achieving peace and unification, serving as a linchpin and core strength to operate and develop the curriculum in a stable and sustainable manner. To this end, I propose‘Peace and Unification’as an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In a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of opening subject matters on peace and unification, I aim to elaborate on the character, objects, and content system of the subject through this study. Firstly, I went over a couple curriculum design models to identify the method, process, and procedures involv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improving general education on peace and unification, I discussed what to consider and what to focus on when it comes to the basis of‘Peace and Unification subject’. Finally, I explained on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 including its character, objects, and standards of the content system.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could provide theoretical and substantial support in launching a 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on peace and 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