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2,2,6,6-Tetramethyl-1-piperidinyl Oxoammonium Ion/Sodium Hypochlorite-catalyzed Selective Oxidation of the Primary Alcohol in 1-Monolaurin

        안선민,박경민,최승준,임석원,강동현,최영진,장판식 한국식품과학회 201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2 No.3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complete chemo-selective oxidization of the primary alcohol group in 1-monolaurin (1-ML) with dual catalysts,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TEMPO) and sodium hypochlorite (NaClO). Reaction conditions that required (i) the least amount of catalyst and (ii) the shortest reaction time were established. A statistical model of the degree of oxidation was proposed by response surface regression considering 5 factors: reactant pH, concentrations of the 2 catalysts, and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Based on this proposed model, the relative effect of each factor could be predicted. The conditions that resulted in the lowest consumption of catalyst enabled oxidization of 2.744 g of 1-ML completely within 81 min with 18.4 mg TEMPO and 19.6 mL NaClO (pH 9.66, 34.5oC). The fastest reaction time (72 min) required 21.8 mg TEMPO and 19.9 mL NaClO (pH 10.98, 34.8oC). FT-IR and 13C NMR analysis revealed that 1-ML was completely oxidized under 2 different optimal conditions and the chemoselective oxidation of the primary alcohol occurred without oxidation of a secondary alcohol. After chemo-selective oxidation, 1-ML retain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 KCI등재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안선민,원희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6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16 children ages 6~7 selected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Seoul. Among them, 8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8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15 sessions of a preventive art therapy program, twice a week for 1 hour each tim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pre-scores and post-scores by using the research tool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designed by Kim Kyoung-hoe(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experiment group that experienced the program was much more improved in the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experiment group that experienced the program was much more improved in the scores of the ability to use self-emotion, to perceive and concern others’ emotion, and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that experienced the program was not improved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express self-emotion and to control feelings and impulsive action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 affects on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ty to use self-emotion, to perceive and concern others’ emotion,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of children. Conclusively, the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 way to provid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o children in their emotional development phases of early childhood, and that it presents the preventive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 to develop th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will have a life-long influence.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Y구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6~7세의 유아 16명이며, 16명 중 8명을 실험집단으로 8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2회 1시간씩 15회기에 거쳐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김경회(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의 변화를 비교하여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한 결과, 하위영역 중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 기술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계발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유아기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을 제공하고, 평생동안 지속될 정서지능 계발에 효과적인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육아휴직제도의 상쇄효과(trade-off)에 관한 연구: 조직구성원의 일-가정양립을 중심으로

        안선민,권보경,이수영 한국거버넌스학회 201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5 No.3

        This paper aims to find an empirical evidence of how the organizations would respond to the vacancy of parental leavers. Despite organizational workers are available to use parental leave policy, not much improvement of work-family balance has been made in reality. This problem may result from the passive response of organization to the policy. Thus, our study assumed that there will be a trade-off relationship among members in the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parental leave policy and work-family balance issue. The result of analysis on Korean local enterprises shows that the increase of parental leaver ratio in organization raises overall level of overtime work payments and the proportion of temporary worker who are excluded from permanent position change as well. These organizational response to parental leave policy imply that organization rather tend to evade the responsibility of work-family balance issue for members than respond to the issue actively. Specifically our study may give the evidence that once a regular full-time employee utilize parental leave policy, organizations tend to let the others do extra work or use short-term human resource for cutback management, which one’s work-family balance may transit to others’ work-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would build foundation for causing conflict among employees, making difficulties for cultural improvement for work and family balance. Furthermore, th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of polarization on labor quality in the long term. Therefore, our research suggested the importance of utilizing high qualified substitute laborers and expansive compensation for substitute laborer employment. 본 연구는 육아휴직제도의 도입과 활용에도 불구하고 일-가정 양립 수준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점에 관하여, 육아휴직에 대한 조직의 수동적 대응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이 육아휴직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담을 다른 조직 구성원에게 전가하여, 육아휴직제도가 발휘하는 일-가정 양립 효과를 상쇄시킬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증분석 결과 조직 내 육아휴직자 비율의 증가는 잔여인력의 초과근로를 증가시키고, 정규직 전환에서 제외되는 비정규직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조직이 육아휴직제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육아휴직자가 제도를 통해 보장받은 일-가정 양립을 타인의 일-가정 갈등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 전체의 일-가정 양립 수준은 개선되지 않고 상쇄됨으로써 육아휴직제도의 본래 취지와는 달리 왜곡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조직 내 개인 간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일-가정 양립을 위한 문화적 조성을 어렵게 하고, 장기적으로 일자리의 질의 양극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질적인 대체인력의 확보 방안 마련과 대체인력채용에 대한 보상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속버스 운행시 공조시스템 조건에 따른 객실 내 실내공기질 변화

        안선민,김호현,이정섭,심인근 한국냄새환경학회 2018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7 No.4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the hazardous materials in the bus was monitored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mode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during bus service. The bus was surveyed using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method of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within one year of delivery. We evaluate the CO2 and PM10, which arethe controlled parameters in bus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VOCs and HCHO, the non-controlledparameters. The PM10 concentration increased due to outdoor air intake; however the CO2 concentration was foundto decrease.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VOCs and HCHO was found to decrease due to the forced ventilationsystem and the outdoor air intak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other materials except PM10can be changed due to the outside air concentration and forced ventilation system. Therefore, through indoor air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us according to air condition system are intended to be used as the basis of anoperation manual.

      • KCI우수등재

        다양성, 연봉제, 그리고 이직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안선민,오민지,이수영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3

        The effectiveness of diversity management i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public sector. Considering the recent gender conflict probl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actual effects of diversity management. Some recent studies analyzed the effect of diversity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outcome. However, ver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demonstrated the detrimental effect when diversity management is implemented under a merit system such as an annual salar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management and pay for performance (PFP) in predicting turnover rate. In particular, this study assumed that implementing two different systems— diversity management and PFP—may have adverse effects when they operate with conflicting values. Using the Workplace Panel Survey(2005–2013), the analysis suggests that divers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turnover rate. Furthermore, the interaction term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urnover rate. Above all, the result also proved when the same analysis implemented in two groups(majority and minority group). Therefor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confirmed.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re is a value conflict between diversity management and PFP, which derives from an equity(or procedural justice) problem between genders—it discourages each group in a different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cision makers should consider the value conflict between equity and efficiency when expanding a performance-based pay system in the public sector. Therefore, additional efforts by public managers are needed to harmonize the two systems. 조직의 다양성이 조직에 가져오는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적이며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 부상하고 있는 성별 간의 갈등을 고려한다면 성별다양성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필요성이 크다. 본연구는 기존에 다양성에 관한 연구가 다양성 자체만을 확인하였을 뿐 다른 제도들과 동시에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인식하여, 다양성과 연봉제가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특히 두 제도가 상충되는 가치를 지향하여 운영될 때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행하였는데, 형평성을 지향하는 다양성과 효율성 혹은 능률성을 지향하는 연봉제는 각 제도가 지향하는 가치와 달리 조직 구성원의 행태에 의도치 않은 역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시행하는 사업체패널을 이용해 패널분석을 시행한 결과, 본 연구는 다양성은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모형에 다양성과 연봉제의 상호작용을 포함하였을 때는 상호작용항이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을 높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는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자발적 이직으로 구분해 분석했을 때 각각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며,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개인 간 자원 경쟁이 불가피한 성과지향적 보상방식의 시행은 조직 내의 주류집단에게는 기존의 누리던 혜택을 누리지 못해 불안 감을 느끼게 하거나 지배감을 잃게 하는 반면, 소수집단에게는 업무배정이나 성과평가 과정에서 차별을 느낄수 있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다양성과 연봉제는 목적과 달리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해석하였 다. 이에 대해 두 제도의 조화를 위한 추가적인 관리자의 노력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성별 다양성과 자발적 이직: 다양성의 새로운 추정에 관한 논의

        안선민,이수영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4

        This paper intends to compensate for two limitations of diversity researches. The first limitation we found is tha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explain why diversity has negative impacts on organizations in terms of conflicts or distrust between groups, this has not been well proven with empirical analysis. The other limitation is that the researchers have supposed a horizontal organization while estimating the diversity index, so that little interpretation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in decision-making has been provided. This paper makes two attempts to rectify these weaknesses. First, we separate voluntary turnover between male and female to determine the inconsistent effects of diversity on groups. Second, we also separate diversity as horizontal(the type of diversity discussed so far) and vertical(the disparity in the proportion of females). The latter estimates the variation in the proportion of females in organizations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horizontal diver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voluntary turnover of males; its impact is reinforced when gender diversity (horizontal diversity) interacts with vertical diversity. These results provide the clue that there are conflicts or distrust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groups. This supports not only the ideas of social identity theory and social categorization theory, but also role congruity theory, which says the dissonance between the injunctive norm and the reality about women decreases satisfaction. In contrast, neither horizontal nor vertical divers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voluntary turnover of females. But the relationship becomes significant when the two kinds of diversity interact. This suggests that conflict or tension between females can exist, and it indicates that the phenomenon described in role congruity theory can also exist between females. This paper proposes therefore that institutions for the retention or promotion of minorities apparently need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employees. 본 연구는 다양성 연구가 가진 두 가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가 판단한 선행연구의 첫 번째 한계는 다양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다수의 연구는 집단 간 갈등과 불신 등을 근거로 설명하지만, 실질적으로 집단 간 상이한 행태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한계는 다양성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조직을 수평적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 의사결정에 미치는 구성원의 상이한 권한에 관해 논의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별 다양성에 집중하여 다양성을 ‘수평적 차이(수평적 다양성)’와 ‘수직적 격차(수직적 다양성)’로 구분하여 각 성별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평적 다양성과 수직적 다양성이 증가할 때 남성의 자발적 이직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또한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때 그 영향은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정체성이론, 사회범주화이론 등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여성에 대해 갖는 규범과 실제가 불일치할 때 만족수준이 저하된다는 역할일치이론의 주장에도 부합한다. 이와 달리 여성의 자발적 이직은 수평적 다양성과 수직적 다양성의 주효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때에는 자발적 이직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 사이에서도 역할일치이론이 성립할 수 있거나 여성 관리자가 여성 직원을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소수집단의 유입과 승진을 위한 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이해와 협조가 선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부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 관한 논의: 공공기관 청년인턴제도를 중심으로

        안선민,김병섭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an internship program for youth carried out by public institutions to resolve the unemployment of youth. The internship program has been carried out as part of a broader program to lower the unemployment rate for the short term, but it does not have any positive effect in terms of increasing individuals’ quality of work, payment, or quality of life. This paper looks at on why the program fail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policy executer rather than the policy participants, even though the program has a distinct goal and an abundant budget. This paper identifies the causes of the problem within the framework of Selznick’s institutionalism: social forces, the stability of informal relations, and the continuity of policy for the justification of an organization. The internship program for youth has two categories of internships:“internship for recruitment” and “internship for experience,” and the latter is considered as decoupling in that a participant’s status does not have to be changed to that of regular employee. As a result of panel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social pressure with funding by government, the motives for stabilizing the internal relations, and soft budget constraints increased the use of the internship for experience. The policy of job creation and the internship program for youth are discuss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policy for job creation require appropriate post-implementation control. 본 연구는 청년실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청년인턴제도에 관해 논의한다. 청년 인턴제도는 정규직 전환 비율이 적은 문제 등 형식적인 집행으로 비판받아왔지만, 단기적으로 실업률을 줄일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본 연구는 정책대상자가 아닌 정책집행자의 관점에서, 분명한 목표와 예산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실패하는 원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 인턴제도의 성격을 분석해 정책 실패의 원인이 제도의 형식적 집행에 있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청년인턴제 도를 ‘채용형 인턴’과 ‘체험형 인턴’으로 구분하여, 정규직 전환의 의무가 없는 체험형 인턴제도를 제도의 형식적 집행으로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관한 원인을 Selznick이 제시한 근거로서 조직이 받는 사회적 압력, 조직의 권위와 정당성의 유지, 조직 내부의 비공식적 관계와 권위체계를 분석틀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압력과 조직 내부의 권위체계 유지, 그리고 연성예산제약으로 인해 청년인턴제도의 형식적 집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그간 간과되어져 왔던 일자리 정책의 형식적 집행에 관해 논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청년인턴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적절한 사후통제가 필요함을 제안하 였다.

      • KCI우수등재

        공공기관 목표대치현상에 관한 연구: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에 관한 논의

        안선민,이수영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 of goal displacement in converting the positions of contract workers. Recently Korean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required to change contract workers to standard workers, but they have instead changed the position of contract workers to unlimited contract workers. This paper regards this situation as goal displacement, considering that the conversion is made for output, rather than outcome. To investigate this behavior,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the contextual factors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 that preceding studies have only focused on the goal itself. Goal ambiguity, union factors, and financial publicness a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workers converted to unlimited contract workers i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s which are unionized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performing goal displacement than organizations which are not unionized. Similar results are discovered when organizations have multiple unions and the unionization rate is higher.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goal displacement because the conversion happens for the benefit of the insiders (standard workers). It is suggested that the dissatisfaction of standard workers deriving from the feeling that they will lose their dominance as the majority has to be considered when converting employees to a different category of employment.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서 나타나는 목표대치현상에 관해 논의하였다. 최근 공공기 관은 비정규직의 근로환경 및 처우의 개선을 위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받고 있는데, 이과정에서 공공기관은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무기계약직의 성격을 고려하여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이 목표에 따른 산출을 중시하는 현상이라고 보고, 목표대치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있어 기존의 목표대치현상에 관한 연구들은 목표 그자체에 집중하여 논의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맥락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의 원인으로서 목표모호성, 노동조합, 정부 의존도를 선정하고 이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노동조합이 존재하는 조직이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복수노조가 존재하는 경우, 노조조직률이 높은 경우에도 동일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비정규직의 처우가 개선되지 못함은 내부자(정규직)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의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비정 규직의 처우 개선 문제에 관하여 주류집단으로서 지배감을 잃는 데에 불만을 느낄 수 있는 정규직의 입장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정규직과의 합의가 선제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