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peri-implant bone exposure on soft tissue healing and bone loss in two adjacent implants

        신승윤,계승범,홍종락,팽준영,양승민 대한치주과학회 201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4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oft tissue and bone change around two adjacent implants in onestage implant surgery. Methods: Eleven subjects (7 males, 4 females) who were needed placement of 2 adjacent implants in the molar area were included. The two implants were placed with the platform at the level of the alveolar crest. The interproximal bone between the 2 implants was not covered with gingiva. After surgery, an alginate impression was taken to record the gingival shape and radiographs were taken to evaluate implant placement. Using a master cast, the gingival height was measured at baseline, 4 weeks,and 12 weeks. In the radiograph, the alveolar bone level was measured at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both implants at baseline and 12 weeks. Results: The exposed bone was covered with gingiva at both 4 and 12 weeks. Loss of alveolar bone around implants was found in all areas. The alveolar bone level in the exposed bone area did not differ from that in the non-exposed area.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lveolar bone level and gingival height around 2 adjacent implants in the exposed bone area did not differ from that in unexposed bone area.

      • KCI등재후보
      • SCIESCOPUSKCI등재

        Fc ${\gamma}R$ genetic polymorphism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population

        신승윤,김경화,박옥진,이용무,류인철,김각균,구영,한수부,정종평,Shin, Seung-Yun,Kim, Kyoung-Hwa,Park, Ok-Jin,Lee, Yong-Moo,Rhyu, In-Chul,Kim, Kack-Kyun,Ku, Young,Yoshie, Hiromasa,Han, Soo-Boo,Chung, Chong-Pyoung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4 No.3

        Genomic Project 이후로 다양한 질환에 있어서 유전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치주질환 환자에서 Fc ${\gamma}R$ 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과 치주질환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한국인 90명(대조군, 남자64명, 여자26명), 중도 만성 치주염환자 40명(severe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severe CP, 남자 24명, 여자 16명)을 대상으로 임상지수(치주낭 깊이, 입상부착소실, 치은지수, 치태지수, 탐침 후 출혈지수, 치조골소실)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정맥혈에서 추출한 DNA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Fc ${\gamma}RIIIa$ , Fc ${\gamma}RIIIb$의 대립유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전자의 다형성 및 Fc ${\gamma}R$ 복합유전자형 (Fc ${\gamma}R$ composite genotype)을 확인하여, 각 군 간을 비교하였다. 치주질환의 특성과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c ${\gamma}R$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Fc ${\gamma}RIIla$에 대한 유전자다형성 연구결과 대조군과 severe CP, AgP군 사이에서, severe CP와 AgP군 사이에서는 대립유전자분포가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지만(p<0.05), Fc ${\gamma}RIIlb$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Fc ${\gamma}R$ 복합유전자형간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험대상 한국인 치주염환자에서 Fc ${\gamma}R$ 유전자에 대한 다형성분석에서 Fc ${\gamma}RIIIa$ 대립유전자가 치주염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전자의 차이가 치주질환의 감수성 판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행정정보공개제도의 반부패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신승윤,한익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2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정보공개제도 운영과 지방자치단체 반부패 수준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시민과 정부 간에 존재하는 정보비대칭 완화를 통한 부패통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상당 부분 이루어졌음에도, 행정정보공개제도의 반부패 효과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증한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 연구들은 행정정보공개 수요 측면과 반부패 효과 간 관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었으며, 2013년 이후 새롭게 확대 개편된 사전적 정보공개(원문정보공개)의 효과는 고려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공개청구 제도 외에 원문정보공개 제도의 반부패 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6개년(2015~2020)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행정정보공개 제도의 반부패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들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원문정보공개 제도를 통해 공개된 정보가 활발하게 이용되는 기초자치단체일수록 조직 외부・내부에서 인식하는 반부패 수준이 동시에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정보공개청구 제도의 반부패 효과에 대해서는 조직 외부로부터의 인식과 내부에서의 인식이 엇갈리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행정정보공개 제도의 반부패 효과를 원문정보공개 제도를 포함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원문정보공개 제도의 반부패 효과는 원문정보공개 제도가 수혜범위가 넓은 정보공표(dissemination) 유형에 속하는 제도라는 점에서 제도의 수혜범위에 따라 반부패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이론적 관측을 지지하는 희소한 결과이기도 하다. 더불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정보공개제도 운영에 있어 시민들의 열람 수요가 높은 핵심적인 행정정보의 공개 수준의 제고가 실질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반부패 수준을 개선할 수 있다는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승윤,김동욱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uch of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is changing to mobile bas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s that elderly people who have relatively low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ability are likely to have an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transportation, purchasing, finance, administration, and living welfare information) that provide convenience in daily life migh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For comparative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general public under 54 years of age to examine these effects are unique trends in the elderly. In order to analyze our research hypotheses, this paper used the raw data of <2018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 Also, each service usage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wever, the level of service usage has just a partial mediating effect not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services.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저조하다고 논의되는 장노년층들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 있어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교통, 구매, 금융, 행정, 생활복지정보) 이용수준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인지 확인하기 위해 만 54세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도 동일한 모형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국민에 비해서도 그 영향력이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 수준은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두 장노년층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만, 장노년층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직접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여, 모바일기반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는 젊은 연령층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의 함양과 이들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활용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후박 및 홍화종자 추출혼합물이 치주인대세포 및 골아세포의 활성도 및 백서의 두개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신승윤,이용무,구영,배기환,정종평,Shin, Seung-Yun,Lee, Yong-Moo,Ku, Young,Bae, Ki-Hwan,Chung, Chong-Pyoung 대한치주과학회 199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8 No.4

        Magnoliae cortex has been used as a drug for treatment of fractures in Chinese medicine and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inn{\acute{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blood stasi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biologic effects of magnoliae cortex extract and safflower extract mixture(MSM)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fetal rat calvarial osteoblasts and on healing of rat calvarial defects. The ethanolic extracts of magnoliae cortex(MCE), safflower seed(SSE), Zea May L(ZML) were prepared as positive control group. MSM mixed to the ratios of 1 : 1, 1 : 2, 1 : 5 and 1 : 10 were used as test group. The effects of each agen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ALPase activity, cell proliferation and tissue regenerative effect of each extracts was evaluated by histomorphometric measuring of newly formed bone on the 8 mm defect in rat calvaria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2 ratio groups(1 : 5 and 1 : 10) at 3 different doses (0.1, 0.25 and 0.5g/kg per day). MSM stimulate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osteoblasts and PDL cells more than any other agents.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were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was increased. MCE, SSE, ZML stimulated the ALPase activity of osteoblast and PDL cell in comparison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But all groups of MSM regardless of ratio of safflower seed extract stimulated the ALPase activity than any other agent. The ALPase activity was also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was increased. Although MCE, SSE, ZML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1 : 5 and 1 : 10 ratio MS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timulation of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No agent significantly increased proliferation of PDL cells. Significant new bone formation were seen where 1 : 5 ratio, 0.5g/kg group and 1 : 10 ratio, 0.25, 0.5g/kg groups were used. These results show that magnoliae cortex extract and safflower seed extract mixture can potentially increase bone regeneration ability.

      • 캐릭터 관계 기반의 비주얼스토리텔링 공간 분석-영화 아바타를 중심으로

        신승윤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nalysis of Spatial Meaning in Visual Storytelling Based on Character Relations - Focusing on 'Avatar'(Film, 2009) Spatial settings where characters exist and act assume narrative functions and symbolicity. Spatial identity is generated by relations of supporters and opponents created in connection with desires characters pursue and by conflicts resulting from seeking for exclusive goal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face-to-face space between characters in the film Avatar and investigated semantic space. Specifically, 4D spatial meaning was derived by means of the relations of supporters and opponents in the face-to-face space and the shot density. The findings here will be conducive to designing space for expressing themes in visual storytelling, and suggest a meaningful way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spatial meaning. 등장인물이 존재하고 활동하는 공간은 서사 기능과 상징성을 가진다. 공간의 정체성은 인물이 추구하는 욕망에 따라 생성되는 조력자, 대립자의 관계와배타적인 목표 추구로 인한 갈등에 의해 생성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영화아바타(Avatar)에서 등장인물의 대면 공간을 분석하고 의미 공간을 연구하였다. 대면 공간의 조력자, 대립자의 관계와 샷밀도(Shot Density)에 의해 공간 차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주얼스토리텔링의 주제 표현을 위한 공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실증적 공간 의미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는데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