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6차와 7차의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안금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02 造形敎育 Vol.0 No.20

        A Study on the Objectives in the 6th and 7th Art Curriculum: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esthetics in DBAE Ⅰ. 들어가며

      • KCI등재후보

        초등미술과 수업에 대한 교육비평 연구: 멀고도 가까운 원근법

        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18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미술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수업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기술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비 참여 관찰, 면담, 문헌 분석을 사용하였다. 진 교사의 수업에서는 귀납적 사고 수업 모형에서 강조하는 학생들의 추론 과정보다는 교사의 의도적이며 계획적인 교수 과정이 부각되었다. 또한 도식적 그림의 활용이 효과적인가의 문제와 관련하여, 수업에서 사용된 도식을 분석하고 그 활용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진 교사의 수업은 재미있는 미술 수업을 위해 학생 사진을 활용하였으며, 진지한 미술 수업을 위해 교사의 계획적인 교수 과정 그리고 원근 표현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진 교사의 수업은 재미와 진지함의 조화가 엿보이는 수업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 in art classroom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discussed the concrete aspects of the practical knowledge which are about the individual teacher's belief and value, and the way the teacher organized the lesson. I observed and criticized the art less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lesson is about the perspective. It is hard to describe the whole situation and events where the lesson took place. I focused on the teacher's practice rather than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 lesson is characterized not as the induction thinking lesson but as an intended and preplanned teaching. Especially, I pointed out that the motivation phase is problematic in a way that students are needed to be shared with the teacher's value and interest on the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I suggested the storytelling. Besides, I discussed the use of the conceptual picture whether it is effective or not. Finally, I described the art lesson based on the fun and seriousness which are mentioned emphasizingly by the participant teacher. This study has limits on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research term. Because of this problem, I should not say that this study show all aspects of art lesson. However, we can see the similar intention of the teacher, her concerns and problem solving, and the lesson situation in other teachers' classroom, so that this study is not just about an art lesson. Rather i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f art classrooms.

      • KCI등재

        미술관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 투어(Touch Tour)에 관한 연구

        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3 No.-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hibition-linked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cultural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Education programs and research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domestic and foreign art museums were reviewed, and storytelling-based touch tour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months from March to June 2019, and the exhibition-linked storytelling-based touch tour was held for three days from May 13th to 15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orytell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students' storytelling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work. Second, the touch tour also utilizes multi-sensory appreciation methods such as collaborative use of residual vision or sense of hearing and smell. Third, through storytelling-based touch tours, students can freely share different ideas and feel a sense of belonging as one of important members of society.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 해서 장애인의 문화접근성의 확대를 위한 전시 연계 교육의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외 미술관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연구를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투어를 개발·적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3개월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전시 연계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 투어가 5월 13일 부터 15일까지 3일간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중요한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의 공간에 대한 친숙감을 위해 공간 탐색의 시간을 갖는다. 둘째, 작품의 특징을 충분하게 그리고 천천히 설명한다. 셋째, 촉각 이외에도 청각 등의 다감각적 접근 및 잔존 시각을 활용한 협력적 감상 활동을 수행한다. 넷째, 전시 관련 스토리뿐만 아니라 관람자들의 스토리가 관람 과정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표현 활동 및 전시 활동을 통해서 학생 들의 자긍심과 사회의 중요한 일원이라는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수작업의 의미와 사회적 실천의 도구로서 공예의 교육적 함의

        안금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수작업이 갖는 공예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며 사회적 소통과 실천으로서 공예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교과서의 공예 영역의 분석과 대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예가 지닌 수작업의 의미를 살펴보고, 크래프티비즘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소통과 실천 사례를 고찰하였다. 초등 공예 교육이 재료와 제작 방법을 익히는 기능 중심의 공예 교육,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예 교육 그리고 전통 공예와 여러 나라의 공예를 중심으로 한 미술 문화 이해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예 활동이 지닌 교육적 의의를 수작업의 가치와 즐거움 및 주체자로서 학생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재료와 제작 방법 중심과 실용성과 아름다움 위주의 공예 교육에서 벗어나서 사회적 소통과 실천으로서 공예 교육의 확장된 관점을 제안하였다. 학교의 공예 교육은 학생들의 삶과 연관지으며 역동적인 공예의 새로운 역할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안금희,김은숙,김인자,윤호순 병원간호사회 2003 임상간호연구 Vol.9 No.1

        Purpose: The ways wa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clinical nurses by Kirkpatrick' s evaluation model. Method: The subject was a group of 255 nurs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October of 2002, at General Hospital. Result: Reaction evaluation showed that all of them were satisfied with educational input 3.05, educational curriculum 2.92,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3.00 on the 4.0 point scale.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higher the post-education than the pre-education. The results of behavioral change evaluation showed that 87.7% of the nurses answered that they applied the skill and knowledge, which was acquired from the program, on practice. 97.4% of the nurses answer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h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change and result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per a various of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ion tools for increasing efficiency and accuracy of nursing practice.

      • KCI등재후보

        초등 미술 교육에서 놀이의 유형에 따른 놀이 수업 사례

        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16 No.-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and the playfulness in art, and develop diverse play lessons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n doing so,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using play in art classroom more positively. Art education through play has many objectives as followed. First, it can expand and develop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ssive skill. Second, it helps students enhance the language expression in using art concepts. Third, it develops higher thinking skill through understanding the artworks and art concepts. Fourth, through play, students can have persistant interest of learning an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Finally, we can expect social and emotional growth in play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Futhermore,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play is students' fun and spontaneity to relate to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art teacher needs the ability to develop the play lesson which connects play and learning.

      • KCI등재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4 No.-

        In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bring up not only cognitive and logical thinking but also emotion and imagination for harmonious human. However, because of the positivism which has been grounded in educational field, it has been failed to have harmonious perspectives of learning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the values of narrative modes of thought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storytelling i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possibilities of narrative curriculum. And I provided the two elements of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Second, I surveyed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storytelling in art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the examples of art stories as a teaching medium in art classroom. 교육에서 학습자의 논리적,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와 상상력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을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교육 전반에 걸친 실증주의적 인식으로 인해 학습과 학습자에 대한 조화로운 관점을 갖는데 실패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조화로운 관점에서 학습과 학습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내러티브 사고가 갖는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미술 수업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의미, 교육에서 내러티브 사고의 교육적 의의와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 등을 고찰하였으며 미술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 미술과 수업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셋째, 수업 소재로서 이야기 활용 사례를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 따라 구분하고, 제시하였으며 이 사례가 갖는 미술 교육적 의미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러티브 사고에 기반한 스토리텔링은 교육과정 및 수업을 이해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