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상품에 대한 상표법적 고찰 - 상표 출원 및 심사를 중심으로 -

        최종모,강병호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2

        In the past, virtual worlds existed only in games.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yone can experience virtual world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virtual worlds is no longer limited to games. As a result, the need for new goods, that is, virtual goods, has emerged. Moreover, unlike the previous virtual world, the current virtual world is not indivisible from the real world. Thus, the demand for goods that are difficult to have in reality has increased. For these reasons, trademark applications covering virtual goods by famous brands such as “Gucci”, “Nike”, etc. increased. The emergence of ‘virtual goods’ raises the following legal issues of: (i) whether the use of trademark in virtual worlds constitutes the use of trademark, which is an act of indicating the source under the Trademark Act; (ii) whether the ‘virtual goods’ may be considered as the ‘goods’ under the Trademark Act; and (iii) whether virtual goods and real goods are similar. Moreover,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on the scope of recognizable names of goods even if the ‘virtual goods’ may be considered as the ‘goods’ under the Trademark Act as the prerequisite for ‘the use of trademark.’ In this regard, not on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but also guidelines for virtual good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urthermore, based on these, issues including recognizable names of virtual goods, trademark applications related to virtual goods were also studied in terms of trademark law. 게임에 한정된 종전의 가상세계는 기술의 발달로 누구든지 가상세계를 체험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가상세계의 목적이 게임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로 인하여 새로운 상품을 즉 가상상품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전의 가상 세계와는 달리 현재 가상세계에는 현실의 세계와 불가분적으로 나눠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서는 가지지 못한 상품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 그로 인하여 ‘구찌’, ‘나이키’는 ‘가상의류’ 등을 지정상품으로 한 상표를 등록출원하는 등 가상 상품에 대한 등록출원이 증가하였다. ‘가상상품’의 출현으로 인하여 가상세계에서의 상표의 사용이 출처표시에 행위인 상표적 사용에 해당되는지 여부, ‘가상상품’이 ‘상품’에 해당되는지 여부, 가상상품과 현실상품이 유사한지에 대한 쟁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표적 사용의 전제요건인 ‘가상상품’이 상품에 해당되더라도, 인정이 가능한 상품명칭의 범위등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뿐만 아니라 가상상품 관련 지침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정이 가능한 상품명칭 및 가상상품 관련 상표등록출원과 관련하여 상표법적으로 고찰하였다.

      • KCI등재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연구

        최종모,김권중,홍주희 한국문화유산협회 2006 야외고고학 Vol.0 No.1

        각형토기문화유형은 서북지방을 대표하는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의 하나로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문화의 연속선 상에서 자체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며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전개과정에 있어 편년설정은 기원전 13세기를 상한으로 하고 하한은 기원전 6세기로 하여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의 설정은 주거지 평면형태 및 내부 시설의 변화, 각형토기 등 공반유물의 형식변화, 청동기의 제작 및 사용, 절대연대 및 주변 유적과의 상대 연대 그리고 동일 유적 내에서의 중복관계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은 농경을 중심으로 정착생활이 이루어진 농경사회로 취락화현상이 뚜렷하고, 위계화된 사회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성이 강하지만 청동기가 유입되기도 하였으며 각형토기문화유형이 부분적으로 확산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문화내용의 확산 또는 진출이 저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각형토기문화유형은 서북한 청동기문화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쇠퇴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s one of culture patterns in the Bronze age, which represents the culture in northwest of Korea and it seems to originate in the lower reaches of the Daedong River, in succession to the Neolithic Age cultures. It seems the culture pattern originated by itself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have independent and closed characteristics. It is persuasi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ulture had been sustained consistently until a point of time the top-shaped pottery was disappeared in the upper bronze age, also some part of new cultural factors of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s was adapted partly. As a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ts changing aspect could be setup by 5 phases. 5 phases were setup considering diversified sides including the change of plane types and interior structures in dwelling sites, the change of top-shaped pottery and excavated artifacts paired with the top-shaped pottery, the distinguished change of assemblages,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s, the manufacture and usage of bronze wares, the absolute age and the relative age to sites in its outskirts and duplicated contexts with remains in its same site. As the result of each phase from its development of 5 phases,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with remains as bins, millets, Indian millets, Italian millets, rice seeds was an agrarian society of settlement to cultivate farms and its state of clustering or grouping occurred obviously in this period. As we can see through the discoidal maces and the polyhead maces, we presume this culture pattern had the stratified social system. We found it had the strong locality against the inflow of foreign bronze ware cultures from the Yalu river and the Liao river and this culture had a tendency to expand after 3rd phase. However, we understand the expansion or the advancement of it in the Han river was prevented by some strong plain pottery cultures and we can find some clues of it that there were vestiges of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in Hwacheon Yongamri sites at the upper reaches of the Han river, in Ganghwa Samguri sites and Ohsungri sites at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nd can not find the sites related to its culture pattern in south of Han river. We try to set up the chronicle of as above top earthenware culture from 13C BC as the maximum to 6 C. BC as the minimum with 5 phases of it chronologically. Thus, we can understand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pattern was one of Korean bronze age culture patterns developed and had more stronger locality and individuality of northwest of Korea than of northeast of Korea in the Bronze Age. In addition, it is the important culture pattern to show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the decline of the bronze ware culture at a look.

      • KCI등재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의한 저작권침해 등에 관한 소고

        최종모 ( Choi Jongmo ),박서윤 ( Park Seoyoon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4 No.2

        전 세계적으로 Netflix와 YouTube등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이용자 수는 방송 이용자 수를 넘어서고 있으며, 콘텐츠를 선도하는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폭발적인 이용은 코드커팅이 현실화되었기 때문이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의한 저작권침해는 높은 이용률로 인한 콘텐츠의 빠른 확산으로 인하여 침해가 급격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지역적 제한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침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다른 저작권침해의 경우가 중대하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저작권 침해유형으로는 첫째, 정당한 권리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콘텐츠 내 무단으로 이용된 타인의 저작물이 포함된 경우, 둘째, 정당한 권리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콘텐츠의 영상제작에 참여한 저작권자 또는 저작인접권자와의 분쟁이 있다. 더욱이 두 번째의 경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내의 영상의 재생이 방송인지 여부가 선결적 문제이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방송이나 전송으로 획일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방송과 전송이 혼재되어 있어 이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의한 저작권침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는 저작권료 산정방식을 세분화하여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콘텐츠 내 타인의 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이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소송을 통한 해결방안이 아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와 저작권관리단체와의 저작권료 산정을 통한 원만한 해결이 이뤄지는 것이 저작물 이용을 활성화하고, 무단이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작권료율 협상에 저작인접권자 등이 참여할 필요가 있다. 아직 저작권 보험이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고자 하면, 거부감 또는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Netflix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가 콘텐츠 제공자에게 요구하는 기존의 저작권 보험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향후 국내에 저작권 보험을 도입함에 있어서 중요한 쟁점은 보험료 및 보험금 산정요인이다. 보험료는 (ⅰ) 콘텐츠 제작비용, (ⅱ) 사전 판매액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보험금은 콘텐츠 제작자의 저작권침해에 대한 (ⅰ) 고의여부, (ⅱ) 저작권처리를 위한 최소한의 노력 등을 통하여 보험가액을 산출하고 저작권침해 발생 시 최종적인 보상액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비적이고 사후적 해결방안으로서 저작권 보험을 제시하고자 한다. Die Zahl der Nutzer von Online-Videodiensten Netflix und YouTube übertrifft weltweit die Zahl der Rundfunknutzer. Die explosive Nutzung dieser Online- Videodienste ist auf die Realisierung des Code-Cutings zurückzuführen. Urheberrechtsverletzungen durch Online-Videodienste sind gekennzeichnet einen starken Anstieg der Verletzungen durch die Verbreitung von Inhalten, sie wird von einer hohe Nutzungsrate verursacht, und gleichzeitige Rechtsverletzungen. Und dieser Fall der Urheberrechtsverletzung ist sehr schwerwiegend. Es gibt zwei Hauptpunkten von Urheberrechtsverletzungen bei Online- Videodiensten. Erstens ist die unbefugte Nutzung des Werks einer anderen Person in den vom rechtmäßigen Rechteinhaber hochgeladenen Inhalten enthalten. Zweitens gibt es eine Auseinandersetzung mit den Urheberrechtsinhabern und der Person, die an der Videoproduktion der hochgeladenen Inhalte beteiligt war. Insbesondere im zweiten Fall ist es wichtig, ob es sich bei den Inhalten innerhalb von Online-Videodiensten als Sendeinhalte handelt. Auch ist es nicht angebracht, Online-Videodienste einheitlich nach Sendung oder Übertragung zu beurteilen. Daher sind Sendung und Übertragung gemischt und es ist notwendig, sie zu klassifizieren. Es ist eine Maßnahme zur Lösung der Urheberrechtsverletzungen durch Online-Videodienste, die die Methode zur Berechnung der Urheberrechtsgebühren unterteilt. Selbst wenn das Werk unabhängig von der Absicht des Urhebers verwendet wurde, sollte nicht durch Rechtsstreitigkeiten, sondern eine reibungslose Lösung durch die Berechnung der Urheberrechtsgebühren mit Online-Videodienstleistern und Verwertungsgesellschaften erreicht werden, das ermöglicht die Nutzung von Werken und reduziert die unberechtigte Nutzung. Darüber hinaus müssen bei Verhandlungen über Urheberrechtsgebühren die Urheberrechtsinhaber und andere Beteiligte einbezogen werden. Eine Urheberrechtsversicherung ist in Südkorea noch nicht auf dem Markt. Wenn diese genutzt werden soll, kann daher ein Gefühl der Ablehnung oder Heterogenität entstehen. Es ist notwendig, die bestehende Urheberrechtsversicherung zu analysieren, die von Anbietern von Online-Videodiensten wie Netflix benötigt wird. Ein wichtiger Punkt bei der künftigen Einführung einer Urheberrechtsversicherung in Südkorea sind die Faktoren Versicherungsbeitrag und Berechnung des Versicherungsbeitrages. Der Versicherungsbeitrag wird unter Berücksichtigung (i) der Kosten für die Produktion von Inhalten, (ii) der Höhe des Vorverkaufs usw. berechnet. Das Versicherungsgeld wird berechnet unter Berücksichtigung (i) der Absicht von Urheberrechtsverletzungen oder (ii) des Mindestaufwands für die urheberrechtliche Behandlung der Urheberrechtsverletzung des Werkes. Auf diese Weise soll die Urheberrechtsversicherung als eine Vor- und Nachfolgelösung dargestellt werden, indem im Falle einer Urheberrechtsverletzung der endgültige Entschädigungsbetrag gezahlt werden kann.

      • KCI등재

        지식재산권 금융에 관한 법적 고찰

        최종모 ( Choi Jongmo ),최병태 ( Choi Byoung Tae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9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3 No.2

        지식정보화사회에서는 지식재산권도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재산권에 대하여 2010년대 초반부터 UNCITRAL을 통하여 지식재산권 등의 동산·채권 등을 담보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지식재산권 금융을 통하여 기업의 자산이 부동산등의 자산 보다는 지식재산권에 편중된 기술 중심 또는 벤처기업 등이 사업화 자금 등을 조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재산권 금융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정책자금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이는 지식재산권 금융은 채무불이행등으로 인한 회수가능성이 유형자산보다 낮아 금융권에서 지식재산권 금융을 지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식재산권 금융의 쟁점은 특허권 중심의 IP금융, 금융권의 지식재산권 가치평가에 관한 신뢰성 부재, 담보로서 지식재산권의 낮은 회수가능성, IP담보대출 편중현상과 민간자금의 낮은 참여 등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등의 해외 입법례 등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지식재산권 금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식재산권 금융의 다변화 필요성, 가치평가 고려요소, 단계별 IP금융활용과 회수가능성 제고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In einer wissensbasierten Gesellschaft können Rechte des geistigen Eigentums ein wichtiges Kapital sein. Anfang der 2010er-Jahre wird es von UNCITRAL diskutiert, dass bewegliche Guter und Obligation von den Rechten des geistigen Eigentums als Sicherheiten verwendet werden können. Durch solche IPR-Finanzierungen bieten die Möglichkeiten an, dass technologieorientierte Unternehmen oder Venture-Unternehmen, die mehre Vermögenswerte des IRPs als unbeweglichen Sache haben, Geschäftsdarlehen aufnehmen bekommen können. Die Finanzierungen des geistigen Eigentums werden von Jahr zu Jahr mehr durchgefuhrt, aber sie wird hauptsächlich als politischer Maßnahmen durchgefuhrt. Außerdem sind Bankenlandschaften zuruckhaltend, die Finanzierung des geistigen Eigentums zu halten, weil die Rechte des geistigen Eigentums unsicher als Sicherheiten der unbeweglichen Sache sind, da die Möglichkeit der Ruckzahlung wegen der Unterlassung usw. nicht ganz garantiert werden. Die Hauptpunkte der IPR-Finanzierung sind patentbasierte IP-Finanzierung, mangelndes Vertrauen der IPRs-Bewertung von Bankenlandschaften, wenigere Möglichkeit der Ruckzahlung von IPRs als Sicherheiten, Einseitigkeit des Hypothekendarlehens auf IPRs und geringe Beteiligung an privaten Fonds usw. Um die Probleme zu lösen, wird die Gesetzgebungen der verschiedenen Länder, z.B. in den USA verglichen und analysiert. Außerdem werden die juristische Punkte fur Beförderung der IPRs-Finanzierung betrachtet, sowie die Notwendigkeit einer Diversifizierung der Finanzierung des geistigen Eigentums, Faktoren der IPRs-Bewertungen, stufenweise Verwendung der IPRs-Finanzierungen und Betrachtung der mehre Möglichkeit der Ruckzahlung von IPRs us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