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earner Autonomy and Language Learning

        심재우 대한영어영문학회 2002 영어영문학연구 Vol.28 No.1

        Jae-WooThis paper is the investigation of learner autonomy i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3 college students. With the application of principal factor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subjects had four dimensions of learner autonomy: cognition, persistence, affect and tolerance of ambiguity. The extracted four factors explained 50% of total variance. Items of cognition included ‘I understand what is being taught’, ‘I can formulate my own learning objectives.’ and the other 5 items. Items of persistence included ‘I am not easily distracted, once I begin studying English.’ ‘I pay attention to studying English in English classes’, and the other 3 items. Affection had such items as ‘I do not enjoy learning English’, ‘I know why I am learning English’, and the other 2 items. Tolerance of Ambiguity included ‘I do not have patience with learning English’ and the other 2 items. In addition, female subjects had higher ‘affect’ than male subjects. High scorers on a TOIEC had higher ‘cognition’ and ‘affect’ than low scores on the test. The identified dimensions in the study confirmed results of other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ways of improving learner autonomy are discussed.<University of Ulsan>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향약ㆍ계 이해와 향촌자치 구상

        심재우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5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devices that bonded people together during the Joseon period, examined here are certain thoughts and views on the Hyang’yak codes and Gye funds, displayed by renowned Shi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Yu Hyeong-weon(柳馨遠), An Jeong-bok(安鼎福) and Jeong Yak-yong(丁若鏞). Both Hyang’yak codes and Gye funds were social practices that prevailed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communities based on such practices served as local bodies sustaining autonomous governance. All the above-mentioned three schola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a-daebu figures’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 efforts of local enlightenment and self-governing, and they also shared a rather high interest in the value of Hyang’yak codes. But their ideas for such codes also differed a little bit in terms of details, according to their own personal situations and demands of the time. For example, Jeong Yak-yong was particularly cautious in the implementation of such codes. Unlike their focus on Hyang’yak, the Shil’hak scholars’ level of interest in Gye funds and other similar organizations was relatively low. Their writings hardly display any reference to them. But Yu Hyeong-weon and An Jeong-bok did include Dong’gye(洞契) funds and Sachang(社倉) funds, which sustained popular civilian self-ruling bodies of the time, in their discussions of Hyang’yak(鄕約論). And Jeong Yak-yong suggested that the local prefects utilize the Gunpo-gye(軍布契) fund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village and county residents in response to the authorities’ collection of military tax in the form of fabrics(Gunpo, 軍布). So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all three scholars also acknowledged the merit of certain Gye-type local bodies that surfaced as products of the time. 본고는 조선시대 사람들을 이어주는 사회결속 방식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조선후기 대표적인 실학자들인 柳馨遠, 安鼎福, 丁若鏞의 향약, 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향약과 계는 조선시대 향촌 자치조직으로서 성행했는데, 세 사람 모두 지역사회에서의 교화와 자치를 위한 사대부 역할론에 주목하고 향약에 높은 관심을 갖은 점은 공통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자신이 처한 현실과 시대변화에 따라 이들의 향약론은 조금씩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정약용은 향약 시행을 신중히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향약과 달리 계와 여러 단체에 관해서는 대체로 실학자들의 관심이 부족했으며, 따라서 저술에서 관련 언급을 찾기가 어려웠다. 다만 당시 유행했던 민간의 자치조직으로서의 洞契와 社倉을 자신이 구상하는 鄕約論에 포함시킨 유형원과 안정복의 사례, 그리고 국가의 軍布 징수에 대응하여 동리 상ㆍ하민이 공동으로 조직한 軍布契를 수령이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한 정약용의 예에서 보듯이 이들은 시대변화에 따라 유행하던 동계 형태의 향촌 조직에도 관심을 기울였음이 포착된다.

      • KCI등재

        Via-Hole 접지를 고려한 K-대역 인터디지트 대역통과 필터분석

        심재우,이영철,김영진 한국정보통신학회 200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4 No.4

        본 논문에서는 비아-홀 접지를 고려한 K-대역 인터디지트 대역통과필터를 설계하였다. 중심 주파수가 19.6GHz에서 25~30%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6차 인터디지트 대역통과 필터를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으로 구성하였으며 비아-흘의 수에 따른 필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아-흘 접지와 인터디지트 대역통과필터는 설계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통과대역에서 중심주파수와 대역폭관계를 만족시킬 수 있었으며 실제 제작후 측정결과 중심주파수는 19.150Hz 삽입손실은 -4.IdB, 반사계수는 -16.7dB로 비아-홀 접지의 영향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짐을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bandpass filter with via-holes ground on K-band To pass only the 25 ~30% of the bandwidth at the center frequency of 19.6GHz, we have designed a six-order interdigital bandpass filter using microstrip lines. Simulation results of optimization according to via-holes size and numbers of interdigit bandpass filter shows a excellent agreement with theoretical values on passband frequency. Experimental results of BP filters show that mesaured center frequency is 19.150Hz, insertion loss, -4.1dB, reflection coefficient, -16.7dB. It proved that the vis-holes ground size and numbers must be considered to design the bandpass filter.

      • KCI등재

        조선후기 宣禧宮의 연혁과 소속 庄土의 변화

        심재우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0 No.-

        This thesis is aimed to explore the history of Seonhuigung, one of the seven royal shrines that had existed until the fir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including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its premises. I chose Seonhuigung for this study because there have been little effort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is shrine despite that it is one of the Seven Royal Shrines that continued to have existed until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1897-1910). New information of Seonhuigung obtain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onhuigung, a royal shrine established to honor Royal Lady Yeongbin who mothered Crown Prince Sado, was originated from Yeongbinbang, a private residence (gungbang) occupied by the royal lady before she died. The premises of the shrine also came from those once belonging to the royal residence. Second, Seohuigung had been able to relish various prerogatives as a permanent royal shrine (gung) but lost its royal title along with all the privileges when Prince Regent Heungseon launched reform plan in the 1870s. Third, land (jangto) granted to the shrine even when it had been a royal residence Yeongbinbang reached the peak between the later period of the King Jeongjo's rule and the early period of the King Sunjo's rule when the total land area given to it exceeded ten times the size provided by the law, and since then there had been no significant changes regarding the total area of the tax-exempt land until the 1870 reform plan. Fourth, Seonhuigung, which lost its privileges along with the royal title in 1870, recovered its function as a royal shrin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Most of the shrine's premises by then were historic ones, but its land area had already been grea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earlier period and finally it was nationaliz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between 1907-1910. 본고는 한말까지 존속한 대표적인 宮房 가운데 하나인 宣禧宮의 연혁을 살펴보고, 선희궁 庄土의 형성과정과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 필자가 사례 분석 대상으로 선희궁을 선택한 이유는 해당 궁방이 한말까지 존속한 궁방인 1司 7宮의 하나라는 대표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궁방의 연원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본고에서 얻은 선희궁에 관한 주요 정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도세자의 어머니 暎嬪李氏를 제사지내는 왕실 사당의 하나인 선희궁은 애초 사당 주인공 생전의 暎嬪房에서 연원하고 있으며, 소속 장토도 영빈방 단계에서 형성된 것을 모체로 하였다는 사실이다. 둘째, 선희궁은 영구 존속하는 궁으로서의 지위를 누렸으나, 영빈의 사당과 묘소가 정식 宮ㆍ園의 지위를 얻지 못하여 대원군 개혁기인 1870년에는 일시 廢宮되는 과정을 거쳤고 이 때 소속 장토의 면세 혜택도 사실상 중단되었다. 셋째, 영빈방 단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장토는 정조 후반 순조 초반 법전 규정의 10배를 상회하는 최대 규모에 달하였으며, 이후 면세결의 경우 1870년 개혁 이전까지 규모에 큰 변화가 없었다. 넷째, 1870년 廢宮된 선희궁은 다시 대한제국기에 祭宮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이 시기 선희궁 장토의 대부분은 그 연원이 오랜 것들이었다. 그렇지만 선희궁의 전체 장토 규모는 전성기에 비해 크게 축소된 형태로 隆熙 연간 일제에 의해 국유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개별 궁방의 조성과정, 정부의 궁방전 정책에 대해 향후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